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달 Mar 14. 2024

주름

'이 환장할 봄날에' (박규리 시집, 창비 2004)

주름

박규리


언제부터였을까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일이란

주름과 주름이 섞이는 일이라는 걸 짐작한 뒤부터

내가 먼저 한줄 주름으로 눕게 될까봐

그대에게 다시는 돌이키지 못할 깊은 주름으로

쓸쓸히 접히게 될까봐

짐짓 딴전이나 피우다

먼데로 말꼬리 흘린 적 참 많았다


똑같은 애


 "그 친구랑 똑같은 애네요."

 한 선생님이 우리 반 아이를 보고 문제라며, 문제가 있었던 다른 친구를 비교하며 그 친구와 똑같다고 말했다. 농담으로 말하신 건지, 정말로 언어의 습관이 가볍게 생겨 먹으신 건지. 담임 앞에서 우리 반 아이를 문제라고 조롱 섞인 듯 말씀하시다니. 성질이 머리끝까지 났다.

 사람들과 만나는 것은 주름이라고. 사람의 관계는 언어로 만들어진다. 아쉽게도 한번 구겨진 관계는 그 흔적을 남긴다. 주름의 속성이다. 누군가 넌지시, 혹은 농담으로 던진 한 마디도 어떤 사람의 가슴속에 깊게 흔적으로 파인다. 그걸 안다면 나의 언어도 돌보아야 한다는 무거운 사명이 생긴다. 

 그 선생님을 비난할 것이 아니다. 나 또한 언어로 누군가에게 숱하게 상처를 주고 살았을 테니. 부드럽게 이야기해야지. 우리 아이는 그 친구랑은 다르다. 가까이 보아야 귀하게 드러나는 것들이 반드시 있다. 모든 아이들은 다르다. 같은 아이로 바라보는 삶은 폭력적이다.

 '선생님. 우리 아이는 귀엽습니다. 좋게 봐주세요. 부탁드립니다. 욕은 제게 하세요.'

 이야기해야겠다.

 

이전 23화 봄은 온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