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천천히 살기 Oct 21. 2023

7. 옮겨 앉는 걸 트랜스퍼라고 해

환자 이동을 위한 리프트와 슬링 사용방법



우리는 살다 보면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트랜스퍼, transfer) 일이 일상이 된다.

예를 들면 휠체어에서 침대, 변기, 욕조, 자동차, 의자 등 또는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물론 본인이 움직이면 가장 좋겠지만, 남에게 이동을 의존해야 할 때는 리프트와 이동을 도와주는 도구들 슬라이드 시트, 트랜스퍼 보드,  트랜스퍼 패드, 트랜스퍼 벨트, 슬링 등을 사용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집에서 어린아이들은 손으로 들 수 있겠지만, 협소해서 리프트 사용이 힘들거나, 리프트가 없는 경우에는 가족의 도움을 받아서 직접 드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때는 작업치료사가 사전에 환경을 점검한 후 이뤄지는 이동 방법 안내 및 교육을 받아야 한다.


절대 리프트 사용 할 시간이 없다고 환자를 직접 들어 올리면 안 된다.


리프트 사용 시 안전사항은 꼭 지킨다.


1. 리프트가 허용하는 최대 몸무게를 체크한다.

2. 환자를 들어 올리는 중 리프트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지 않는다.

3. 환자가 올라가고 있는 중 리프트 바퀴를 잠그지 않는다. (몸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4. 환자가 올라간 상태에서 얼굴은 중앙의 조종대를 향하게 하고 발은 조종대 양쪽 밖으로 향하게 한다.

5. 환자에게 합당한 슬링을 사용한다. (몸무게, 사이즈, 이동 용도에 맞는 슬링)

6. 슬링에 매달려 있을 때 무릎은 허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여야 한다.

7. 이동 위치에 다다르면 리프트의 베이스 발판을 벌려서 이동 목표지에 중심을 맞춘다.

8. 환자가 내려갈 휠체어나 침대, 이동변기 등의 브레이크를 걸어서 고정시킨다.

9. 리프트로 이동하는 공간은 카펫이나 러그가 없는 평평한 바닥이어야 한다.


트랜스퍼는 하루에도 몇 번씩 해야 하는 일상 업무이며, 항상 안전에 신경을 써야 하는 중요한 일이다.

방심하지 말고, 서두르지 말고, 필요한 인원을 항상 지켜가며 규정에 따라 이동하거나 이동시키도록 해야 한다.




이전 10화 시간이 어떻게 가는지 모르겠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