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리원 Oct 24. 2021

시부모님이 차린 생선구이와 매운탕

통영=굴? 통영의 찐 맛_ 2. 통영식, 아니 최가네 집밥

시댁에 가면 생선이 질릴 때까지 먹고 온다. 아무래도 남해 바다를 끼어 있어서 그런지 시장에 가도 싱싱한 생선들을 많이 만날 수 있고, 낚시를 즐기는 시댁 부모님의 이웃 덕분에 자연산 활어들을 종종 얻기도 한다. 태어나고 자란 곳이 경상북도 내륙 지역이다 보니 어릴 적부터 생선보다는 육류를 즐겼다. 생선요리들은 주로 고등어와 갈치 위주로 먹었다. 마트나 시장에 가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가 고등어와 갈치였고, 엄마는 고등어와 갈치로 구이나 조림을 해 주었다. 고등어와 갈치로 요리한 구이와 조림은 정말 맛있다. 기름을 잔뜩 둘러 프라이팬에 구워 먹으면 한 마리는 뚝딱이다. 또 무를 듬뿍 넣어 각종 양념을 더해 졸여 먹으면 밥 두 그릇은 기본이다.


하지만 결혼하고 나서 고등어와 갈치 이외의 생선들을 맛본 뒤로 세상에는 맛있는 생선들이 많다는 걸 알았다. 그리고 내가 육류보다는 생선을 더 좋아한다는 사실도 깨달았다. 시댁에서 정말 다양한 생선들을 경험하였다. 참돔, 감성돔, 옥돔 등 돔 종류는 물론이고, 볼락, 숭어, 병어 등도 맛보았다. 그러면서 볼락은 구이보다 매운탕으로 먹을 때 더 맛있고, 병어는 조림으로 요리할 때 더 맛있다는 사실을 알아갔다. 난 매운탕이나 조림보다 구이를 즐기는 편인데, 지금껏 내가 맛보았던 생선구이 중에 가장 탁월했던 것은 단연코 전갱이구이였다. 시아버지께서 전갱이구이를 해 주실 때면, 남편은 며느리 좋아하는 것만 해 준다며 질투 섞인 말을 내뱉는다.


"니 좋아하는 전갱이네. 많이 먹어."


전갱이는 제주도에서는 각쟁이라고도 하는 생선인데, 시부모님과 함께 제주도 여행을 하면서 각쟁이조림으로 처음 맛본 생선이었다. 그때에는  감흥이 없었는데, 시아버지께서 구워 주신 전갱이를 먹고 나서 전갱이구이에  빠지고 말았다. 전갱이구이는 고등어구이보다 살이 연하고  기름지다. 평소 기름진 맛보다 담백한 맛을 좋아하기에(치킨도 닭다리보다 닭가슴살을, 돼지구이도 삼겹살보다 목살을 좋아한다) 전갱이구이의 맛에 사로잡힌  같다. 아마 등푸른생선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쉽게 먹을  있을 것이라 장담(?)한다.


저 그릴에 구우면 뭔가 다른가. 아님 시아버지만의 기술이 있는 걸까.


남편은 생선구이보다 매운탕을 즐긴다. 시댁은 국물을 즐기는 식문화를 갖고 있다. 그래서 시댁 식구들과 남편은 국이 없으면 밥을 잘 못 먹는다. 이런 식문화 탓에 시어머니는 아침, 저녁으로 국물 요리를 하기 바쁘다. 육류를 활용한 국이나 찌개보다는 생선을 활용한 국이나 찌개를 만드시는데, 대체로 생선을 통으로 넣고 무랑 고추, 파 등을 큼지막하게 썰어 넣어 끓이신다. 시어머니표 매운탕은 크게 국간장을 베이스로 한 것과 된장을 베이스로 한 것이 있다. 국간장을 베이스로 한 매운탕은 깔끔하고 시원한 맛을 내고, 된장을 베이스로 한 매운탕은 구수한 맛을 낸다. 시아주버님은 된장을 베이스로 한 매운탕을 좋아하시고, 시아버지께서는 국간장을 베이스로 한 매운탕을 좋아하신다. 개인적으로 나는 국간장으로 맛을 낸 매운탕 국물이 좋다.


국물을 좋아하는 시댁 식구들이지만 선호하는 국물 맛(?)은 조금씩 달라 시어머니께서 애를 먹을 때가 많으시다. 어쩔 땐 매운탕을 국간장과 된장을 활용하여 각각 두 가지 스타일로 끓이신다. 큰아들은 된장으로 맛을 내달라고 하고 작은아들은 국간장으로 맛을 내달라고 하면, 꼼짝없이 두 가지 스타일로 끓여내실 수밖에 없다. 멀리서 온 아들들에게 맛있는 음식을 해 먹이고 싶은 마음은 이해가지만, 그런 모습을 옆에서 보노라면 안타까울 때도 종종 있다. 최근에는 연세도 드시고 몸이 불편하신지 각자 스타일대로 국물을 요구할 때면 “입맛대로 시부리네.”라며 화끈하게 욕을 날리시곤 한다. 그럴 땐 나까지 통쾌해진다.   


가끔 시어머니께서 알려 준 요리법에 따라 남편과 함께 동태탕을 끓이곤 한다. 완벽하게 맛이 나진 않지만 깔끔하고 시원한 맛이 조금은 느껴진다. 아마 시어머니께서 직접 담가주신 국간장 덕분인 듯하다. 여기에 통영 시장에서 공수해 온 동태와 시부모님께서 키운 무와 파, 직접 길러 빻은 고춧가루도 분명 한몫했을 것이다.  


시부모님께서 차려주신 아침상. 생선구이와 매운탕(생선이 통째로 들어간 매운탕은 여전히 낯설다)


이전 06화 김장김치, 100포기는 기본이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