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지영 Oct 16. 2024

스토아 철학에서 말하는 행복

: 인생의 정원을 가꾸는 법

 스토아 철학에서 말하는 행복은 마치 정원을 가꾸는 일과 같습니다. 정원을 잘 가꾸기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잡초를 뽑고, 해충을 없애며, 필요한 양의 물을 주고, 적절한 햇빛이 들게 해야 합니다. 스토아 철학이 말하는 '행복(eudaimonia)'도 이와 비슷합니다. 행복은 단순히 '기분이 좋은 상태'가 아니라, 이성의 힘으로 삶에 규칙을 부여하고 질서를 갖춰 건강한 상태에 있는 것을 뜻합니다. 이처럼 행복이란 정신의 정원이 잘 가꾸어져 풍요로운 상태를 이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정원을 가꾸기 위해서는 이성이라는 도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1. 이성과 감정: 정원사의 도구와 자연

 많은 사람들은 스토아 철학이 감정을 없애고, 무감정의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오해합니다. 하지만 정원사가 잡초를 뽑는다고 해서 모든 식물을 없애는 것은 아닙니다. 정원에서 해로운 잡초를 제거하면서도, 필요한 식물을 잘 가꾸어야 하는 것처럼, 스토아 철학이 말하는 이상적인 삶은 감정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감정을 이성적으로 다스리고 올바른 감정을 풍부하게 키우는 것입니다.


 정원에 있는 풀과 꽃들이 자연스럽게 자라듯이, 인간도 감정을 느끼며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감정은 마치 정원에 자라는 다양한 식물들처럼 자연스럽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모든 식물이 정원에 유익한 것은 아니죠. 일부는 잡초처럼 해로운 감정도 있고, 일부는 우리가 잘 돌봐야 할 귀중한 감정도 있습니다. 스토아 철학에서 이성은 정원사가 사용하는 도구처럼, 감정을 잘 다듬고 가꾸는 역할을 합니다. 감정을 억누르거나 없애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감정을 제거하고 이성적으로 올바른 감정을 키워나가는 것입니다.



2. 감정과 판단: 정원의 관리

 감정이란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정원을 가꾸는 과정에서 우리가 해충을 없애고, 적절한 양의 물을 주듯이, 우리는 감정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인 평가와 믿음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스토아 철학은 감정이란 외부 사건에 대한 우리의 판단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어떤 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 기쁨을 느끼고, 부정적으로 평가하면 슬픔을 느낍니다.

하지만, 우리의 판단이 잘못되었을 때는 정원의 잡초처럼 해로운 감정이 자라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나 명예를 필수적으로 좋은 것이라고 믿으면, 그것을 잃었을 때 괴로움에 빠집니다. 마치 정원에서 자라나는 잡초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으면, 정원이 엉망이 되는 것처럼 말이죠. 스토아 철학은 부나 명예, 건강과 같은 외부의 것들을 무차별적(adiafora)이라고 부릅니다. 즉, 본질적으로 좋거나 나쁜 것이 아니며,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들이기에 그것들이 우리의 행복을 좌우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3. 이성을 통한 정원의 관리

 이성을 통해 우리는 정원의 관리자가 됩니다. 이성은 우리가 어떤 감정을 키우고 어떤 감정을 제거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도구입니다. 마치 정원사가 해로운 잡초와 유익한 식물을 구분하는 것처럼, 이성은 우리의 감정과 판단을 조절해줍니다.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는 이를 잘 설명합니다. 그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말고,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부나 명예를 잃었을 때, 그것을 어떻게 평가하고 받아들일지는 우리의 이성에 달려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죽음을 필연적으로 나쁜 것으로 보지 않으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게 됩니다. 죽음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것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성을 통해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 우리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마치 정원이 계절에 따라 변화하듯, 우리는 이성을 통해 삶의 변화와 자연스러운 흐름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4. 정원의 아름다움: 건전한 정서

 정원을 잘 가꾸면 그 안에 아름다운 꽃과 나무들이 자라듯, 이성적으로 다스려진 감정은 '건전한 정서(eupatheiai)'로 나타납니다. 건전한 정서는 정원에서 피어난 건강한 식물들처럼, 이성적으로 잘 가꾼 감정입니다. 스토아 철학에서 말하는 행복은 바로 이 건전한 정서들이 가득한 정원의 상태입니다.


 건전한 정서에는 몇 가지 중요한 예가 있습니다:  

    소망(boulēsis): 욕망이 이성적으로 다듬어지면 소망이 됩니다. 이는 이성적으로 바람직한 것을 추구하는 마음입니다. 부나 명예가 아닌, 내면의 덕을 추구하는 것이 소망입니다. 이는 마치 정원에서 건강한 나무가 자라듯, 우리의 삶에서도 유익한 가치를 추구하는 것입니다.  

    조심(eulabeia): 두려움이 이성적으로 다듬어지면 조심이 됩니다. 피할 수 없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신중하게 위험을 피하는 것이죠. 이는 마치 정원을 돌볼 때 해충과 질병을 잘 관리하는 것과 같습니다. 필요 이상의 걱정은 피하고, 실질적으로 피해야 할 것만을 신중하게 다루는 것입니다.  

    기쁨(chara): 쾌락이 이성적으로 다듬어지면 기쁨이 됩니다. 이는 단순한 쾌락이 아닌, 이성적으로 올바른 행동에서 느끼는 즐거움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진정한 덕을 실천한 후 느끼는 기쁨은 정원에서 꽃이 만개한 순간과도 같습니다. 이는 내면의 풍요로움에서 나오는 기쁨입니다.  


5. 결론: 정원을 가꾸는 삶의 행복

 스토아 철학에서 말하는 행복은 감정을 억누르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마치 잘못된 식물을 제거하고 유익한 식물을 키우는 정원사처럼, 이성을 통해 우리의 감정을 다스리고 잘 가꾸는 것입니다. 스토아 철학은 우리의 정신과 감정이라는 정원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세네카는 말했습니다. "우리가 운명에 따라 끌려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운명을 받아들일 때 비로소 자유로워진다." 이처럼, 진정한 자유와 행복은 우리의 이성으로 삶을 가꾸고, 감정을 통제하며, 삶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받아들이는 데서 나옵니다. 마치 정원사가 정원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최선을 다해 가꾸어 나가는 것처럼, 우리의 삶도 이성이라는 도구를 통해 평온하고 아름다운 상태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행복은 그저 순간적인 즐거움이 아니라, 이성적으로 잘 가꾼 정원의 상태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삶의 어려움 속에서도 균형을 유지하며, 정원의 아름다움을 누릴 수 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