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든 상황속에서 순조롭게 지낸다
아침에 어머니를 깨우며 이불을 들췄는데 지린내가 풍겼다 어머니가 실수를 했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 달 들어 두 번째다. 어머니는 그것도 모르시고 더 주무시고 싶었는지 당신을 가만 누워있게 하란다. 어머니가 이불속에서 나오시려하지 않을 때마다 쓰는 수법이 있는데 그것은 식당 간다는 말이다. 식당 간다는 말은 내가 식당 일을 나간다는 뜻이다. 어머니는 다시 식당에는 왜 가냐고 물으시는데 그러면 나는 일을 해야 자식들 먹여 살릴 것 아니냐고 되묻고 빨리 서두르라는 눈치를 보인다. 그럼 어머니는 알아들었다는 듯 두말 하지 않고 일어나 화장실로 향하신다. 아닌 게 아니라 가끔 나는 둘째 언니가 운영하는 식당으로 아르바이트를 나가고 있다.
침대 패드며 어머니 아랫도리옷에 물기가 보이는데 어머니는 화장실로 들어가시자마자 변기에 앉으셨다. 아직 볼 일이 있으신 모양이었다. 그런데 작은 것만이 아니라 큰 것까지 보시고 일어나셨다. 마스크를 썼음에도 구린 냄새가 코를 찔렀다. 머리를 감겨드려야 해서 그 역한 냄새를 다 맡아가며 나의 본업을 성실히 수행했다. 외출복으로 갈아입으신 어머니는 시원스럽게 쏟아내고 씻고 해서 그런지 아침을 맛나게 드셨다. 식혜 한 모금으로 입을 축이시고는, 가시 바른 굴비며 돼지고기 넣은 김치찌개로 공기밥을 한 그릇 다 비우셨다. 하지만 내 입으로는 밥술이 들어가지 않았다. 여전히 눈에는 배설물이 어른거리고 코끝에서는 역한 내가 났기 때문이다. 없는 시절에는 똥은 옆에 두고 먹어도 사람은 두고 못 먹는다는 말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그 말이 별로 유효해 보이지 않는다. 아직 배가 불러서 그런 걸까 아니면, 심보가 고약해져서 그런 걸까. 사람은 두고 먹어도 똥은 두고 못 먹겠다.
치매 걸린 아버님을 혼자 간병하셨던 시어머니는 가끔 다 된 저녁이면 전화로 밥이 목구멍으로 안 넘어간다고 하소연하셨다. 그런 날이면 어머니가 아버님 기저귀를 가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화기 저 너머로 어머니의 힘겨워하시는 숨결이 느껴졌다. 어머니는 아버님이 꼼짝하지 않고 누워만 있어서 기저귀를 가는 것이 얼마나 힘들었는지, 그 지독한 냄새 때문에 속이 얼마나 울렁거리고 머리가 빠질 듯한지를 자주 토로하셨다. 그러고 보면 어머니도 똥을 옆에 두고 못 먹는 사람에 가까웠다. 기저귀를 갈 때마다 어머니의 체력은 바닥을 치고 입맛을 잃어가셨다.
근 10년 가까이 어머님이 아버님을 수발하실 때 내가 아버님 기저귀를 갈아본 적은 없었다. 아버님은 며느리 앞에서는 절대로 일을 보시지 않았기 때문이다. 어머니는 그것이 또 불만이셨다. 기저귀를 갈아봐야 며느리가 당신의 고초를 알아줄 터인데 그러지를 못하니 말이다. 친정어머니가 소변을 흘리고 대변은 변기에 싸는데도 이렇게 진저리가 쳐지는데 기저귀를 차게 되면 나도 시어머님처럼 노여움이 많아지지 않을까. 그 많은 자식 중에 내가 떠맡게됐다는 피해의식도 스멀스멀 올라올 거고 어머니가 미워지기도 하리라. 멀지 않은 날에 어머니도 기저귀를 차실 텐데 그날이 빨리 올까 봐 두려워지기 시작한다.
집에 병인이 있으면 집안에 불쾌한 냄새가 풍긴다. 병인 특유의 지린내와 체취가 옷이며 커튼이며 벽지에 배어 잘 빠져나가지 않는다. 그것은 아무리 문을 열어 환기를 시킨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시댁을 갈 때마다 고약한 냄새가 떠돌았다. 특히 겨울에 그랬다. 추위를 많이 타시는 분들이라 겨울에는 환기가 어려워 더욱. 바깥에서 들어온 사람들은 그 특유의 불쾌한 냄새에 속이 거북한데 집에 있는 사람들은 그 냄새가 몸에 배어 바깥사람들이 냄새난다는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 어머님 집에 가면 그 특유의 냄새 때문에 밥을 먹지 못했다. 유일하게 잘 드신 분은 아버님뿐이었다. 이 집에서도 그런 고약한 냄새가 풍기기 시작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날이 추워 하수구가 역류하고 있으니 세탁기 돌리는 것을 자제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온다. 오물이 묻은 옷가지와 침대 패드를 빨기 힘들게 생겼다. 그것들은 며칠째 세탁실에서 잠을 자다가 날이 풀리면 세탁기 안으로 들어갈 것이다. 그때까지 냄새가 퍼져나갈 것이다.(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