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29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절대 만만한 사람으로 보여선 안된다

CEO가 들려주는 '뻔하지 않은' 성공 레시피(59)

by 이리천 Mar 27. 2025


‘깨진 창문 이론’이란 게 있다. 동네 아이가 잘못해서 돈을 던져 창문을 깼다. 주인이 아이를 찾아내 혼내면 거기서 끝날 일이다. 그런데 하필 맘씨 좋은 아저씨다. ‘애들 장난인데 뭘...’ 하며 그냥 넘겨 버린다. 아이들은 생각한다. 아, 저 집 창문은 깨도 문제가 안되는구나. 다음날부터 집 근처에서 맘 놓고 돌을 던지고 논다. 남아 나는 창문이 없다. 주인은 뒤늦게 후회하지만 이미 늦었다.


착한 사람이 살기 어려운 세상이다. ‘착한 사람=만만한 사람’으로 알기 때문이다. 착한 것과 만만한 것은 엄연히 다르다. 착하지만 만만한 사람이 아닐 수 있다. 그런데 착한 사람은 만만해 보이기 쉽다. 남 탓 안 하고 웬만하면 자신이 문제를 떠안으려 하기 때문이다. 세상은 그런 사람을 만만하게 본다. 함부로 대한다.  절대 만만하다는 인상을 줘서는 안 되는 이유다.


그렇다고 항상 날이 서 있을 필요는 없다. 그런 사람 곁에는 사람이 붙질 않는다. 만만치 않아 보일 뿐 아니라 무섭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과는 함께 일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는다. 스스로 평판을 깎아 먹는 것과 같다.


그럼 어떻게 만만치 않다는 인식을 줄 수 있을까. 애 쓸 필요 없다. 일생에 한 번 이면 족하다. 결정적인 순간에 제대로 폭발하면 된다. 그것도 임팩트 있게. 


그런 직원이 있었다. 한 번도 아니요,라고 말한 적 없는 성실한 사람이었다. 힘든 일은 다 떠 맡는 편이었다. 그런데 다른 부서와 회의 중에 폭발했다. 두 가지 효과가 있었다. 절대 만만한 사람이 아니었다는 소문과, 무조건 상대가 잘못했을 것이라는 확증까지. 그런 사건의 잔향은 오래간다. 그 얘기는 아직도 직장에서 전설처럼 떠돈다. 


성실하고 실력 있고 착하지만, 결코 만만하게 볼 수 없는 사람. 그래서 위아래 사람들이 모두 경외할 수밖에 없는 사람. 모든 직장인들의 워너비 평판이 아닐까.



#직장 #회사 #직장인 #직장생활 #회사생활 #고민 #현실 #조언 #일잘러 #성공 #깨진 창문 이론 #소문 #평판


월, 화, 수, 목, 금 연재
이전 18화 착지가 아름다워야 진정한 프로!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