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0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조선시대, 지방을 다스리는 두 얼굴3

수능특강 지문으로 쓰는 논술 특강 02.

by 지은이 지은이 Mar 23. 2025
요즘 앞으로의 미래를 고민하면서 ‘내가 어디에서 살아야 할까?’라는 생각을 자주 해요. 서울 같은 대도시에서 바쁘게 살 것인지, 지방에서 좀 더 여유로운 생활을 할 것인지 고민하게 돼요. 그런데 이런 고민을 하다 보면, 지방이 얼마나 살기 좋은 곳이 될 수 있을까도 궁금해져요. 지방이 발전하려면 결국 지방 자치가 얼마나 잘 운영되는지가 중요하다는 생각도 들어요.
조선 시대에도 지방을 운영하는 방식이 변했어요. 처음에는 유향소가 향리를 감찰하며 지방을 관리했지만, 부패 문제가 생기면서 사라졌어요. 그 대신 향사당이 생겨서 교육과 교화를 중심으로 지방 자치가 이루어졌어요. 이렇게 시대에 따라 지방을 운영하는 방식이 달라진 것처럼, 오늘날에도 지방 자치는 변화해야 해요. 사람들이 지방에서 살고 싶어야 경제도 살아나고, 지역 사회도 활력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대도시로 떠나요. 저도 지방에서 자란 친구들이 서울로 올라와서 일자리를 구하는 걸 많이 봤어요. 결국, 지방이 자립하려면 일자리도 많아지고, 교육이나 문화 생활도 편리해져야 해요. 그러려면 지방 자치단체가 지역에 맞는 정책을 만들고,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야겠죠.
우리가 미래를 고민하는 것처럼, 지방 자치도 끊임없이 변화해야 해요. 한때 유향소가 필요했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향사당이 등장했던 것처럼, 지금 우리가 사는 지역도 변화에 맞춰 새로운 방향을 찾아야 해요. 내가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갈지를 고민하는 것처럼, 지방 자치도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 고민해야 해요. 그런 변화가 있다면, 언젠가는 저도 대도시가 아니라 살기 좋은 지방에서 삶을 꾸릴 수 있겠죠?




1. 출제 의도

이 문제들은 조선 시대 지방 통치 제도를 분석하고, 이를 현대적 관점에서 비교·해석하는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출제되었다. 학생들은 유향소와 향사당의 역할과 변화, 사림 세력의 정치적 입장, 중앙과 지방 간의 관계 변화를 논리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이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단순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사회와 연결 지어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2. 문제 해설

[문제1]은 유향소와 향사당의 역할과 차이를 분석하며, 이를 조선 시대 지방 행정 변화와 연관 지어 설명하는 문제이다. 학생들은 유향소가 감찰 및 행정적 역할을 수행했던 점, 향사당이 교육적 기능이 강화된 점을 비교해야 한다.

[문제2]는 김종직의 유향소 복원 주장을 사림의 정치적 입장과 연결 지어 분석하는 문제로, 사림이 중앙 권력의 간섭을 견제하려 했음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조선 후기 지방 사족 중심의 향촌 질서와 붕당 정치로 이어지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문제3」은 조선 시대 유향소·향사당과 현대 지방자치제도를 비교하는 문제로, 조선 시대에는 지방 자치가 사족 중심으로 운영되었다는 점과 현대 지방자치는 법적·제도적으로 보장된다는 점을 비교해야 한다. 또한, 중앙 정부와 지방 자치단체 간의 역할을 설명하고, 지방 분권의 중요성을 논리적으로 서술해야 한다.

이전 06화 조선시대, 지방을 다스리는 두 얼굴2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