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onA Aug 25. 2024

밥밥디라라 따리리라리라라

밥밥디라라 따리리라리라라

차곡차곡, 착착착!

냉장고에 동글동글한 스테인리스 찬통들이 들어찬다.

경기도 양평에 있는 국립야영장으로 1박 2일 여행을 계획하고 나와 동생은 엄마에게 신신당부를 했다.

"엄마, 아무것도 준비하지 말고, 가면 근처 식당 가서 밥 사 먹읍시다. 더운데 땀 뻘뻘 흘리면서 뭐 준비하지 마시고."

"야야, 그래도 한 끼 정도 사 먹지, 어떻게 매끼 다 사 먹냐"


'아무것도 하지 말고 푹 쉬다 오이소~' 하는 우리의 당부는 엄마의 오이 뽀득뽀득 씻는 소리에 묻히고 만다. 찬통에 쌈장 가득 담고, 당근도 먹기 좋은 크기로 타다 타닥 썰고, 쌈채소도 샤샤삭 씻어 봉지에 담고, 어제 사서 냉동실에 넣어둔 목살 그대로 가져가면 된다고 혼잣말을 하는 엄마. 그녀가 분주하게 개수대와 식탁, 냉장고를 바삐 오가는 사이, 국립야영장도 피해 갈 수 없는 한그득 차려질 찬들이 준비된다.



밥...

나에게 밥, 더 정확하게 말하면 밥으로 상징되는 살림이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사회적 인정과는 거리가 먼, 참으로 생산성 없는 행위였다.

"이번에 전교 몇 등했어?"
"백일장에서 상 받았다며?"
"이번에 신입생 많이 들어왔다며?"
"선생님, 수업 잘한다고 소문이 났어요."

나는 주로 이런 거에 동기 모터가 가동되었으니까.


명절이면 찾아가는 할아버지 할머니 댁이 있는 작은 시골 동네에 약방집 첫 손녀가 전교 1등 했다고 소문이 퍼지면, 담배가게 할아버지는 동그랗고 기다란, 속을 쑥 넣으면 하얀 안개가 쓰윽 올라오는 하드통에서 하드를 하나 꺼내주시며 어깨를 툭툭 쳐 주셨고, 콩나물을 뽀드득 검은 봉지에 넣으시는 채소가게 할머니도 '용타, 용해' 하셨다. 그러면 옆에 서 계셨던, 동네 호랑이로 불리셨던, 우리 할머니 얼굴도 잠시 온화해지셨다.


이렇게 무언가를 성취해서 칭찬받는 약방집 첫 손녀의 소명과 사명이 만들어졌다. 성취하고, 존재감을 드러내고, 주변 친지들을 으쓱하게 하는 일. 실제로 그 사명과 소명을 향한 나의 노력 덕분에 주변 사람들은 자주 어깨를 으쓱했다. 하지만 정작 나는 매우 우울한 학창 시절을 보냈다. 당시 출판되었던 책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와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가 유일한 위로였다. 여하튼, 성과가 눈에 보이지 않고 관심도 받지 못하는 '살림'에 심드렁해진 나의 이 증상은 이러한 배경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측해 본다. 그래서 엄마의 전투와 같은 '살림' 철학은 참 동의하기 어려웠다.

"엄마,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 해봐요. 밥은 이제 좀 대충 하고."

"그럴 시간이 어딨어. 밥만 해 먹고살아도 잠시 앉을 시간도 없는데"


하지만, 지난 3년, 일 년에 한 번씩, 한 달 가까이 엄마와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알게 되었다. 엄마에게 살림이란 해와 달의 오누이가 내려주는 동아줄 같은 것이라는 것을. 우울증, 공황장애, 이석증, 고지혈증 등등으로 체중이 급격하게 줄고, 기력이 급격하게 쇠해진 아빠를 위해, 엄마에게 '밥'은 전쟁터의 총이자 총알이자 붕대이자 연고였다. 매일 아침, 의료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을 보며 메모한 노트들이 책꽂이에 빼곡하고, 몸에 좋다는 식재료들을 구해서 조리하고 실패와 성공을 반복하는 '살림', 말 그대로 사람을 '살리는' 일은 아빠를 살리는 일이기도 했지만, 엄마의 존재감을 살리고 엄마를 살리는 일이기도 했다.


"하는 일이 없는데 왜 이렇게 피곤하지?"


미국에 도착하고, 자주 했던 말이다. 난생 처음으로 출퇴근이 없는 생활이 시작되었고, 아침에 눈뜨면 하루가 온전히 '하고 싶은 일'로 채워질 상상에 들떠있었지만 이상하게도 '하는 일' 없이 매일 피곤했다. 그때 내가 했던 일이라고는 아침에 일어나 청소하고, 쓰레기 비우고, 세탁기 돌리고, 아침 준비하고, 돌아서서 점심 준비하고, 좀 있다 저녁 준비하는, '고작' 그게 다였는데 말이다. 그때 영문모를 고단함을 하소연하는 지인이 해준 말이 있다.


"살림이 사람을 '살리는 일'이야.
너 지금 그거 하는 거야. 너랑 남편이랑 아들 살리는 일. 그러니까 피곤하지. 안 해봐서 그게 얼마나 피곤하고 고단한 일인지 몰랐지. 너나 나나 돈 버는 일이나 중요한 줄 알고 살아서 그래"


그 말을 듣고도 금방은 그 말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던 나. 하지만 이제, 고단함은 영문을 찾았고, 더 이상 하는 일없이 피곤하다는, 살림을 하대하는 말을 하지 않는다.


'밥 매일 차려주는' 엄마는 '밥 매우 가끔 차려주는' 딸을 위태롭게 바라보셨지만, 한편으로는 부럽다고도 하셨다. 나는 여전히 엄마가 밥은 좀 덜 치열하게 차리고, 다른 재미난 걸 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많다. 추사 김정희 뺨치게 고운 글씨체로 서예를 하셔도 되겠고, 곧잘 그리시는 그림을 그리셔도 좋겠고, 재미난 말솜씨를 글로 풀어보셔도 좋겠고... 그래서 캘리그래피 연습하는 세트도 사드리고, 예쁜 펜도 사드리고, 유화 캔버스 세트도 사드리고...하지만 이런 아이들은 '밥'하고 주변 사람들을 살리는 '살림'에 밀린다.


나는 미국에 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지인의 권유로 모기지 프로세서일을 시작했다. 여전히 살림만으로는 내 존재의 의미를 찾기가 어렵다. 하지만 재택근무인 덕분에 나의 살림 솜씨는 더디지만 나날이 늘어간다. 이젠 엄마와 살림살이 얘기로도 곧잘 수다를 떨 수 있게 되었다.


엄마, 엄마, 엄마, 오늘 아침에 뭐 해잡솼어요?


밥하는 엄마가 생각나게 하는 클론의 노래 '난' ㅋㅋㅋ 밥밥디라라 따리리라리라라



이전 12화 동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