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권경인 Sep 10. 2021

요긴하게 쓰임새가 많은 나무 싸리, 그리고 목형

뉴杻, 형荊 (개정본)

옛적 겨울철에 산에서 땔나무를 하던 시절, 싸리는 언제나 인기 좋은 나무였다. 싸리 광주리나 다래끼, 바소쿠리, 비 등을 만드는 재료가 되기도 하지만, 불에 잘 타면서도 마디고 연기가 거의 나지 않기 때문이었다. 조무래기들의 설날 윷놀이에 사용할 윷을 만들 때도 싸리를 사용했다. 조선시대에 백성들이 요역으로 바친 것 중 가끔 뉴목杻木이 나오는데, 이는 대개 싸리나무를 말한다고 한다. 싸리는 땔감 이외에도 관청에서도 쓰임새가 많았다. 삼태뉴목三太杻木은 삼태기를 만드는 싸리나무라는 뜻이고, 뉴거杻炬는 싸리나무로 만든 횃불을 뜻하고 화살대도 싸리를 사용했다.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한한대자전>에서 뉴杻를 찾아보면 ‘(한) 싸리축’, 즉 우리나라에서는 이 글자의 훈을 싸리나무로 설명하고 있다. 이 글자는 시경에도 나오는 글자인데, 중국에서는 싸리를 뜻하지 않았다. 반부준의 <시경식물도감>에서는 뉴杻를 중국명 요단遼椴, 혹은 강단糠椴, 즉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 Rupr.)로 보고 있는 것이다. 참고로 싸리(Lespedeza bicolor Turcz.)의 중국명은 호지자胡枝子이다.


참싸리, 2020.9.29 남한산성


정약용은 <아억각비>에서 잘못 쓰이고 있는 글자의 하나로 이 싸리 나무를 들고 있다. 해당 부분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뉴杻는 억檍이다. 형荊은 초楚이다. 우리나라에서 속칭 형荊을 뉴杻로 보고, 형사荊笥를 뉴롱杻籠이라고 하고, 형승荊繩을 뉴승杻繩이라고 하는데 이는 잘못이다. <지봉유설芝峰類說>에서, “종루鍾樓는 뉴목杻木으로 기둥을 만들었는데, 대개 뉴杻도 큰 것이 있다”라고 말했는데, 이수광 공이 대개 형荊을 뉴杻로 이해한 것이다. 그러나 당풍唐風에 ‘습지에 뉴杻가 있네’라고 나오고, 육기陸璣의 소疏에 의하면, “뉴杻는 억檍이다. 껍질은 붉은 색이다. 굽은 곳이 많고 곧은 곳은 적다. 형荊으로 말할 것 같으면 그 껍질이 비록 붉지만 곧기가 화살과 같다”라고 했으니, 어떻게 굽은 곳이 많고 곧은 곳이 적다고 할 수 있겠는가? 형荊은 모형牡荊이다. ‘모형牡荊은 청靑과 적赤 두 종류가 있다. 청색이 형荊이고 적색이 고楛이다. 어린 가지로 광주리나 둥구미를 만들 수 있다. 오래도록 땔나무로 베어지지 않으면 나무 크기가 작은 주발만해진다’라고 본초강목에서 말했다. 내가 고달산高達山에서 서까래만큼 큰 것을 봤다. 다시 한 배 더 커지면 어찌 집의 도리를 만들 만하지 않겠는가? 지봉芝峯이 가리킨 것은 바로 형荊임이 분명하다.”*


사실 정약용의 이 글은 언뜻 이해하기 어렵다. 정약용 선생이 뉴杻를 싸리로 이해했는지,찰피나무로 이해했는지는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형荊에 대해서는 직접 모형牡荊이라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목형류 나무로 이해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형荊은 중국의 <초사식물도감>에서 목형牡荊(Vitex negundo L.)류로 보고 있고, 일본의 <식물의 한자어원사전>에서도 목형(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으로 설명하고 있다. 초楚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목형을 가리킨다. 앞의 인용문에서 뉴롱杻籠, 즉 뉴杻로 만든 고리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정양용은 뉴杻를 싸리로 이해하고, 우리나라에서 속칭 형荊을 싸리라고 하는 것이 잘못이라고 주장하는 것 같다.


겨울 싸리, 2020.3.14 천마산

실제로 조선 후기의 일부 학자들은 형荊을 싸리나무로 이해한 것이 분명하다. 이학규李學逵(1770~1835)의 <동사일지東事日知>에는 윷놀이(柶木戱)를 설명하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요즈음 세속에서 새해 아침에 어린 아이들이 ‘형조荊條(속명 살이 俗名煞伊)’를 잘라 쪼개어 네 개로 만들고, 이를 번갈아 가며 서로 던진다. 네 매枚가 모두 엎어지는 것이 최상의 패이고 모두 위로 향하는 것이 그 다음이고, 세 매가 위로 향하는 것이 그 다음이고, 두 매가 위로 향하는 것과 한 매만 위로 향하는 것이 실패한 패이다.” ** 이 글에서 형荊 가지條를 우리 말로 ‘살이煞伊’라고 했는데, 이 살이는 싸리를 한자음으로 표기한 것이 거의 확실하다. 나는 산골에서 자랄 때 적당한 크기의 싸리나무로 윷을 만들어 놀았다. 잘 자란 적당한 크기의 싸리나무를 두 토막 잘라서 반으로 쪼개어 만들었는데, 싸리나무는 아주 반듯하게 잘 쪼개어지고 껍질 색과 쪼개진 단면의 색이 잘 대조되었다. 또한, <광재물보>를 보면 ‘형비荊扉’가 나오는데 이를 “시문柴門, 사리문”으로 설명한다. ‘사리문’은 ‘사립문’, 혹은 “싸리문”을 뜻할 것인데, 사립문은 흔히 싸리로 만들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 <아억각비>에서 정약용은 ‘목형’인 형荊을 일부 학자들이 ‘싸리’로 보는 것을 비판했던 것이라고 하겠다.


이제 정약용이 인용한 이수광李睟光(1563~1629)의 <지봉유설> 권19 궁실부에 나오는 다음 문장을 더 자세히 살펴보자. “세상에 전해지길, 평시에 종루鐘樓 기둥은 뉴목杻木이라고 한다. 대개 뉴杻도 큰 것이 있다. 옛날 주周나라 때에 쑥(蒿)으로 궁궐 기둥을 만들고 이를 호궁蒿宮이라고 했는데, 곧 이런 종류일 것이다.” 만약 이수광 선생이 뉴杻를 찰피나무 종류로 이해했다면 구태여 ‘뉴杻도 큰 것이 있다’거나 주나라에서 쑥으로 궁궐 기둥을 만든 고사를 인용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찰피나무는 교목으로 크게 자라는 나무여서 충분히 종루의 기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보면, 이수광도 뉴杻를 싸리로 이해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정약용은 이수광이 종루의 기둥을 싸리로 만들었다고 한 것을 비판하면서, 싸리가 아니라 목형(牡荊)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직접 “고달산高達山에서 서까래만큼 큰 것을 봤다.라고 한 것이다. 고달산은 현재 고래산으로 불리는 양평군 지평면과 여주군 북내면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한국의 나무>에 의하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목형류에 좀목형(Vitex negundo L. var. heterophylla)이 있고, 이 좀목형은 경기도와 경북, 경남, 충북의 숲 가장자리에 자란다고 한다. 싸리든 좀목형이든 모두 낙엽 관목으로 종루의 기둥으로 쓸 만큼 자란다는 것은 믿기 어렵다.


참싸리 꽃, 2020.7.26 남한산성

이제 우리나라 고전에서 뉴杻와 형荊을 어떤 나무로 이해했는지 좀 더 살펴보자. <아언각비>에서 인용된 “뉴杻는 억檍이다”라는 말은 <이아爾雅>에 나온다. 아쉽게도 <훈몽자회>에는 뉴杻가 ‘수갑추’로만 나오고 억檍은 나오지 않는다. <전운옥편>을 보면 “뉴杻, 억檍이다. 일명 우근(牛筋 쇠심줄)이다. 활(弓)을 만들 수 있다.”로 나온다. 그 후, <자전석요>에서 뉴杻는 ‘박달나무뉴’, 억檍은 ‘참죽나무 억, 박달나무억’으로 설명했다. 일제 강점기에 출간된 <한선문신옥편>과 <한일선신옥편>도 ‘박달나무’로 훈을 달았다. 이러한 옥편류 문헌에서 뉴杻를 관목인 싸리 나무로 볼 근거는 찾을 수 없다. 오히려 ‘쇠심줄’은 껍질을 벗겨 새끼로 꼬아 질긴 끈으로 만들 수 있는 피나무 종류를 가리킨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삼태뉴목三太杻木이나 뉴거杻炬, 뉴롱杻籠 등의 표현이나, <한한대자전>에서 뉴杻를 ‘(한) 싸리축’이라고 한 것을 보면, 우리나라에서 이 글자로 싸리를 뜻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참고로, <조선삼림식물도설>에서 정태현은 복자기(나도박달) 나무의 한자명으로 뉴杻를 쓰기도 했다.


한편, 형荊은 <훈몽자회>에서 “가새 형. 다른 이름은 자형紫荊. 그리고 형조荊條, 댓싸리”로 나온다. 자형紫荊은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Bunge), 형조荊條는 좀목형의 중국명이고, 댓싸리는 댑싸리의 고어이다. <한일선신옥편>은 “荊, 가시형”, 현대의 <한한대자전>에서는 “荊, (1)모형형, 마편초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2)가시나무 형”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한다면, 중국 고전의 뉴杻는 ‘찰피나무’류로 번역하는 것이 좋겠지만, 우리나라 고전에서는 ‘찰피나무’와 ‘싸리’ 중에서 문맥에 따라 잘 해석해야 할 것이다. 형荊도 대부분 목형류 나무를 뜻하지만 일부 우리 고전에서는 정약용 선생이 비판했듯이, ‘싸리’를 뜻하기도 했다. 또한 문맥상 형제간의 동기연지同氣連枝를 의미하는 단어로 형지荊枝를 쓰고 있으면, 이것은 <속제해기續齊諧記>의 자형紫荊, 즉 박태기나무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흔히 가시나무로 치부해버리는 <세설신어>의 부형청최負荊請罪(형荊으로 만든 매를 지고 죄를 청함)나, 소박하고 가난한 부녀자를 비유하는 형차포군荊釵布裙(형荊으로 만든 비녀와 베로 만든 치마), 형극荊棘의 형荊은 모두, <성어식물도감>에 의하면 목형(Vitex negundo L.)이라고 한다.

좀목형, 2020.10.10 유명산 입구


마지막으로 이덕무李德懋의 <청장관전서>에 나오는 ‘세시잡영’과 <동문선>에 실려있는 김극기金克己의 ‘길 가다가 본 것을 읊다 (途中卽事)’에서 뉴杻와 형荊이 나오는 시를 읽어본다. 문맥으로 판단해 보면 각각 싸리와 목형을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시잡영(歲時雜詠) 중에서


漢陽八萬廚        서울이라 팔만 호 부엌에는

間間燈燈白        집집마다 등불이 밝구나!

喜花驗此宵        불꽃 점**** 치면서 이 밤을 즐기는데,

繁燼知誰宅        잿더미 많은 집은 누구네 집인가?


二女輕如鳧        두 딸은 오리처럼 재바르게

低仰白板頭        널 끝에 서서 오르락 내리락

裊裊繁鳴佩        치마자락 나부끼고 패옥 소리 울리는데

箇箇高出樓        한 명씩 번갈아 누각 위로 오르네


小兒剖赤杻        어린 아이들 붉은 싸리 쪼개어서

擬作骰子投        주사위 놀이 하듯이 던지며 노네

四仰四俯歡        모나 윷이면 기뻐하고

一白三紅愁        도가 나오면 실망하네


길 가다가 본 것을 읊다 (途中卽事)

 

一逕靑苔濕馬蹄   오솔길 푸른 이끼에 말 발굽은 젖는데

蟬聲斷續路高低   매미소리 끊어질 듯 이어지고, 길은 오르락 내리락 하네

窮村婦女猶多思   산골 마을 색시는 님 생각에 빠진 듯,

笑整荊釵照柳溪   웃으면서 목형 비녀 매만지고 시냇물에 비쳐보네.

 

70년대만 해도 내가 자란 산골 마을에서는 동네 할머니나 아주머니들이 모두 비녀를 꼽고 있었던 기억이 난다. 가난했던 시절이지만 이 당시에도 나무 비녀는 본적이 없고 대부분 은비녀 등 금속으로 만든 비녀를 꼽고 있었던 것 같다. 금비녀나 옥비녀는 구경한 기억이 없다. 이제 비녀 찌른 모습은 사극에서나 볼 수 있으니, 요즈음은 무엇으로 부인네 살림살이를 엿볼 수 있을까? 아마도 피부 미용 정도와 가방 브랜드가 아닐까 싶다.

 

(2018년 9월 26일, 2021년 보완)


* 杻者檍也 荊者楚也 東俗以荊爲杻 荊笥曰杻籠 荊繩曰杻繩 非矣 芝峰類說云 “鍾樓以杻木爲棟 蓋杻亦有大者” 李公蓋以荊爲杻也 然唐風 “隰有杻” 陸璣疏云 “杻檍也 皮正赤 多曲少直 若荊則其皮雖赤 其直如矢” 豈得云多曲少直乎 荊者牡荊也 牡荊有靑赤二種 靑者爲荊 赤者爲楛 嫩條皆可爲筥� 年久不樵者 其樹大如盌也 … 大如椽者 余於高達山亦見之矣 更大一倍 豈不得爲屋檁哉 芝峯所指 明是荊也. – 아언각비

** 柶木戱, 今俗歲朝 小兒截荊條 俗名煞伊 剖爲四枚 遆相拋擲 四枚俱覆爲上采 俱仰爲次 三仰又其次 二仰至于一仰 爲失采矣 – 낙하생집, 동사일지

***世傳平時 鐘樓棟爲杻木云 蓋杻亦有大者 昔周時以蒿爲宮柱 謂之蒿宮 卽此類也--- 지봉유설 궁전

**** 희화喜花는 등불이 환하게 밝아 기쁜 일이 있을 조짐을 뜻하는 듯 하다. <서경잡기西京雜記>에서 육가陸賈가 “대저 눈이 깜박거려지면 술과 음식을 얻게 되고, 등불이 환해지면 돈이나 재물을 얻게 된다 (夫目瞤得酒食 燈花華得錢財)”라고 한 고사가 있다.

*****(2024.4.3 추가) 1916년에 간행된<신자전>에는 “朝鮮俗字部”가 말미에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속자의 하나로 “紐[축]檍也荊也싸리見各司官簿”가 나온다. 우리나라에서 紐는 싸리를 뜻하는 글자로 쓰인 증거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