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재언 Nov 19. 2022

It's alright 우리집으로 가자



  앞서 소개한 것과 같이 태용씨의 직업은건축사입니다. 그래서 태용씨가 살았던 '집'들에 대한 기억을 들어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 같았어요. "아빠는 어릴 때 어떤 집에 살았는데?" 아파트에서 나고 자란 내가 묻습니다.


  태용씨네집은 일본식 도단집(기와 형식의 양철지붕 집)이었습니다. 앞마당의 우물도 태용씨네 소유였다고 하니 나름 규모 있고 근사한 집이었겠죠? 이 도단집에서는 태용씨의 고모와의 추억이 유독 기억에 남습니다. 고모가 태용씨의 손톱을 잘라주시다 피가 나자 줄행랑친 기억, 저녁에 전기가 들어오면 "고모야, 전기 들어왔다, 밥 묵자!"라고 소리치던 기억을 꺼내어 봅니다. 부족함 없이 사랑받고 자랐을 어린 시절의 태용씨가, 그 도단집에 있었겠지요.


  태용씨가 예닐곱살 즈음, 그 집을 팔고 근처에 집을 지어서 이사하게 됩니다. 새 집은 소봉씨가 1여 년간 직접 목조 공사를 하고, 울산에서 공수한 슬레이트로 만든 집이었다고 해요. 애석하게도 새 집에서 기억은 조금 슬픕니다. 새 집에서 동생 민희 씨의 다리가 아프기 시작해서  태용씨의 할머니가 어린 민희 씨를 안고 병원에 다니셨던 것이죠. 할머니는 늘 그렇게 말씀하셨지요.


"아이고, 내 죽을 때 민희 아픈 다리 가가야 할낀데.."


  할머니의 중얼거림이 기도가 되었던 것일까요. 할머니가 돌아가시고 민희 씨의 다리는 기적처럼 나았습니다. 우연의 일치일 거예요. 그렇지만 태용씨는 할머니의 지극한 사랑이 동생 민희씨의 다리를 낫게 했다고 믿고 있어요. 소주 한 잔 걸칠 때면  태용씨의 가족들에게 이 에피소드를 설화처럼 이야기 해주곤 하니까요.


"그니까네 느 고모 다리 아픈거 있제? 할머니 돌아가시고 나서 딱 나아뿐는기라."


  어린시절 기억을 지배하는 공간적인 배경은 바로 '집'일겁니다. 태용씨의 추억이 집을 배경으로 끄집어내어지는 것은 예상대로 흥미로웠지요. 지금 태용씨는 공간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 되었으니까요. 그 슬레이트 집 이후에도 몇번의 이사를 거쳐 지금은 해운대에 자리잡고 살고 있어요. 물론 여기가 마지막집은 아닐겁니다. 태용씨는 직접 집을 설계해서 짓고자 하는 꿈이 있거든요. , 태용씨 다음 추억의 배경은 어떤 모습일까요?


다음 추억의 배경은?
이전 04화 풍년이 깃들길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