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회복탄력성(career resilience)
중소기업 A사의 K팀장
인터넷 통신장비를 생산하는 국내기업 A사, A사는 수십 명 남짓한 중소기업이다. K팀장은 두 번째 회사로 A사에 입사했고 A사 대표와는 이전 회사 때 만난 인연으로 영업팀장직을 제안받아 이직했다. 영업팀장으로서 회사의 매출의 대부분을 혼자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서 제품의 기술력이 압도적인 차별점이 없다 보니 대기업과 경쟁이 점점 심화되었다. 매출목표 달성은 점점 어려웠고 회사의 재정도 덩달아 악화되면서 직원 임금이 수개월 체불되고 있었다.
K과장은 비록 임금이 체불되더라도 회사와 이 일을 결코 포기하고 싶진 않았다. "시간이 좀 지나면 좋아지겠지" 하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인내하며 다양한 방법들을 고민하며 노력했다. 저축해 놓은 돈이 부족해 두 자녀의 가장으로서 급한 대로 은행 빚으로 가게를 꾸려 나갔지만, 자신의 성장을 위한 돈도 지출을 아끼지 않았다.
....
그는 현재 미국계 대기업에서 높은 연봉과 좋은 근무여건, 국내외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갖고 있다. 자연스럽게 그의 다양한 경험에 상사도 그를 인정한다.예전의 고생들이 생각날 때면 현재의 만족스러운 회사생활에 보람을 느낀다. K과장은 역경을 극복한 경험을 바탕으로 당당하게 다음 커리어를 향해 앞으로 나가고 있다.
물질의 탄성
탄성은 어떠한 충격으로 인해 변형된 모양이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성질을 말한다. 즉, 물체가 다시 튀어 오르거나 원래 자리로 되돌아온다는 물리학적 탄성에서 심리학적 개념으로 확장된 개념이라 할수 있다.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Resilience)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역경과 고난을 이겨내고 성숙한 경험으로 만들어내는 마음의 근력과 같다. 개인에게 불어 닥친 온갖 역경과 어려움 속에서도 다시 도약하고자 발판을 삼는 잠재적인 힘! 스트레스 상황에도 긍정적 정서를 유지하는 태도! 역경은 큰 위협뿐만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크고 작은 혼란을 포함한다.
사회인지 경력이론(SCCT)에 의하면 자기효능감, 지금의 역경 극복으로 얻게 될 결과, 개인적 목표에 따라 지금 하는 일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게 된다. 이는 개인의 경력 주도성을 형성하는 인지적인 메커니즘인데, K과장이 자기효능감이 높고 경력목표가 뚜렷했기에 경력 회복탄력성을 높아져 직면한 역경을 극복할 수 있었다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경력 회복탄력성
경력 회복탄력성은 “일”과 관련된 회복탄력성으로 자기인식, 변화 수용성, 위험 감수성, 네트워킹 활용성을 통해 알수 있다. 아래 네 가지를 개발하여 경력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Fourie & Van Vuuren,1998).
첫째, 자기 인식이다. 자기 인식은 자신에 대한 포괄적 개념으로 자신의 목표와 비전, 능력과 가치를 인식하는 정도이다. 현재 자신의 상황과 미래 모습까지 그려보며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형성한다.
둘째, 변화 수용성이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과 상황에 빠르게 적응하고 변화된 조직의 업무를 기꺼이 받아들이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적응과 적극적 학습을 포함하며 경력적응성과 유사하다.
셋째, 위험 감수성이다. 확실치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이 생기더라도 새로운 업무 및 환경을 수용하고 그것에 대한 새로운 도전을 의미한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마음,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위험 감수는 직업 현장에서 새롭게 도전하고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는 의미하고, 자신의 전문분야에서의 기술적 향상을 필요로 한다.
넷째, 네트워킹 활용이다. 회사 내에서는 연대감, 서로를 지지하는 상호성은 어려운 환경에 부딪혔을 때 사회적 자원이 충만하여 마음의 내구성을 키워준다. 네트워킹은 상사와 동료들과 적극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이직이나 새로운 경력 기회를 찾는데 큰 도움이 된다.
아래의 진단문항을 통해 자기 인식을 높여 보자(평균점수 3.2 ~ 3.6)
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
나는 내 업무를 완벽하게 수행할 자신이 있다.
나는 경력 목표가 분명하고, 내가 나아가야 할 바를 잘 알고 있다.
나는 업무를 수행할 때 나의 능력을 믿는다.
나는 조직과 업무의 변화를 잘 받아들일 수 있다.
나는 내 업무 분야에서 산업동향과 다양한 변화를 인식하고 있다.
나는 내 업무 분야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독서, 학습, 교육을 받는다.
나는 결과가 불확실할 때에도 기꺼이 위험을 감수한다.
나는 상사나 동료들이 동의하지 않아도 내 의견을 주장할 수 있다.
나는 업무에 새로운 방법과 절차를 도입한다.
나는 불확실하거나 체계적이지 못한 상황에서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나는 상사나 동료와 유대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영향력 있는 사람들과 교류할 기회를 바라고 있다.
나는 회사 안팎으로 내 경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맥을 찾는다.
Reference
Liu, Y. C. (2003).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beliefs of employees in Taiwan. Texas A&M University.
London, M. (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4), 620-630.
Fourie, C., & Van Vuuren, L. J. (1998). Defining and measuring career resilience.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24(3), 5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