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도미토리 숙소에 주로 모이는 젊고 사교적이며 밤새 술잔을 짠하며 공용공간에서 파티를 하고 싶어 하는 대학생들과는 거리가 멀었다.
도미토리 치고 개인 공간이 조금 더 보장되는 만큼, 가격대가 있어서 그런지
대부분의 방문자는 직장인이었다.
특히,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을 할 수 있는 리모트 워커.
특이한 점은 이렇게 혼자 온 손님이 많은 공간에
테이블이 다 둘러둘러 같이 앉아야 하는 큰 테이블이라는 점이었다.
직장이 많은 지역의 스타벅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창문 앞 또는 벽을 마주 본, 한 줄로 길게 늘어뜨린 1인석 자리를 포기하고, 둥근 테이블과 소파, 그리고 4인 이상이 앉는 긴 작업 테이블을 두었다.
그리고 숙소에서 제공되는 조식을 먹을 때가 되면
이 큰 테이블을 한 명씩 차지하기 시작한다.
9시쯤이 되어, 뒤늦게 내려온 늦잠쟁이들이 두리번두리번 자리를 찾으면,
유난히 얼굴이 평온하고 친근해 보이는 어머니가 옆자리 의자를 꺼내며 여기 앉아도 된다고 한다.
내가 먼저 큰 테이블을 차지하고 앉아 먹고 있으면,
중국에서 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금발머리 여자가 어깨를 톡톡 두드리며, 귀찮게 해서 미안한데, 같이 앉아도 되겠냐고 한다.
등뒤에 가방 대신 기타를 맨 키 큰 덴마크 남자가 어제 작은 가게에서 산 복슬복슬한 곰돌이 키링을 보여주며 귀엽지 않냐고 자랑한다.
그렇다고 해서, 같이 하루를 보내거나,
같이 여행을다니지 않지만,
한 테이블을 공유하며 얕기도 깊기도 한
이야기를 나누고,
그러다 한 번쯤 밥을 같이 먹기도 한다.
난 담에 머무르면서, 내가 높이 쌓아 올렸던 담을 넘어, 이 이방인들에게 갈매기살을 구워주었고, 김치전에 청하를 축였으며, 그리고 오늘 마지막 날에는 지난 일주일 내내 "tourist"로 한국의 경복궁, 남산타워를 돌았던 그 금발머리 여자 대학원생과 함께 진짜 한국인들이 가는 역삼 포스코타워의 테라로사를 간다.
그리고 그렇게 유사한 사람들이 모이고 모여
점점 커진 브랜드는
그다음 챌린지를 맞닥 뜨리게 된다.
타깃군이 확장되어도
그 브랜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
내가 혼자 비밀리에 좋아하던 맛집이, 어느 순간 유명해져서 다시 방문하니 그 맛과 그 분위기 나지 않았던 경험은 다들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