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성민 Mar 29. 2022

좋은 스승을 만나야 하는 이유

배우는 이는 현명한 스승을 만나야 한다.

배우는 이는 스승의 한쪽으로 치우쳐진 설파에 정면으로 반박할 기회가 쉽사리 주어지지 않는다. 

듣는 이가 여럿일 경우에는 더더욱 그렇다. 


한국에서는 스승의 권위적인 부분에 의해 질문이나 반박을 하기 쉽지 않은 문화가 아직 남아있다. 스승이 하는 말은 모두 옳다는 전제하에 듣기를 원하는 모양새가 아직은 남아있는 것이다. 예전과는 달리 많은 부분 개선되었지만 아직은 갈길이 멀다. 

이러한 권위적인 교육 문화 속에서의 제자들은 어느새 자신도 모르게 그 스승의 성향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스승은 해당 과목에 관련한 지식과 여타 살아가는 데에 힘이 되는 것들을 전해주는 일 외에도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생각을 갖고 주체적인 사람이 되도록 이끌어 주어야 한다. 즉 학생들을 바보로 만들지 말아야 한다. 

성적은 좋으나 주체적이지 못하고 자신의 의견을 갖지 못하는 이와 성적과는 별개로 자신의 뚜렷한 입장과 의견을 밝힐 수 있는 이들 중 누가 바보인가? 입시위주의 현재 한국 교육계에서는 전자가 우수하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인류의 기나긴 시대를 통틀어 보았을 때 전자와 후자 중 어떤 이가 더 현명한 이인지는 여러 사례들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교육자로서 제자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견해는 밝힐 수 있다. 그러나 어떤 쪽이 옳고 그른 것인지 결론을 내려 전달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한 교육 방식이다. 사건의 진실은 전달하되 그것이 옳고 그른지는 제자 스스로 판단하도록 여지를 두어야 한다. 

그래야 인류의 미래가 밝을 것이다.

이전 09화 일희일비 NO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