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영신 Sep 15. 2024

생각을 쓴다

생각들을 눈에 보이는 문장으로 쓴다. 대부분 하루에 일어난 일의 생각을 나열하는 기록이라 일기가 맞다. 일기를 토막으로 간단하게 쓰고, 토막들의 배색을 정리해서 쓰면 하루의 일과 감상 모음쯤 된다. 간단하게 않게 쓰고 싶다. 보통 어느 선에서 휙 베어내고 끊고 종료하기도 한다.


일기의 독자는 주로 나 자신인데 어느 날은 읽다가 내가 쓴 글에 내가 배움이 일어나기도 한다. 합리화의 굳히기쯤 된다. 오랫동안 읽어온 선배 작가들의 글을 통해 공감한 내용들이 내 생각들의 일부가 되어 그 얘기가 그 얘기 같을 수도 있다. 슬쩍 발을 빼듯 생각들이 우수수 숨어버릴 때도 있다. 생각이란 그런 것이다. 배우고 익혀서 내게 스민 것이다.


생각의 알맹이들 덧칠되지 않은 원래의 감정뿐인데, 함부로 드러낼 수 없기에 가르치고 입혀서 다스려야만 형태를 갖추는 그 무엇이다. 짧고 간단하고 분명한 내용으로 여름날 소나기처럼 온통 땅을 적시는 글을 쓰고 싶다. 마음은 그렇다.


글이란 것이 짧음을 지향한다면 시를 써야 하는데 이때는 슬쩍 두려움이 든다. 시에 빠져서 대책 없이 행간의 미로에 갇힌 적이 있던 십 대의 내가 손목을 잡으며 그러지 말라고 말리는 것 같다. 주저하는 마음을 좀 길게 쓰면 일기가 늘어져 읽기 거북하다. 때로는 독자를 생각하지 말라고 유들유들해지라고 격려하는 글쓰기 책을 찾아 서가에 머물기도 한다.

 

글을 뭐 하러 쓰려고, 그냥 일기나 쓰지 누구를 향해 말하려는 것이냐고 묻는 무촌지간의 가족이 있다. 글이란 어떤 시간 여행과 비슷해서 읽거나 쓰거나 현재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현재는 휘발한다. 사라지기 위한 시간이다. 사라짐의 일부를 재빨리 잡아 글에 저장하는 일은 오직 작가들만이 할 수 있다.


스스로 작가가 되어 베스트셀러가 뭐 별거냐며 인생 한방이라는 거친 표현으로 흔적을 남긴다. 고전으로 남은 몇몇 문학가들을 제외하면 대부분 사라진다.  대부분의 문인들은 앎의 행간에서 살다가 책을 남기고 사라졌다. 책도 사라진다.


종이책의  수명을 전자책으로 늘려보아도 책 내용들은 바이러스의 변종처럼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며 모호해진다. 내용의 시작을 굳이 알아낼 필요도 없다. 일기가 갖는 처참함은 그런 것이다.

 

비장한 마음으로 또 무엇을 쓴다. 이 시대의 인간들에게 취약한 부분에 대한 내용들이다. 일기가 진화해서 어떤 글감을 잡고 글감에 매달려 점차 전달의 힘을 갖게 되기를 희망한다. 바라는 것이 생기니 지루해지고  피곤하다. 구차한 느낌이 들고 글에 대한 강박이 생긴다.


하루 일상이 꽃처럼 아름답고 향기로움과는 철저하게 멀어지려고 할 때 스치듯 보이는 것들을 잡아채어 써본다. 쓰는 것의 고단함을 아무도 모른다. 일기 같은 글을 읽던 내가 내 왼쪽 눈동자를 응시하듯 등을 토닥이는 저녁이 오면 내일을 기약한다. 생각들이 우르르 밤하늘로 떠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