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번째 항암
내 삶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나는 몸을 통해 세상을 만나고 사랑을 나누는 존재로 자라왔다. 때로 아픔을 통해 깊은 사랑을 배우기도 했다.
몸은 단순히 신경계와 근육으로 이루어진 물리적인 존재가 아니다. 그것은 나의 감정과 기억이 얽혀 있는 필연적인 동반자로서, 내 삶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나는 청각이 예민한 편에 속했고, 떨리는 목소리에서 들려오는 감정을 잘 읽어냈다. 누군가의 기쁨이나 아픔, 촉감으로 전해 오는 자극 하나에도 내 감각을 모두 깨워낼 수 있었다.
따뜻한 손길, 발끝에 스치는 바람, 그리고 사랑하는 이의 포옹 속에서 느끼는 편안함은 내 존재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주었다.
내 몸은 세상을 향해 열려있었다.
하지만 지금 항암제를 마주하는 순간, 내 몸은 본능적으로 움츠러들었다. 세상을 향해 열려 있었던 내 몸에서 두려움의 벽이 솟아나는 느낌이었다. 항암 치료는 깊은 불안과 두려움을 동반하곤 했다.
간호사들은 수술용 장갑과 방호복을 착용하고 항암제를 조심스럽게 다뤘다.
나는 항암제를 맞는다는 사실 앞에서 스스로 내 몸에 제대로 동의를 구했는지 모르겠다. 암진단 이후 모든 순간이 나를 압도했다. 그저 의사와 간호사가 내 앞에서 일어나는 일들의 주인공인 듯 보였고 나는 그 흐름 속에서 수동적인 존재가 되어버렸다
보호자가 없는 간호간병병동에 홀로 입원했다. 첫 번째 항암 치료를 받던 날, 약물이 내 몸속으로 들어간 지 약 30분이 지났을까. 화장실로 가던 중 갑자기 식은땀을 흘리며 그 자리에서 철퍼덕 쓰러졌다. 약물 쇼크가 온 것이다. 내 앞의 시야가 흐려졌고 나를 향해 달려오는 간호사들의 모습이 희미하게 떠올랐다.
한 여름의 조례 시간에 쓰러지던 한 여학생을 보며 그러한 상황은 내 것이 아닐 것이라 여겼다.
학창 시절 수영선수였던 나는 체력에 자부심이 있었다. 매일 쉬지 않고 1km를 수영했고 고된 훈련도 이겨낼 수 있는 강인함이 있었다. 그러나 항암 약물 앞에서는 그 힘조차 무의미해졌다, 나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나는 3박 4일 동안 매일 3종류의 항암제를 맞았다. (시스플라틴, 블레오마이신, 에토포시드) 4주 간격으로 총 여섯 번을 맞을 것이다.
항암제가 주입되는 동안 눈을 감고 있으면, 몸을 흐르는 항암제와 이 몸이 세계의 전부처럼 느껴졌다.
모든 외부의 소음과 번잡함이 멀어지고, 그 자리에 남은 것은 쓸쓸하지만 생생한 내 존재였다.
약물에 취했는지 입원기간 내내 무거운 졸음이 쏟아졌다. 매일 여덟 시간 동안 항암제 링거를 맞았다. 눈을 떠보면 회진차 온 선생님이 내 앞에 보였다.
다시금 눈을 감는다.
내 안의 불안함과 두려움, 낯선 느낌을 내려 놓을 곳이 없어 나는 내 몸과 조우한다.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큰 힘을 발휘하고 있는 이 몸이,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믿고 싶다.
고통이 결코 나를 나약하게 만들지 않기를..
나는 나지막이 몸에게 말을 건넨다
너는 결코 혼자가 아니야...
이 작은 소리조차 내 안의 깊은 곳까지 스며들어, 나의 세포가 그것을 느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