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런치 스토리
브런치북
라구나의 부자 생각-라부생 2화
07화
실행
신고
라이킷
74
댓글
6
공유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회사에서 고과 잘 받는 방법
직장 생활은 모든 걸 '짧게' 봐야 합니다.
by
라구나
Mar 05. 2024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는
장기투자가 좋은 경우가 많
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성장을 하거나 또는 화폐 가치 하락으로 자산 가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우리
직장 생활은 어떨까요?
저는 직장 생활은
거꾸로
짧게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짧게 본다? 그게 무슨 의미인지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전 직장 다닐 때 이런 말씀을 자주 하시는 팀장님이 있었습니다.
'
라구나야, 길게 보자
. 다음에 챙겨줄게'
그러면서 저한테 최상위 고과가 아니라 상위 고과를 주셨습니다.
길게 보면 나중에 챙겨줄 테니 이번에는 양보하라라는 의미이지요.
저도 당시에는 '선비' 모드라
크게
군말 안 하고 주는 대로 받았습니다.
하지만, 회사에서 팀장
이나
팀원
이나 위치가
우리
마음대로
정할
수 있나요?
조직개편
되면 팀장도 바뀌고 팀원도 바뀔 수
는 것처럼 유동적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이렇습니다.
직장 생활에서 챙길 수 있는 건
지금 바로 챙겨라!
나중은
없다.
제 아는 지인 중에서는 '고과'를 잘 받
는 친구가 있습니다.
이 친구는
평가 시즌
이 되면
사전 작업
(?)을 준비합니다.
물론, 고과를 잘 받기 위해서는 평소에
고과를 잘 받을 수 있게
좋은 업무성과
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 것도 없이 사전 작업을
한다고 해서
무작정 좋은 고과를 줄
팀장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친구는 평가 시즌이 되거나 평가 면담을 하기 전 또는 하고 나서 팀장님께 장문의 메시지를 보냅니다.
예를 들면 이
렇습니다.
'
팀장님,
제가 올해 이런 이런 업무를 해서 유형효과가 얼마나 발생했고 정성적으로는 또 이런 이런 업적이 있습니다.
팀장님도 아시다시피 저 올해도 정말 열심히 잘했
습니다.
제가 올해 진급을 하긴 했지만
업무성과로 객관적으로 평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략 이런 형태로 메시지를 보냅니다.
본인이 열심히 잘했으면 이렇게 말하는 것이 잘못된 일일까요?
팀장 입장에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저처럼 아무 말도 안 하고 고과 주면 주는 대로 받는 사람과
친구처럼 강력하게 어필하는 사람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저를 김 과장, 친구를 원 과장이라고 해보겠습니다.
'원 과장은 고과 안 주면 난리 칠 테고, 김 과장은 별 말은 없으니까...
일단, 원 과장 좀 챙겨주고, 내년에는 김 과장 챙겨주자...'
이렇듯,
둘 다 성과가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묵묵한 친구보다 어필하는 사람을 챙겨주지 않을까요?
그리고
고과를 잘 받으려고 저렇게 적극적으로 하는 사람
은
업무도
적극적으로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결국 저는 평고과를 받고 친구는 상위고과를 받습니다.
그리고 보통 저 같은 사람들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
팀장님이 길게 보자고 했으니 길게 보자
. 조용히 있으면 알아서
잘
챙겨주실 거야
.
묵묵히 내 일하면 되는 거지
'
우리나라 사람들은 '순종'하는 것이 미덕으로 잘 못 생각하고 있습니다.
자기가 한 일에 대해서 정당한 평가를 못 받는 것에 대해서 '침묵' 하는 것은 그 평가를 '승인'하는 것이랑 다름없습니다.
얼마 전 지인 이야기입니다.
연말이라 고과 면담을 하는데 어쩔 수 없이 하위 고과를 줘야 한다고 들었답니다.
사유를 들어보니 특별한 이유는 없는 것 같고 연차 순으로 잘라서 고과를 준 것 같더라고요.
그러면서 팀장이 이렇게 말했답니다.
"
내년에는 내가 진짜 꼭 챙겨줄게
.
미안하다...
"
그러고 진짜
하위 고과를 받았
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된 줄 아십니까?
조직개편으로 임원/팀장 다 딴 팀으로 가버렸습니다.
직장에서 나중을 보장한다? 그건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회사에서는 길게 보면 자기만 손해인 경우가 많습니다.
정말 길게 봐서 나중에 챙겨줄 수도 있지만, 그런 건 드라마에서나 나오는 이야기 아닐까요?
직장에서 자기 것은 자기가 어떻게든 챙겨야 합니다.
하위 고과
주고서
임원이나 팀장이 밥 사준다고 밥 먹으러 가서
바보처럼 '허허허' 하고 있으면 바보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 '바보'인 것입니다.
면담에서 안 좋
은 이야기를 들으면 자기의 생각을 말해야 하고
안 좋은 표정은 다 짓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혹시라도 구제될 가능성이 생기는 법입니다...
직장은 원래 그런 곳입니다.
먹거나 먹히거나
...
여러분도 직장 다니면서 본인 거는 본인이 바로바로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본인 것을 챙긴다는 게 나쁜 게 아닙니다.
오히려 안 챙기는 것이 잘못된 '유교 사상'을 기반으로 한 '선비 마인드' 아닐까요?
집에서 숟가락 빨고 있기 딱 좋은 자세입니다.
직장은 항상 'Short'으로 보고 사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그래야 직장을 다니는 동안에 내 가치를 최대한 올릴 수 있고,
또 'Short'으로 봐야 직장 밖에서 돈 벌 수 있는 생각을 빨리 하게 됩니다.
여러분도 올해는 고과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keyword
직장생활
평가
자기계발
Brunch Book
라구나의 부자 생각-라부생 2화
05
신문 경제면보다 먼저 보는 이 것
06
지방에 집 짓고 사는 친구
07
회사에서 고과 잘 받는 방법
08
부동산 '마용성'의 특별한 가치
09
이 시대의 믿을 수 있는 스승
라구나의 부자 생각-라부생 2화
라구나
brunch book
전체 목차 보기 (총 30화)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
브런치스토리 작가로 데뷔하세요.
진솔한 에세이부터 업계 전문 지식까지,
당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선보이세요.
브런치스토리로 제안받는 새로운 기회
다양한 프로젝트와 파트너를 통해
작가님의 작품이 책·강연 등으로 확장됩니다.
글로 만나는 작가의 경험
작가를 구독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
당신에게 영감을 주는 작품을 추천합니다.
이전
1
2
3
다음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내 브런치스토리 찾기
내 브런치스토리의 카카오계정을 모르겠어요
페이스북·트위터로만 로그인 했었나요?
로그인 관련 상세 도움말
창 닫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
작가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작가의 글을 더 이상 구독하지 않고,
새 글 알림도 받아볼 수 없습니다.
계속 구독하기
구독 취소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