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으로 효도하려 하지 마세요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은 관절 질환에 좋다고 알려져 최근 많은 분들이 찾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이에요. 특히 나이 드신 부모님께 선물하기 좋은 건강기능식품으로 인기가 많죠. 하지만 정말일까요? 오늘은 논문을 통해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의 효능을 팩트체크해 드릴게요!!
글루코사민은 손상된 연골을 회복하고 연골 세포의 성장을 도와 관절과 인대를 강화한다고 해요. 시판되는 글루코사민 영양제의 원료는 주로 게나 새우 껍질에서 추출한 것이랍니다. 그래서 갑각류 알러지가 있는 분은 복용을 피하는 게 좋아요.
한편 콘드로이친(Chondroitin)은 물과 친해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지닌 글리코사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 GAG)의 일종이에요. 그래서 연골 조직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보충해 완충 작용을 강화해요. 또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고 탄력을 유지하며, 염증을 억제할 수도 있답니다. 그리고 콘드로이친은 연골의 주요 구성 요소로 관절에서 연골의 완충 및 윤활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도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을 각각 2015년과 2020년에 ‘관절 및 연골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원료로 인정하기는 했어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은 관절을 더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주지 않아요.
어떤 건강기능식품 회사들, 또는 일부 약사와 의사들은 의학 논문을 인용해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의 효능을 홍보해요. 그러나 논문은 그 공신력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논문에 나왔다고 그냥 믿으시면 절대로 안 돼요! 일반화하기 어려울 만큼 턱없이 적은 대상 수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제시하며 성분의 효능을 과장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에요.
2010년 BMJ에 출판된 위 논문[2]은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이 관절 통증을 줄이는 정도나 골관절염으로 좁아진 관절강에 미치는 효과가 위약(플라시보)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결론 내렸어요. 더 나아가 이 논문은 보건당국과 건강 보험에서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을 급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며,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게는 처방을 자제해야 한다고까지 주장해요.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이 관절 건강에 효과가 없다는 사실은 우리나라에서도 밝혀졌어요. 우선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의 효과를 연구한 총 37편의 임상시험 결과를 종합한 메타분석[4]을 실시했어요. 그런데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을 제조하는 회사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는 통증 감소와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은 반면, 지원받지 않은 연구는 이러한 효과가 없다는 결과를 얻었어요.
결국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결과는 역시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이 관절염 예방, 관절 통증 감소, 관절 기능 향상에 효과가 없음을 입증한 셈이죠.
또한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에 따르면,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이 퇴행성 관절염에 좋다는 연구 결과들은 대부분 기간이 지나치게 짧거나 일관성이 떨어지는 방법론 때문에 왜곡된 결과일 가능성이 크다고 해요.
아울러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는 글루코사민이 당뇨병 환자와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 콘드로이친은 천식 발작이 있는 환자에게 위험하므로 동시 복용을 피해야 한다고 당부하기도 했어요[5].
그렇다면 관절 건강은 도대체 어떻게 해야 지킬 수 있는 걸까요?
지금부터 건전지가 생활 속에서 관절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네 가지 간단한 방법을 소개할게요!
골관절염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무릎이에요. 특히 비만은 무릎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답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중의 5퍼센트만 감량해도 무릎 통증이 절반 이상 줄어들 수 있다고 해요. 그러니 고칼로리 음식 대신 균형 잡힌 식단을 드시고, 틈틈이 운동을 해 체지방을 에너지로 전환해야 합니다!
한국 특유의 좌식생활은 무릎, 고관절, 발목관절 부위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취하기 쉽답니다. 무심코 취하는 양반다리 자세, 쪼그려 앉기, 무릎 꿇고 앉기 같은 자세는 되도록 피하셔야 합니다. 물론 의자에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도 마찬가지예요!
비타민 C, 비타민 E, 베타카로틴, 셀레늄 등의 항산화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활성산소가 몸 속에 많아지면 연골세포의 노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이지요. 이때 항산화 성분을 많이 섭취하면 체내 활성산소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답니다!
칼슘과 비타민 D 역시 관절과 뼈 건강에 좋은 성분이에요. 그러니 우유를 비롯한 유제품이나 두부를 통해 칼슘을 섭취하세요. 또 되도록 햇볕을 많이 쬐어 비타민 D가 몸 안에서 만들어지도록 하는 게 좋아요. 다만 연로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등의 이유로 실외 활동량이 적은 분들의 경우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비타민 D를 섭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글을 읽고 궁금한 점 또는 별도의 의학 관련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건전지 앱의 의사 전문가 집단이 상세히 답변해 드릴게요.
Stay Charged!
※더 많은 관절 영양제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매거진을 함께 읽어보세요!
각주 & 참고문헌
[1] 영국 의학 저널(British Medical Journal)
[2] Wandel S, Jüni P, Tendal B, et al. Effects of glucosamine, chondroitin, or placebo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hip or knee: network meta-analysis. BMJ. 2010;341:c4675. Published 2010 Sep 16. doi:10.1136/bmj.c4675
[3][4]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골관절염 환자에서 글루코사민의 임상적 효과. 2011.10.17
[5]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 [건약의 의약품 적색경보 5호]더 이상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친으로 효도하지 마세요. 2008.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