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심소욕 불유구
2-4) 공자가 말했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하였으며, 마흔 살에는 미혹되지 않았고, 쉰 살에서는 천명을 알았으며, 예순 살에는 어떤 말이든 그대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일흔 살에는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어른들은 40살의 나이가 되면, '불혹의 나이가 되었다'라고 말하곤 한다. 불혹이란 말은 논어의 이 구절에서 따온 말이다. 여기서 공자는 자신이 70살이 될 때까지 어떻게 성장해 왔는지 설명하고 있다. 15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는데, 30살의 나이에 이립(而立)했다고 하는데, 而는 문장을 이어주는 접속사다. 따라서 정확히는 30살은 입(立)이라 보는 게 맞다. 입이란 서 있는 모습을 나타낸 한자로, 공자는 30살이 되어서 다른 이에게 의지함 없이 스스로 공부를 지속해 나갈 역량을 갖추었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우리는 아직 어리기에 어른, 스승의 가르침이 필요하다. 하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스스로 일어나야 할 것이다.
40살이 되어 미혹하지 않았다 [불혹]는 말은 배움이 견고해져, 어떤 상황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할 때 헛갈리지 않는 경지를 의미한다. 50살이 되어 천명을 알았다는 말은, 하늘의 뜻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유학에서 하늘의 뜻은 다른 것이 아니라, 스스로 노력하여 선한 인간이 되어 다른 사람을 편안하게 하는 것이다. 60세를 이순(耳順)이라 하는데 직역하면 "귀가 순해졌다"는 말이다. 귀가 순해졌다는 것은, 다른 사람이 나를 비판한다면 그것을 받아들여 자신을 고칠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나를 칭찬해도, 오만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경지는 70세 종심소욕불유구다. 이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해도, 법도를 어기지 않는다는 뜻인데, 한평생을 도덕과 일치하는 삶을 살아온 사람은,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는 것이 곧 도덕적인 행동과 일치할 것이다.
이 글에서 공자는 자신의 삶을 회고하여, 배움이란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지 설명하고 있다. 꼭 저 나이가 되어야, 저런 경지에 이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이는 더 빨리 이를 수도, 어떤 이는 더 늦게 이를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공자처럼 미혹되지 않고, 하늘의 뜻을 알며, 귀가 순해지고,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해도 법도를 넘지 않는 경지에 이르기 위해 스스로 노력하는 것이다.
- 3월 24일 조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