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초콜릿 한스푼 Mar 14. 2024

사랑할 준비는 되었지만, 시작이 어려운 못난이

우리는 늘 누군가 진심으로 사랑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 사랑을 줄 대상은 왜 이렇게 찾기 어려운 걸까? 눈이 높아서 그렇다고? 아니다. 눈이 높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상대에게 하는 만큼 상대도 우리와 닮은 사람이길 바라서다. 그런데, 그런 사람을 만나는 건 참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우리가 바라는 건 대단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막상 누군가에게는 어려운 일처럼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우리가 바라는 건 연애를 할 때, 특히 썸을 타거나 연애 초반에는 연락이 잘 되어야 한다는 것. 

우리는 왜 연락이 잘 되는 것을 바랄까? 그건, 상대에 대해 아는 것이 없을 때, 연락만큼 상대를 알아가기에 쉬운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알던 사람과 연애를 시작한다면, 굳이 연락을 할 필요가 없다. 이미 그에 대해 너무 잘 알기 때문에. 그러나, 모르던 사람을 알게 되었고, 그와 썸을 타거나 연애를 시작할 때는? 이야기가 다르다. 그에 대해 알 수 있는 방법은 그만큼의 시간을 함께 보내거나(즉, 자주 만나거나) 그와 대화를 많이 해보는 것(연락을 많이 하는 것) 밖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그렇기에 우리는 연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현실적으로 직장인이 되면, 자주 만나는 건 어렵다. 그렇기에 그나마 쉽고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연락인 것이다. 연락이라도 잘 되고, 많이 이야기해 봐야 상대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지 않을까? 연락도 잘하지 않는데 사랑에 빠져 연애까지 간다? 그건 너무 이상한 것 같다. 


간혹, 만나면서 알아가는 거지. 하는데, 우리는 그런 위험부담은 굳이 안고 싶지 않다. 막상 만나면서 알아가는데, 우리가 생각한 그 사람이 아니면? 그때, 헤어지면 되는 건가? 우리는 그때 헤어지고 싶은 생각이 없기 때문에 연애를 시작하기 전에 그를 알고 연애를 시작하고 싶어 하는 것 같다. 이건 어디까지나 우리의 입장이고, 생각이다. 상대를 모르는데 사랑하는 것? 우리에게는 그것만큼 어려운 일이 없다. 상대를 알기에, 그 모습이 좋아서 사랑하는 것이니까. 


우리가 바라는 또 다른 것은 우리가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상대방이 먼저 '신뢰'를 주는 것이다. 이것도 사실은 연락과 연결되어 있지 않을까? 연락을 자주 하면, "아, 이 사람 지금 뭘 하겠구나."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연락이 잘 안 되는 상대라면? "뭐 하고 있지?"라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특히, 일하지 않는 주말, 친구랑 논다고 할 때 등등 그럴 때는 더더욱. 친구랑 만난다고 할 때마다 연락이 두절되는 사람이라면?(우리는 그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고, 그 친구에 대해서는 전혀 모른다. 그냥 그가 말한 '친구'라는 단어만 머릿속으로 이해할 뿐이다. '아, 친구 만나는 가보다.' 하고. 그렇기에, 표면적인 한마디만 하고, 온종일 연락이 두절되는 사람이라면 '친구를 만난다고 했지만, 과연 이 사람을 믿고, 연애를 하는 것이 맞을까?' 하는 생각은 여자라면 당연히 하게 되는 것 같다. 


적어도, "나 지금 OO이랑 놀아, 어디 이동 중이야." 등 먼저 자주 이야기 해준다면, 상대방은 "아, 그렇구나."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좋지 않을까? 굳이 불안한 상상을 하면서, 그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도 돼서 좋고. 이것도 우리가 상대방에게 먼저 이렇게 하기 때문에 상대방도 우리와 같기를 바라는 것 같다. 연애할 때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이 상대방이기에 놀면서도 그에게 늘 자주 연락을 하고, 통화도 하고 그러는 것 같다. 사실, 평범하게 논다면 전화를 못할 이유도, 연락을 안 해야 될 이유도 없지 않은가? 


어떤 이는 또 이렇게 말할지도 모른다. '고작 연애에 그렇게 까지 피곤하게 해야 돼?'라고. 그런데, 연애가 그렇게 가벼우면 굳이 연애를 안 하면 되는 것 아닌가?라고 반박할 수 있지 않을까? 결국은 연애도 서로에게 중요한 사람이 되는 과정의 일부인데 그것이 가볍다면, 굳이 연애를 하는가?라고 반박하고 싶다. 그리고, 소중한 사람에게 그렇게 대충 대할 거면, 사람은 이미 당신에게 소중한 사람이 아닌 아니냐고 묻고 싶다. 정말 소중하다면, 저절로 소중한 것을 대할 때의 행동이 나오는 것이 당연한 아닐까? 


연애를 시작하기 전부터 불안하게 하는 상대를 만나고 싶은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연애는 서로를 향해 최선을 다하기로 한 최소한의 약속이니까. 
이전 14화 나는 못난이가 아닌 성장형이었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