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N잡러강사 Dec 04. 2023

얄미운 사람

얄미움에 대한 고찰

특별히 나한테 큰 손해는 없지만 얄궂게 미운,

따지자니 비굴하고 가만있자니 내가 가마니 같아 울화통이 터지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겠는 그런 관계들이 종종 있다.

그런 관계가 위험한 이유는,

한번 그런 생각이 들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이 미움이 커지기도 하고,

그동안 나하고의 관계에서 진심이었는지 의구심이 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건 나의 의구심일 뿐, 팩트는 아닐 수 있다.  

살면서 마주하기 싫은 얄미운 상황들은 비일비재하다.

시험 전 날 공부를 한 개도 못했다며 울상을 지었던 친구가 백점을 맞았을 때,

우리 애는 아무것도 안 한다고 행복하게 놀기만 시킨다던 엄마가 새벽까지 아이를 공부시키는 걸 알았을 때,

그 모임에는 절대 안 갈 거라던 사람이 모임자리 중간에 떡 하니 앉아있을 때,

알고 보니 나를 이용하고 있다는 걸 알았을 때,

나한테 엄청 친한 척하다가 나 빼고 자기네들끼리만 일을 도모할 때 등등...

무릇 자존감이라는 것은 자기 자신을 똑바로 보는 데에서 출발한다고 했다.

얄미운 사람은 생각보다 자기 자신을 바로 보지 못하거나, 그럴 자신이 없을지도 모른다.

내가 어찌할 수 없는 상황들을 가지고 신경을 쓴다는 것이, 자신에게 해롭다는 것은 많은 매체를 통해서 이미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 그 어찌할 수 없는 상황 때문에 더 신경을 쓰게 된다.

별일 아니라며 부정적인 생각을 억지로 차단하려 할수록 더 커져버린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럴 때, 내 마음의 평안을 위해 그 사람을 한번 안쓰럽게 생각해 본다.

양희은 님의 책 제목처럼.

그러라 그래.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
어떤 사람이든 자신만의 부정적인 사연이 있기 마련이다.

본의든 아니든 남에게 피해를 준 사실도 모른 채, 요리조리 재고 적당히 치고 빠지고를 반복하는 사람.

어쩌면 그 속에 마음 아픈 내면아이가 웅크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얄밉게 웃는 가면 뒤에, 큰 상처가 자리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분명히 존재한다.

 그렇다고 나를 신경 쓰이게 한 그 사람을 모두 이해할 필요는 없다.  내 마음의 상처를 방어하기 위해 써보는 방법일 뿐이다. 엄격한 위계질서의 상하관계가 아니고서야 인간 대 인간의 관계는 균형 잡힌 동등한 관계여야 오래간다. 성격은 고유한 인격일 뿐,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도록 부리는 것이 아니니까.

얄미운 그 사람을 시간을 들여 생각하는 것도 감정에너지 낭비다. 미워하는 사람이 미움을 당하는 사람보다 부정적인 생각을 만들어 내야 하는 만큼 더 힘들다.

이미 얄미운 사람이라는 걸 알았다면,

어차피 더 이상 가지 않을 관계라면,

듣기 좋은 말만 해주자. 그러면 그 사람도 듣기 좋은 말로 화답한다. 부부도 정이 좋을 때나 싸우는 거라고 했다. 좋게 가려는 마음이 계속 부딪히게 된다.

다만 언제 어디서 다시 만날 지 모르는 것이 사람의 인연이기에, 나의 마지막 이미지는 좋게 기억하도록 해두는 편이 좋다.  

어차피 떠날 인연은 멀어지게 되어 있다. 그게 순리이고, 바로 내가 생각하는 '공존의 길'이다.


 

 

 


이전 02화 각박한 인생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