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공개하기로 마음먹었을 때 초심자에게 두려운 건 독자의 평가와 비난일 겁니다. 당장 출간을 하지 않더라도 평소에 글 쓰는 게 중요하다고들 해서 글쓰기 플랫폼을 통해 글을 공개하고자 마음먹어도 이게 생각보다 떨립니다. 더구나 인터넷 댓글 다는 건, 편의점에서 껌 하나 사는 것보다도 훨씬 쉬워서 익명을 빌려 아무 말이나 늘어놓으며 비난하는 사람을 만날 가능성은 항상 있습니다.
에세이 장르는 결국 '나'를 드러내는 글인 만큼 내가 쓴 에세이에 악성 댓글이 달리는 건, 정보 전달 글을 쓰고 비난을 받는 것보다 상처가 큽니다. 내 인생이 부정당하는 느낌이랄까요. 내 글의 문장 기교나 전개 방식을 지적당하는 것도 괴롭겠지만, '글을 보니 이 작가는 참 형편없는 사람 같다'처럼 글을 통해 미뤄 짐작되는 나까지 통째로 상대의 잣대에 따라 아무렇게나 구워삶아지는 거지요. 칼날처럼 날카로운 댓글이 떡하니 내 글 밑에 박제된 걸 보노라면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화끈거리기까지 합니다.
한 번은 공공기관 위촉강사로 온라인 강좌를 진행한 적이 있어요. 독서교육을 하는 일반 강사로 청중을 만날 때는, 작가로서 독자들을 만날 때와는 느낌이 확연히 다릅니다. 북토크에 오는 독자들은 작가에 대한 최소한의 호의나 관심이 있는 경우가 많지만, 강사에 대한 정보 없이 강좌명만 보고 오는 청중에게 그런 친밀감을 기대하기는 어렵겠지요.
안 그래도 작가 북토크 같은 행사보다는 조금 더 긴장하면서 강의를 하는데, 채팅창에 갑자기 다다다다 글자가 떴어요. "지금 말씀하신 책은 00년에 나온 책이 아니고, 00년에 나온 책입니다. ##책과 @@책은 서로 다른 책입니다."라고 하시는데 순간적으로 당황했어요. 제가 불분명하게 말한 면이 있을지 몰라도, 틀리게 말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그분이 제가 전달한 내용을 잘못 이해하셨던 거거든요. 다행히 오해 없도록 말씀드리고 정확하게 알려 주셔서 감사하다고 했습니다.
사소하다면 사소한 지적이었지만, 강의가 끝난 후에도 그 순간이 자꾸 생각나서 기분이 썩 좋지는 않았어요. 중대한 실수가 아니고서는 강의하고 있는 사람 면전에 대고 그렇게 모든 수강생들이 보는 채팅창에서 지적할 것까지 있었을까, 야속하다 싶은 생각이 들고, 다른 분들이 강사가 준비도 안 하고 강의하는 것처럼 오해하지는 않을까, 걱정스러운 마음까지 앞섰어요. 내내 그 순간을 복기하며 그때 느낀 불편한 감정을 곱씹고 있던 제게 딸아이가 말하더군요.
"엄마, 그 순간 좀 당황했을 수는 있는데, 그 정도 돌발상황을 두고 일에 대한 회의까지 느낀다니, 솔직히 말하면 조금 배부른 투정 같아. 엄마 강의료가 얼마지? 내 친구들 애슐리에서 시급 만원 받으면서 진상 손님들 수없이 만나. 더 솔직히 말하면, 내가 엄마 정도 강의료를 받는다면, 그 강의 듣는 사람들 모두가 나한테 한 마디씩 해도 거뜬히 잘 참고 넘길 것 같아."
아이의 쓴소리에 뭔가 정신이 번쩍 들었어요. 단순히 돈이 중요하다는 말을 하는 건 아니에요. 어쩌면 "작가님 글 너무 좋아요!" , "강사님 강의 감동적이었어요!" 이런 말들에 취해서 작은 지적 하나 넘기지 못할 만큼 내가 대단한 사람인양 착각하고 있었던 거 아닌가? 글 쓰는 사람으로서, 강의하는 사람으로서, 내 글이나 강의에 충실히 임하고 그만큼 자신감을 갖는 것과, 내가 꽤나 대단해서 아무도 지적 안 할 거라고 자신하는 건 다른 문제인 거지요.
인생의 초기값을 불행으로 놓으면 작은 행복에도 감사하게 되는 것처럼, 나를 아무것도 아닌 사람으로 놓으면 비난이나 지적에 오히려 면역력이 생겨요. 저 사람 입장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고 넘기게 돼요.
안 그래도 이런 생각을 하며 숨을 고르던 차에, 경력이 오랜 강사 선생님이 제 얘기를 듣고 행여 속상해하지 말라며 덧붙인 말씀도 도움이 되었어요.
"선생님, 강의하다 보면 별 사람을 다 만납니다. 선생님은 작가 북토크 같은 거 하면서 애초에 호의를 갖고 오는 청중만 만나서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진짜 세상엔 다양한 사람이 있어요. 거기에 일일이 휩쓸리면 이 일 못해요. 그냥 아, 저 사람이 오늘 기분이 안 좋은가보다, 아, 저 사람이 이런 자리에서 자기를 드러내고 싶었나 보다, 이해하시면 됩니다.
거꾸로 내 강의 좋았다고 하는 분에 대해서도 내가 엄청나게 잘해서가 아니라 그저 오늘 내가 말한 어떤 지점이 저 사람이 힘들어하는 어떤 지점과 딱 맞아떨어지는 우연이 발생했을 뿐이라고 생각하시고요. 청중의 반응 중 내가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은 매우 제한적이에요. 그건 각자 인생이 얽혀있는 영역이라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하셔야 해요."
글을 쓴다는 건 결국 누군가와 소통하기를 갈망하는 거지요. 세상에 나를 드러내는 일이기도 하고요. 용기를 내서 세상에 나를 보여준 만큼 대답을 듣고 싶고, 인정도 받고 싶을 거예요. 그러나 독자의 반응은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란 사실도 받아들여야 합니다.
글이든, 말이든, 일단 나를 떠나가면 더 이상 나만의
것이 아니고 받아들이는 사람의 인생과 결합해 새로운 의미가 생겨버려요. 최종 발언자로서 글쓴이가 그 무게를 짊어진다는 것이, 독자가 이해한 의미 하나하나 글쓴이가 끝까지 쫓아다니며 혹여 오해가 있으면 바로 잡고, 오독이 있으면 교정해 준다는 뜻은 아닐 거예요. 불가능한 일이잖아요. 그러니 근거 있는 비판이라면 한 번쯤 귀 기울여 들어보고, 소모적인 비난이면 과감히 무시해도 괜찮습니다.
딸아이와 동료 강사 선생님의 조언을 종합하니 악플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제법 명료하게 정리가 되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