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문는 Apr 16. 2024

말은 쉽지않지않지않지만

돌풍이 부는 날의 일기

막상 정신과에 발을 들이고 나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들여다보는 과정은 불편했다. 한동안 말이 문장으로 나오지 못할 정도였다. 문장으로 풀어내는 걸 상상만 해도 목이 막히고 가슴속에서 감정의 파도가 일었다.


그즈음 나는 시를 썼다. 내 상태를 드러내기 싫어서 쪼개진 단어들 속에 나를 숨겼다. 시집을 하나 만들어야겠다 다짐했다. 언어유희라는 말재간 속에 내가 느끼는 감정들을 숨기며 숨바꼭질을 즐겼다.


나는 요즘 나 자신이 ‘열린 책’ 같다고 느낀다. 나를 객관적으로 알기 위해  수술대에 나를 눕히고 내 옷을 풀어헤치고 흉터의 살을 벌렸다. 나는 흉터의 틈이 벌어진 상태로 봉합되지도 못한 채 계속해서 나의 불안과 마주하고 있다.


하필 세월호 9주기가 있던 지난주 제주엔 돌풍이 불었다. 글을 쓰는 지금 이 순간에도 바람이 심히 분다. 인터넷에선 끊임없이 누군가의 부고가 올라왔다. 엄마는 또다시 수술 전처럼 아프다고 했다. 엄마 얼굴의 그늘이 내 마음에도 그늘을 드리운다. 내 상처를 봉합할 새도 없이 계속해서 상처 위로 소금이 툭툭 흩뿌려진다.


호기롭게 정신과 일지를 쓴다고 다짐했지만 또 말이 턱 하고 막힌다. 아직은 쏟아지는 감정들을 처리하는 과정인가 보다. 상담을 통해 머릿속으로 두루뭉술하게 구역별로 정리한 감정들을, 완연한 글로 다듬어서 쓰려니 또 서로 침범하고 섞이며 벽들이 무너진다.


오늘같이 바람이 심하게 부는 날은 원인을 알면서도 위축되는 날이다. 사실 감정보다 더 버거운 건 신체적 증상이다. 과긴장으로 인해 어깨가 굳고 척추의 긴장이 심해 기침을 할 때마다 허리가 아프다.


육체의 움직임은 둔한데 머릿속에선 뇌우가 내리치고 있다는 게 어이없기도 하다. 겉과 속을 까뒤집으면 무지개색 폭탄으로 터져 나올 생각들.


바람과 함께 휘몰아치는 생각들을 조각내 다음 심리상담 때 풀어놓을 계획이다. 그때까지 나는 셀프 도닥도닥을 연습하고 있다.


바람이 불어도 나는 안전하고, 성인인 나에겐 어떤 일이 생기든 대처할 의지도 능력도 있다는 걸 되새김질한다.


상담사 선생님의 말대로 나는 매 순간 최선의 선택을 했고 열심히 살았다. 지금의 고통 때문에 과거의 내 노력을 부정할 필요가 없다.


과거의 모든 긍정적, 부정적 경험들이 있었기에 지금의 작지만 단단한 내가 되었다. 과거의 경험을 약점으로 놔두지 말고 강점으로 활용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


오늘따라 몸집이 큰 바람 속에 조심히 몸을 맡겨본다. 머리카락이 사방팔방으로 뻗어나가려고 발버둥 치는 꼴이 제주에서 도망가려던 내 모습 같다.


정돈되지 않는 바람이 가진 혼란은 나를 불안하게 만든다. 그 불안이 풍선처럼 커지기 전에 얼른 머릿속에 일렉트로닉 음악을 재생한다.


바람에 휩쓸려 좌우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모든 나무, 풀들이 내 마음과 함께 춤을 춘다. 빙글빙글 좌로 갔다 우로 갔다.


버티다 부러지지 않도록. 나도 저기 저 나무와 풀처럼 더 열성적으로 바람에 몸을 실어 본다. 빙글빙글. 빙그르르.


23년 4월


이전 03화 인간은 모든 일에 대비할 수 없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