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etter Me 김진세 Oct 12. 2023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닌 나

BetterMe: 24개의 더 나은 자아로 1년 살기 프로젝트

어떻게 해야 할까

    상담소에서 다양한 삶의 이슈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들을 만난다. 저마다 호소하는 문제들은 다르지만 그 들이 공통으로 하는 질문이 있다. 그중 첫 번째는 "도대체 왜 그럴까요?"라는 질문이다. 자신의 엄마가 왜 음모론에 빠져서 하루 종일 유튜브만 보고 있는지, 부족함 없이 해준 것 같은 자녀가 대학까지 가서 왜 게임에 빠져 사는지, 남들은 다 괜찮다고 하는데 왜 내 배우자는 늘 나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다. 이런 답답함을 안고 있는 내담자들은 대체 뭐가 문제인지 알고 싶어 직접 물어보기도 하고, 달래 보기도 하고, 화를 내 보기도 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그들은 정작 납득이 되는 답을 얻지 못하기에 더 절망하게 되었다고 했다. 물론 그 질문의 대상엔 자신도 포함이 된다. 자신이 왜 그런 말을 했는지,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왜 그렇게 느꼈는지를 알고 싶다. 자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의 움직임조차 그 이유를 알 수가 없으니 그 혼란함이 주는 고통은 더욱 크다. 이런 내담자들과 "이런 이유로 그랬던 것입니다."를 함께 탐색하며 그 답을 찾게 된다. 그 이유를 찾고 나면 낙심한 표정에 희망의 빛이 드리워진다. 이유를 알고 나면 적어도 답답함은 해결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질문은 "이런 상황에선 대체 어떻게 해야 하죠?"이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결정하거나 문제의 해결을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을 만난다. 믿었던 배우자의 외도를 발견하거나, 희생하며 도와주던 친구에게 배신을 당했거나, 잘하고 있던 자녀가 우울증으로 어려움을 겪기 시작할 때 우리는 당황하게 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수많은 삶의 이슈와 도전들에 직면한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그 순간 느끼는 감정에 따라 판단을 하거나 행동을 하게 된다. 감정이 기반이 된 대처는 부정적인 결과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반응을 했음에도 상황은 더 악화되곤 한다. 이런 일들이 반복되면 자신의 판단에 대해 점점 자신이 없어진다. 내가 하는 방법이 맞는 것인지도 확신이 없다. 이럴 때 주변 사람들에게 조언을 구하기도 하지만 그 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모든 것을 다 터 놓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하게 느껴지는 관계가 많지 않다. 내게 조언을 주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다 믿기엔 너무 불안하다. 그 결과 사는 것이 참 힘들다고 느끼며 손을 놓고 문제를 방치하는 일도 일어난다. 


문제 해결 능력의 필수 요소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문제 해결 능력이다. 문제 해결 능력은 모든 삶의 문제를 완벽하게 풀어내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런 능력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이 능력은 개인의 가치와 상황의 중요성을 함께 고려하며 최상의 방법으로 인지, 정서, 행동을 아우르는 총체적 대응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문제 해결 능력은 기업에서 직원을 뽑을 때 중요시 여기는 직무능력 중 하나다. 그러나 우리가 더 나은 나로 살아가기 위한 문제 해결 능력은 그 특성이 좀 다르다. 우리가 기르고자 하는 문제 해결 능력은 이익의 창출 등 기업의 성장을 위한 효율성에 그 목표를 둔 능력은 아니다. 삶의 환경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에 대한 대응 능력으로 사람과 상황, 나와 타인의 유익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능력이다. 

    개인의 삶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응하는 이러한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선 몇 가지 필수적인 요소가 있다. 첫째는 침착함이다. 우리가 문제 앞에서 당황하거나, 불안하게 되면 합리적인 생각을 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문제를 충분히 분석하고 해결책을 고려할 수 있을 때까지 정서적 동요를 붙잡아 줄 침착함이 필요하다. 침착함을 확보하기 위해선 나를 안정시켜 줄 수 있는 자원을 활용해야 한다. 그것은 그 분야의 전문가의 조언을 얻는 것, 나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의 공감과 지지를 얻는 것 등으로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누군가를 찾는 이유가 문제를 겪는 자신의 고통을 하소연하는 것을 넘어 이성적인 반응을 위한 침착함을 얻기 위한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둘째는 현상분석기술이다. 문제가 일어난 원인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한정된 삶의 경험과 지식을 토대로 문제 및 관련된 사람들을 해석하려고 한다. 이럴 때에 편협하고 왜곡된 이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 원인을 잘못이해하고 나면 잘못된 방향으로 해결의 노력을 이어가게 된다. 그 결과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거나, 더 상황이 좋지 않아지기도 한다. 먼저 자신이 생각한 문제의 원인을 기록하고, 그것을 여러 사람들에게 검증받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TV나 인터넷 미디어를 통한 양질의 정보들을 선별하여 문제를 이해하는 일에 활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관련된 책이나 기사 등을 일으며 가용한 지식들을 모으는 것도 문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셋째는 용기다.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다양한 삶의 기술들을 사용해야 한다. 어떤 방법들은 자신에게 익숙하여 사용하기에 어색하지 않다. 하지만,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은 대부분 자신에게 익숙하지 않은 방법이다. 내가 잘 사용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었다면, 해결되지 않은 문제 앞에서 고민할 이유도 없다. 여기엔 두 가지 용기가 필요하다. 먼저는 우리를 괴롭히는 삶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선 익숙하지 않은 방법에 자신을 던져야 하는 용기다. 그리고 필요한 것은 부정적인 반응을 감수하는 용기다. 이미 회피와 방치의 부정적 결과를 경험했다면, 이젠 용기 있게 문제를 직면하고 풀어나가야 한다. 

    넷째는 꾸준함이다. 상담을 통해 만나는 많은 내담자들은 자신이 경험하는 삶의 문제가 그 누구의 것보다 심각하고 크다고 호소한다. 그러나 너무나 아이러니하게도 문제의 해결도 빨리 이뤄질 것을 기대한다. 그런 일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문제가 큰 만큼 해결의 시간도 길 수밖에 없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은 문제를 잘 분석하고 가정 적합한 방법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다. 상담자가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할 때 그런 것들은 다 해봤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얼마큼 해봤는지를 알아보면 한두 번 정도가 전부다. 이것은 효과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멈추지 않고 꾸준하게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몰랐던 경우다. 자신이 하는 해결의 시도를 믿고 오랜 시간을 들여 반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는 불완전성의 수용이다. 문제의 해결을 정의함에 있어 저마다의 기준은 다르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겪고 있는 불편함이 완전히 사라진 상태를 문제의 해결로 보고 있다. 그들에겐 좋았던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나 문제가 발생하기 전의 관계로 회복되는 것이 해결이다. 배우자의 외도가 문제인 경우를 생각해 


..... 이하는 출판될 책에서 만나요. 



참고문헌

이우숙, 박선환, 최은영. (2008).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 개발. 기본간호학회지, 15(4), 548-557.


click! [저자 책 만나기] 불안작별법: 불안과 헤어지는 30가지 자기 돌봄 가이드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2247952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