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위한 단계
외국에서 살기 위해선 합법적인 비자가 필요하다.
관광비자, 학생비자, 워크비자, 워킹홀리데이비자, 가디언비자, 사업비자, 영주권 등 다양하게 있다.
이민자들이 많은 뉴질랜드인만큼 다양한 국적, 비자 상태로 거주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민 초창기에는 영주권을 뿌려주다시피 해서 한국에서 받고 이민을 왔다는 카더라가 있다.
이전의 이민제도는 어떠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없지만,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요즘 부쩍 드는 생각은 지금 나와 비슷한 또래의 사람들의 부모님들은 일찍이 이민을 오셔서 그 자녀들은 이곳에서 학교도 다니고 취직도 하는 모습을 보면 부럽다는 것이다. 만들어 갈 수 있는 경력과 능력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보이지만, 제일 중요한 언어가 문제가 되지 않으니 말이다. 그리고 평생을 한국에서 살아온 사람이 이민을 갔을 때와 평생을 뉴질랜드에서 산 사람들의 문화는 다르다. 시작점이 다른 부분을 엄청난 노력을 통해 비슷하게 맞춰가는 사람들도 있지만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
막연히 영어 공부하고 전공 살려서 취직하면 현지인들과 비슷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했던 2년 전의 나의 모습은 정말 단순했다. 나는 내가 생각한 만큼 영어를 잘하지 못했고,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fixed-term의 조건일지라도 많은 회사들의 채용 조건에서 적합하지 않았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법률상 permenent 계약을 할 수 없기에 fixed-term으로 일하다가 회사와 나의 관계가 좋아져서 워크비자와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루트를 만들어 가야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경력이 없으면 어려운 일이었다.
영주권까지의 길이 쉽지 않겠다고 생각했고, 만약 1년이 지난 후에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라는 물음으로 다른 나라의 워킹홀리데이 비자를 신청했었다. 한국에서 신청한 게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되었지만 주변에서는 승인된걸 보니 담당 오피서에 따라 다른 듯하다. 지금 생각하면 뉴질랜드에서 살 운명이었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렇게 간절했던 영주권을 받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