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동정을 유발시키려고 하는 것-동정이란 영혼의 힘을 약화시키는 것이다. 물론 사람은 동정을 입증해야 하지만, 동정을 갖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 왜냐하면 불행한 사람들은 어쨌든 동정을 보이는 것이 그들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선을 행하는 것이라고 여길 정도로 어리석기 때문이다..... 동정에 대한 열망은 자기만족을 향한 열망이며, 더욱이 이웃의 희생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 동정심은 지극히 자기애에 빠져 남을 전혀 고려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Ⅰ』, 책세상, 2019. p.78)
"동정에 대한 열망은 자기만족을 향한 열망이며, 더욱이 이웃의 희생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는 동정심이 타인의 고통을 통해 자신의 우월감을 확인하고, 자기애를 충족시키려는 숨겨진 욕망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흔히 불우한 이웃을 돕는 행위를 통해 자신의 도덕적 우월감을 느끼고, 자기만족을 얻는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는 타인의 고통을 이용해 자신의 만족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행위일 수 있다. 니체는 이러한 동정심을 "지극히 자기애에 빠져 남을 전혀 고려하지 않음"이라고 비판하며, 진정한 인간적 연대는 동정이 아닌,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영복 선생은 그의 저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서 "돕는다는 것은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으며 함께 걸어가는 공감과 연대의 확인"이라고 말한다. 이는 타인의 고통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공감하며, 함께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것이 진정한 연대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친구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우리는 단순히 물질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넘어, 그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며, 그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한다. 신영복 선생은 이러한 공감과 연대를 통해 인간은 서로에게 힘이 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
니체와 신영복 선생의 주장은 언뜻 보기에 상반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들은 모두 인간관계에서 진정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니체는 동정이라는 감정이 가진 이기적인 측면을 비판하며, 인간은 타인의 고통을 통해 자신의 만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연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영복 선생은 이러한 공감과 연대를 통해 인간은 서로에게 힘이 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다고 믿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