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sb May 06. 2023

요가수트라 1.35~39 멈추고 명상하라

▶ Sutra I.35 대상에 대한 명상으로 초자연적 지각을 얻을 수 있다. 마음은 안정되어 고정되고 이로 인해 멈춤의 지속에 이른다

▶ Sutra I.36 또한 맑고, 내 안에서 고통을 초월한 빛나는 빛을 명상한다.

▶ Sutra I.37 또한 무욕을 달성한 존재를 명상한다.

▶ Sutra I.38 또한 수면 중에 생긴 지식을 명상한다.  

▶ Sutra I.39 또한 내 마음이 끌리는 어떤 것을 명상한다.


  삼매에 이르기 까지의 명상은 두 단계를 거친다. 집중과 머무름이다. 한 대상에 집중을 시작하고, 그것이 안정되었다고 느낄때 그곳에 계속 머무르는 것이다.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꼬끝응시 명상, 혹은 촛불명상이 있다.  우선 호흡부터 가라앉혀야 한다. 근육과 같이 마음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내부의 기관은, 부교감신경은 호흡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호흡을 낮추면 자연히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우리의 몸은 영적 에너지에 집중한다. 우리 몸에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곳이 소화기관과 두뇌이다. 따라서 명상을 할 때는 음식을 절제하여 몸을 비워두는게 좋다. 같은 원리로 내가 어떤 특정 부위에 힘을 주고 있는지 온몸을 살핀다. 온몸의 기를 척추에 모아서 척추사이로 흐른다고 상상한다.


  명상을 진행하는 동안 내 몸의 기운(쁘라나)는 영적에너지로 바뀔 것이다. 원리를 이해하고 했을 때, 그 얻을 수 있는 것이 더 중폭될 것이다.


NASIKAGRA DRISHTI MUDRA is Nose Tip Gazing. In Sanskrit, Nasika means nose and Agra means end or tip. Drishti means SIGHT. So, Nasikagra Drishti literally means gazing at the tip of the nose.

Nasikagra Drishti is a powerful practice to develop concentration, used in conjunction with many meditation techniques.

DRISHTI or FOCUSED GAZE relates to the 5th limb of Yoga - PRATYAHARA or sense withdrawal, as well as the 6th limb - DHARANA related to concentration.


(출처 facebook.com/YogAseema/posts/-nasikagra-drishti-mudra-is-nose-tip-gazing-in-sanskrit-nasika-means-nose-and-ag/645417815918445/ )


코끝응시 명상 NASIKAGRA DRISHTI MUDRA(좌)  촛불응시 명상 Trataka Meditation(우)     



  "해탈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나디는 수슘나이다. 수슘나는 깐다(단전,쁘라나 생성)의 중앙에 위치하며, 척추를 따라 오르며, 머리에 그 거처를 갖는다." VS. 2.24~25

  "수슘나는 시간요소를 초월한다. 이것이 내가 알려주는 비밀이다" VS.2.30



  기억 저장소에 넣고 싶으면 자기 전에 외워라라는 말을 한다. 수면 중에 의식 표면의 기억이, 뇌속 깊은 곳의 기억저장소로 이동한다고 한다.


  나의 경험으로도 어떤 풀리지 않는 문제에 골몰하다가 잠이 들면 수면중에 그 신박한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이 있다. 깊은 수면이 아니라, 새벽녘에 반수면 반의식 상태에서 그 문제의 해결점을 보여주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해가 떠오르면 사라진다. 가장 최근에는 만 卍자이다. 티베트의 십자가인 卍이 보였다. 그리고 그 교차점에 답이 있다고 내마음을 두드린다. 교차점이 시간과 공간이 만나는 곳인데 거기에 주목하라고 계속해서 내 마음을 두드렸다. 아직까지도 정확하게 그게 뭔지는 모르겠지만 언젠가 풀릴 날이 있을 것이다.

 

  알파파는 반수면 상태의 뇌파라고 알려져있다. 이것은 명상상태에서도 발산되는 파이다. 우리가 마음을 가라앉히고 호흡을 낮추어 명상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런 알파파를 유도하는 명상이 요가니드로이다. 수면상태와 비슷한 상태에서 명상을 하며 참나를 초대할 수 있다. 참나를 초대할 때는 원자같은 내 안의 아주 작은 맑게 빛나는 존재라고 상상한다.

 








<관련논문>

-비하르 요가전통의 차크라 수련체계 및 원리, 곽미자

-Pranic Energization Technique (스와미 비베카난다 요가대학교의 차크라 활성화를 위한 프라나 치유요가 기법), 이진아

-차크라 명상의 임상적 활용-PQT (Prajna Quantum Therapy),김성호 (한국요가명상협회)

-아즈나 짜끄라의 생리학, 조옥경



▶ Sutra I.35

िवषयवती वा पर्वृ त् त्प ा मनसः  स्थितिनब न्धनी ॥३५ ॥

viṣayavatī vā pravr￿tti-rutpannā manasaḥ sthiti nibandhinī

Meditation on an object can produce extraordinary sense perceptions, the mind gains confidence and this helps perseverance.

▶ Sutra I.36

िवशोका वा ज्योितष्मती ॥३६ ॥

viśokā vā jyotiṣmatī

Also meditate on the Inner Light which is serene and beyond sorrow.

▶ Sutra I.37

वीतरागिवषयं वा िचत्म ् ॥३७ ॥

vītarāga viṣayam vā cittam

Also meditate on one who has attained desirelessness.

▶ Sutra I.38

स्वप्निनदर्ाज्ञानालम्बनं वा ॥३८ ॥

svapna-nidrā jñāna-ālambanam vā

Also, meditate on the knowledge that comes from sleep.

▶ Sutra I.39

यथािभमतध्याना  ॥३९ ॥

yathā-abhimata-dhyānād-vā

Also, meditate on anything that appeals to you.

                    

이전 21화 버럭했던 중국인 친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