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니 Mar 26. 2024

10) 맺으며

내가 수학을 포기했던 순간

필자는 공학을 전공했다. 필자에게 공학자로서 수학은 혐오보다 경외의 대상이다. 어떤 문제를 공학적으로 풀 때 아 이거는 어떻다라고 수학적으로 증명되어 있는 명제가 있다면. 그만큼 든든하고 감사한 말이 또 없다. 하지만 필자 역시 그 수학을 직접 다 풀기에는 여러 번의 벽에 부딪혀 이제는 더 이상 수학을 직접 공부하지는 않는다. 내가 수학을 포기했던 순간을 몇 개만 적으며 이번 집필을 마칠까 한다.


"지수함수도 좋고, 행렬도 좋은데, 지수함수 위에 행렬이 있으면 도망쳐!"


수학을 전공하던 친한 형이 해준 말이었다. 통계역학이었나 머신러닝 기본 이론이었나 이제는 잘 기억도 안 나지만 지수함수 위에 매트릭스를 올려 뭔가를 전개하는 식은 정말 끔찍하리만치 복잡했던 기억이 있다. 이것도 열심히 문제를 풀고 익숙해졌다면 나도 더 많은 것들을 공부할 수 있었겠지만.. 우선 나중으로 미뤘다. 


"푸리에 변환을 응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예시는 넓이가 일정한 도형 중 둘레가 가장 작은 것은 원이다라는 명제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 이건 조금 다른 얘기인 것 같은데, 수학과 전공 수업을 멋모르고 들었을 때의 얘기이다. 순수 수학의 관점은 꽤나 다르구나를 느낄 수 있던 때인데, 필자는 당연히 응용이라 해서 신호처리나 하다 못해 미분 방정식 얘기라도 나올 줄 알았는데 기하학이 나올 줄은 꿈에도 몰랐다. 


이것들 말고도 진짜 통계역학 시간에 온갖 오퍼레이터를 배웠을 때도 참 끔찍했고, 사실 비교적 쉬운 개념이라 조금 부끄럽지만 복소평면과 허수 개념에 대해서도 필자는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글을 쓰며 쉬운 수학 얘기로 이렇다 저렇다 했지만, 새삼 필자 스스로의 관점에서 돌아보니 참 수학을 열심히 배운다는 것은 여전히 어렵고 하기 싫은 일이구나 싶다. 


하지만 독자들이 이 짧은 글 몇 편으로 누구나에게나 수학은 어려운 학문이라는 위안을 주고, 그것을 어떻게 배워나가야 하고 그것을 배웠을 때 어떤 힘을 갖는지 전달 할 수 있었다면 의미 있던 집필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이전 10화 9) 좌표 평면: 수학을 어따 쓰냐뇨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