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종혁 Feb 05. 2020

[주짓수 에세이] 최고의 선물

스승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뭘까?

전력을 다하게 되는 경우는 드문 일이다. 체육관에서 스파링을 할 땐. 특히나 경력이 쌓일수록 어느 정도 힘을 빼고 스파링을 하게 된다. 그래야 서로 얼굴 붉힐 일이 없을뿐더러 다치지 않고 기술 연습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데 나에게는 전력을 다하게 되는 특별한 경우가 있다. 대회 결승이라도 되는 것 마냥 젖 먹던 힘까지 쥐어짜며 스파링을 하게 되는 경우가. 바로 관장님과 스파링을 할 때다.


관장님은 관원들과의 스파링을 즐긴다. 그것도 띠를 불문하고. 그 점이 내가 관장님을 좋아하는 이유 중에 하나이다. 나는 비교적 사람이 적은 오전 클래스에 참석하기에 관장님과 스파링을 하게 되는 경우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잦은 편이다. 그동안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저녁 클래스보다 오전 클래스에 마음이 더 갔던 이유에 관장님과의 스파링이 빠질 수는 없을 거란 생각이 들었다. 물론 수도 없이 깔리다 탭 치기에 바쁜 것이 현실이지만 “이럴 때가 아니면 언제 실력자와 스파링을 해보겠는가?”라는 마음이 항상 더 크게 작용하는 것 같다. 나의 빈틈을 누구보다 잘 집어주는 존재가 실력자니 말이다. 이상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고통스럽지만 동시에 즐겁기도 한 시간이다.


관장님을 처음 만났을 때가 기억이 난다. 당시 체육관은 문을 연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당연히 관원은 얼마 없었고, 관장님께선 낡을 대로 낡은 퍼플벨트를 매고 계셨다. 그때 맺어진 인연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복잡하게 머릿속으로 계산해보지 않아도 그 시간을 눈으로 볼 수 있다. 관원 수도 관원 수지만 관장님은 퍼플벨트가 아닌 블랙벨트 매고 계시고, 나 또한 흰 띠가 아닌 퍼플벨트를 매고 있기 때문이다. 결코 짧은 시간이라 할 수 없는 기간 동안 나는 지금의 관장님에게 주짓수를 배운 셈이다. 물론 그 기간 동안 관장님과 나는 셀 수 없을 만큼의 스파링을 했다.


내가 혼신을 다해서인지 관장님도 그에 맞춰 나를 대해주었다. 사실 스파링이 매 번 죽을 듯 힘들었기에 나 혼자라도 그랬을 거라 믿고 싶다. 그래도 다행이었던 건 낮으면 낮을수록 올리기 쉬운 건 학창 시절 성적뿐만 아니라 주짓수에도 해당됐다는 것이다. 매일같이 훌륭한 스승의 가르침을 받으며 공부한 나는 비교적 점수가 빠르게 오르는 편이었다. 점수는 탭을 치는 횟수가 말해주었다. 스파링이라는 시험에서 탭의 횟수는 틀린 문제의 개수와도 같았다. 그렇다고 결과가 크게 달라졌다는 건 아니다. 안간힘을 써 봐도 언제나 마지막에는 관장님에게 백을 내줬고 결국 초크를 당해 탭을 쳤다.


손을 꼽아야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탭을 치지 않는 날도, 더 나아가 스윕을 성공시키는 날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관장님이 봐준 것일 수도, 운이 좋았던 것일 수도 있지만 밀려오는 뿌듯함을 부정할 수는 없었다. 사실 이러한 나에게는 한 가지 바람이 있다. 건방져 보일 수 있고 또 그것이 언제쯤 가능할지는 모르겠지만 관장님에게 탭을 받아내는 것이다. 그렇기에 지금까지 그래 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관장님과 스파링을 할 땐 혼신을 다 할 예정이다. 스파링이 다소 거칠어질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그럴 것이다. 이렇게 뚜렷한 목표가 생기게 된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주짓수를 다시 시작하던 시기, 철학 공부 또한 시작하게 되었다. 대학생 시절부터 관심이 갔던 철학, 사회생활에 허덕이던 나의 숨통을 터준 철학을 한 번쯤은 깊이 공부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한 스승을 만나게 되었다. 아니, 어쩌면 그 스승을 만나게 되면서 보다 깊이 철학 공부를 해보기로 마음먹게 된 것일 수도 있다. 그때 맺어진 인연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주짓수와 마찬가지로 나는 결코 짧은 시간이라 할 수 없는 기간 동안 한 스승과 함께 철학 공부를 해온 셈이다. 물론 그 사이엔 수많은 철학적 사유가 오갔다. 마치 익힌 기술을 주고받는 스파링처럼 말이다.


철학과 주짓수에는 닮은 점이 있었다. 옴짝달싹 못하게 나를 제압한 상대로부터 빠져나오는 법을 가르쳐 준다는 점이다. 그것도 다방면으로 아주 디테일하게. 신기하게도 상대가 어떤 자세로 나를 제압했든 그에 맞는 탈출법이 존재했다. 주짓수에서는 두 말할 것도 없지만 철학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철학에서 이야기하는 나의 상대는 고정관념이었다. 나를 일정한 틀 속에 가두는, 하지만 나와 한 몸처럼 붙어있어 인지조차 할 수 없었던 고정관념. 철학은 내가 상대를 인지할 수 있도록 더 나아가 그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나를 도왔다. 그리고 그렇게 되는데 까지 스승은 나와 함께 했다.



어느 날 스승은 이야기했다. “나도 친구가 필요하다.” 전과는 다르게 그의 짧은 말에서 고독함을 넘어선 무언가가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생각해보니 세상에 이름을 남긴 철학자들은 시대를 한정 짓는 고정관념과의 싸움에서 승리를 거머쥔 사람들이었다. 게다가 빈틈을 찾아내 무너트린 고정관념은 다름 아닌 자신 스승의 철학이었다. 철학사는 보여주고 있었다. 스승과 제자라는 관계의 새로운 면을. 철학자들에 따르면 그러한 관계는 결국 끝을 맺어야만 했다. 그 끝은 서로 친구가 됨으로써 맺어질 수 있는 것이었다. 그들에게 있어 빈틈은 세계의 균열이 아닌 세계의 확장으로 연결된 문이었다. 제자는 그 문을 잠그지만 친구는 그 문을 활짝 열어젖히는 존재였다. 빈틈이라는 문을 통해 바깥 세계를 보여주는, 그렇게 나의 세계를 확장시켜주는 존재가 친구였던 것이다. 그제야 알게 되었다. “나도 친구가 필요하다.”라는 스승의 말에는 제자의 해방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었다는 사실을.


그로서 제자가 스승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친구가 되어주는 것이라 여기게 되었다. 그러한 선물을 기쁜 마음으로 받아주는 스승이야 말로 참된 스승이 아닐까 싶다. 주짓수와 철학에서 뿐만이 아니라 다른 어떠한 분야에서도 세계를 넓혀주는 방향은 일방이 아닌 쌍방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스승의 세계관 안에서만 머무는 제자들은 스승을 고독하게 만들기 쉽다. 그렇기에 오늘도 나는 두 스승에게 탭을 받아내기 위해, 다시 말해 친구가 되어주기 위해 나름의 애를 써보려 한다. 그들에게 고마움을 느끼는 나는 그들에게 최고의 선물을 주고 싶기 때문이다.

이전 12화 [주짓수 에세이] 작은 것들을 위한 감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