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박 4일간의 항암 치료를 마친 후, 나는 요양병원 방 안으로 조심스럽게 들어섰다. 작은 냉장고와 탁자, 텔레비전, 공기청정기, 침대가 천천히 눈에 들어왔다. 마치 여행지의 작은 호텔방 같았다. 이곳에서 2주 동안 머무를 예정이다.
짐을 내려놓고 창문을 살짝 열어두니 선선한 바람이 들어와 나를 부드럽게 어루만져 주었다. 그 순간, 긴장이 스르르 풀리면서 억누르고 참아왔던 눈물이 왈칵하고 쏟아졌다.
주위의 소음이 사라지고 혼자만의 공간에 오니 내 병에 대한 두려움도, 애써 밝게 지내오느라 만나지 못했던 외로움도 함께 터져 나왔다. 모든 감정들이 너무나 당연하고 정당해 보였다. 내 마음속 깊은 곳에서 마주한 아픔을 그대로 인정하기로 했다. 내 모든 감정을 그냥 수용하는 것은 내가 나에게 해줄 수 있는 사랑이었다. 충분히 존재를 인정받은 감정은 자연스레 흘러갔다.
항암 약물을 맞고 3일 차가 되자 부작용이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불확실한 신체 감각과 마주할 때마다 두려움이 나를 감쌌다. 끝이 보이지 않는 오심과 구토, 멈추지 않는 설사, 이명, 미각 상실, 전신의 쇠약감...
내 몸은 마치 풍랑에 흔들리는 배 같았다. 구멍이 난 배는 나를 안전하게 지켜주지 못할 것 같은 불안감을 불러일으켰다. 신체의 통증은 사랑의 상실만큼이나 깊은 슬픔을 느끼게 했다.
가족에게 나의 증상을 세세하게 알릴 순 없었다. 그 아픔은 말로 표현될 수 없는 종류의 고통이었다. 암 투병의 고통은 단순한 신체적 불편함과 통증과 관련된 것이 아니다. 진통제로 해결될 수 없는 것이었다.
그것은 두려움과 불확실 사이에서 나 자신을 잃을까 두려워하는 지독한 내면의 갈등이었다. 나는 나의 안전지대를 필요로 했다.
누구에게도 내려놓을 수 없는 고통의 무게를 온전히 품어 안는다.
우리는 상처를 숨기고 방어하는 것을 익숙하게 배워왔다. 하지만 심리상담을 업으로 삼으면서 알게 된 것이 있다. 고통을 부정하지 않고 그 고통과 마주하는 것은 더 큰 용기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나는 한때 내가 사랑하는 사람의 슬픔을 바라보며 그 고통을 없애주고 싶었던 날들이 있었다.
고통을 허용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았다. 하지만 해결하기보다 '존재하는 것'이 더 중요한 순간이 있다. 그 순간에 함께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일 때가 있다.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창밖으로 노을이 내려앉았다. 나는 자연스레 햇살을 따라 병원 로비를 지나 나무 아래에 앉았다. 부드러운 바람이 불어오고, 버드나무 사이로 햇살이 반짝였다. 그 순간은 마치 슬로우 모션처럼 천천히 지나갔다. 눈을 감고따스한 햇살을 느끼며, 지금 여기서의 내 모습을 바라보았다.
그동안은 마치 시간이 멈춘 듯한 고요함 속에서 아무 일도 없는 듯 느껴졌다. 햇살 아래에서 모든 걱정과 두려움을 잠시 잊고 나는 그저 나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었다. 혼자라고 여겼지만, 이 공간이, 살랑이는 바람이 나를 어루만지고 있었다.
아픔이 만연한 그 순간에 충분히 현재의 순간에 머무르는 것, 그것이 위안이 됨을 내게 온 이 병을 통해 배우고 있다. 오직 몸 안에 갇혀 있을 때는 알 수 없던 것들이 자연과 연결되는 순간에 온 세상과 하나가 되어 가벼워지는 느낌을 받았다.
이곳에서의 나는 이 시간을 고통을 참아내는 것만으로 보내고 싶지 않았다. 이 시간은 내게 주어진 소중한 삶이기에, 나를 돌아보는 시간을 남기고자 치료 중 느끼는 미세한 변화들, 감정의 소용돌이, 내면의 기쁨이 자라는 순간들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는 내 아픔과 고통을 외면하지 않기로 결심했다. 나는 이것과 함께 사는 법을 배우기로 결심했다. 고통은 내 삶을 완벽하게 하지 않지만, 때로 그 고통 덕분에 나와 더 진실하고 깊은 관계를 맺게 한다.
나는 나의 아픔도, 고통도 내 삶의 일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기로 했다.
내가 진정으로 찾고자 하는 것은 새로운 풍경이 아니라, 이미 내 안에 있는 나 자신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