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anie Oct 12. 2023

IB PYP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어떻게 만들까?

IB & KB 교육과정 실제 개선방향 탐구 (3)

    이전 글에서 교사의 진정한 권위는 ‘교사교육과정’에 있다고 했다. 지금의 교육과정은 어쩌면 교사들을 옥죄고 있으며 교사들을 대체 가능한 인력으로 만들어버리기도 한다고 하였다. 그런 점에서 IB 교육과정은 특정 내용을 강요하는 게 아니라 틀을 마련해 주고 그 내용은 자국의 교사들의 채우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에게 교육과정을 돌려줄 수 있는, 교사들의 진정한 권위를 되찾아줄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IB 학교에서 구체적으로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어떻게 만들고 있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IB PYP에서 교육과정을 만드는 방식을 자세히 들여다보고자 한다. 


    그전에 먼저 IB PYP에 대해 짚고 넘어갈 것이 있다. IB PYP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바로 ‘초학문적’ 수업, 즉 개별 교과를 초월하여 수업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개별 학문이나 교과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초등학생들의 세상에 통용되는 언어가 아니다. 각 학문의 지식에 대한 학습 자체보다는 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실제적 맥락 속에서 교과 간의 경계를 초월해 학습내용을 탐구하고 기능을 습득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모든 교과를 통합할 수 있는 6가지의 ‘주제’를 제시한다.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느 장소와 시간에서 살아가고 있는가’, ‘우리는 자신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우리는 어떻게 자신을 조직하는가’, ‘지구를 공유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IB PYP 학교의 교사들은 협업을 통해 바로 이 6가지 초학문적 주제를 중심으로 학년별 통합 단원을 구성하고, 6개 학년 간의 연속성과 통합성을 조정하게 된다. 이 전체 학년 간의 연속성과 통합성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POI(Programme of Inquiry), 그리고 학년별로 교과 통합 단원을 구성하는 것이 UOI(Unit of Inquiry)이다. IBO는 교사들이 POI와 UOI를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POI 개발 지침 문서 「Developing a transdisciplinary programme of inquiry(IBO, 2012, 2018)」를 통해서 안내하고 있다.   



    1. 탐구 프로그램(Programme of Inquiry: POI)  


    POI는 각 초학문주제별 6년간의 설계 모음이자, 서로 다른 학년 간 각기 무엇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 탐구할지를 계획하고 조정하기 위한 기본 틀이다. 수직적으로 6가지 초학문주제를, 수평적으로 6년의 각 학년을 배치시켜 6X6의 행렬로 구성된다. POI 설계를 위해서는 학교 전체 차원의 균형을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완성된 POI는 말로만 듣던 ‘학교 중심 교육과정(school-based curriculum)’의 실제적 예이다. 누군가 “이 학교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라고 질문한다면, 이 POI를 통해 학교의 전체 교육 내용을 한 번에 제시할 수가 있다.  다음은 완성된 POI의 모습이다. 모든 초학문주제를 모든 학년에서 각각 다루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변화 및 심화되어 간다. 

IB PYP 탐구 프로그램(Programme of Inquiry: POI)



2. ‘탐구단원(Unit of Inquiry: UOI)’  


    POI에서 초학문주제와 개별 학년이 교차되는 셀 하나가 바로 하나의 UOI이다. 따라서 각 학교는 하나의 POI와 36개의 UOI를 갖게 된다. UOI는 학년별로 그 내용을 다루므로 학년별 교사들의 협력적인 계획을 통해 마련된다.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UOI에 들어가는 주요 요소에는 초학문주제와 함께 중심 아이디어(central idea), 핵심 개념(key concepts), 관련 개념(related concepts), 탐구 목록(lines of inquiry) 등이 있다. 


    IB의 핵심 개념에는 형태, 기능, 원인, 변화, 연결, 관점 책임의 7가지가 있다. 예를 들어 초학문주제 ‘세계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를 다루기 위한 UOI의 제목이 ‘자연환경과 우리 생활’ 일 때, ‘형태’의 개념으로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원인’의 개념으로 ‘자연환경에 따라 생활모습이 다른 이유’, ‘연결’의 개념으로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룰 수 있다. 이렇듯 UOI별로 3개 이하의 개념을 다루도록 하고 있다. 학년을 통틀어서는 6개의 UOI를 통해 이 7개의 핵심 개념을 모두 한 번 이상은 다루어야 하며, 새로운 개념의 추가는 가능하지만 누락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핵심 개념들의 조합을 통해 교과들이 연결되고,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일관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관련 개념은 핵심 개념과 연계되면서 교과 영역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미시적 개념으로 한 교과에서 다른 교과로의 학습, 학문과 초학문적 학습의 연계 기회를 제공하고, 교과 영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교사들은 UOI을 설계하며 핵심개념과 다룰 관련 개념을 설정하게 되는데 관련 개념의 경우 IB에서 따로 제시하고 있는 목록은 없으며 UOI별 포함 가능한 관련 개념의 수에도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형태’의 핵심 개념에 대한 관련 개념으로 ‘특성’, ‘구조’, ‘차이’, ‘유사성’, ‘패턴’ 등이 들어갈 수 있다. 한편, 초보 IB 학교의 경우 ‘개념’이라는 것에 대한 이해가 미흡하여 개념이라기보다는 ‘내용 요소’를 나열한 경우도 있었다. 개념의 의미와 속성, 개념 추출에 대한 교원의 이해와 전문성의 개발이 필요한 부분이다.   


IB PYP ‘탐구단원(Unit of Inquiry: UOI)’


    UOI 설계 및 적용을 위하여 학년별 교사들은 매우 긴밀히 협력한다. 각 UOI에는 이를 설계한 교사들의 이름이 명시되어 UOI가 동학년 교사들의 협력적 작업의 산물이라는 것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UOI를 적용한 수업을 할 때마다 교사가 성찰 일지를 작성하는데 UOI는 구글 드라이브 등에 공유되어 이 성찰 기록을 통한 수업 자료 및 팁 등은 동학년 교사 간 실시간으로 공유된다. 매주 특정 요일의 오프라인 협의 시간에는 해당 주에 운영한 UOI에 대해 함께 성찰하고, 어려웠던 점, 정보 등을 주고받으며 수업을 개념기반, 탐구중심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지속된다.




    현재의 학교교육의 현실에서는 이렇게 교사들이 협력하여 POI나 UOI를 직접 설계하고 수업을 하는 것이 멀게 느껴질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이야기하게 되지만 IB는 수업 방식을 바꾸는 것도, 교육과정만을 바꾸는 것도 아니고 전체 학교 문화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행정 업무 감축 및 간소화, 시공간적 및 재정적 지원이 당연히 병행될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IB가 하고 있는 학교교육과정 및 교사교육과정 설계의 방식이 단지 IB의 것이라고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국가 교육과정 차원에서도 이를 참고하여 보다 미래지향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나아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IB PYP 도입과 구현을 위해서만이 아닌 시대 및 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교교육으로의 전환과도 맥을 같이 하여 생각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사실과 주제 수준의 지식보다는 상위차원의 개념과 일반화를 중심으로 성취기준의 수를 적정화 하고, 내용 진술의 대강화를 통한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 구현 지원 방향으로 진일보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임유나(2022). IB PYP 학교 탐구 프로그램 분석 및 도입 양상 유형화. 교육문화연구28(3), 399-429.

한진호, 임유나, 안서헌, 장소영(2021). 미래지향적 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IB PYP 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학연구27(2), 281-312.

이전 05화 초등학교에서의 IB 교육과정, IBPYP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