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김치

by leolee Jan 03. 2025

교실에 앉은 학생들이 조용히 나를 바라보고 있었다. 나는 오늘 주제를 칠판에 적으며 시작했다.

"오늘은 한국의 음식 문화, 특히 김치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그때, 하오펑이 손을 들더니 말했다.

"선생님, 우리 엄마가 그러는데 김치는 중국이 원조래요."


나는 잠시 멈춰 생각했다. '드디어 올 것이 왔구나.'

김치에 대한 설명: 음식이 아니라 만드는 방법


나는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좋은 의견이에요. 사실 김치는 단순히 하나의 음식 이름이라기보다는, 음식을 만드는 '방법'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해요."


칠판에 '김치 = 만드는 방법'이라고 적으며 설명을 이어갔다.

"예를 들어, 볶음 요리가 다양한 재료를 볶아서 만드는 요리 방식을 의미하듯이, 김치도 배추, 무, 오이 등 다양한 재료를 절이고 양념을 묻혀 발효시키는 과정을 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김치는 하나의 요리가 아니라 그 안에 다양한 종류와 변형이 있는 큰 개념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학생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적었다. 나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덧붙였다.

"예를 들어, 배추는 딱딱하기 때문에 소금물에 절여 부드럽게 한 뒤,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 다양한 양념을 묻혀 발효시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김치' 아니, "배추"김치죠."


"다시 한번 말하지만 김치는 단순히 음식의 이름이 아니라, 음식을 만드는 하나의 방법입니다."

나는 학생들에게 천천히 설명했다.


나는 칠판에 '김치 = 절임 + 양념 + 발효'라고 적었다.

"이 세 가지 요소가 김치를 만드는 핵심이에요. 그리고 이 방법은 배추김치, 깍두기, 동치미, 열무김치 등 수많은 김치 종류에 적용됩니다."

한국 각 지방의 김치와 특징


나는 칠판에 한국 지도와 함께 각 지방의 김치 특징을 간단히 적었다.


서울, 경기도 김치

왕이 먹던 김치에서 이어져서 간이 짜지도 싱겁지도 않다.

예:배추김치, 깍두기


전라도 김치:

맵고 짭짤하며 진한 맛과 풍부한 양념으로 깊은 감칠맛이 난다.

예: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경상도 김치:

소금과 젓갈을 많이 사용하여 짭짤한 맛이 특징입니다.

예: 부추(정구지)김치.


강원도 김치:

선류인 생태, 오징어를 사용한다.

예: 멸태김치, 오징어김치


충청도 김치:

적당히 맵고 간이 균형 잡혀 있으며, 깔끔하고 담백한 맛을 냅니다.

예: 총각김치, 가지김치


제주도 김치:

재료 본연의 맛을 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예: 전복김치, 동지김치.


"보세요. 한국에서는 지역마다 재료와 맛이 달라요. 이렇게 다양한 김치를 만드는 방법이 전해져 내려온 거예요. 그리고 요즘에는 아보카도 김치, 고구마 김치처럼 여러 가지 채소 등도 만들어지고 있어요"


나는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만한 과학적 이야기도 덧붙였다.

"김치는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이 생겨납니다. 이 유산균은 장 건강에 매우 좋고,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김치의 발효는 시간이 지날수록 맛이 깊어지고 영양가가 높아지죠."


중국의 파오차이와의 차이


하오펑이 다시 손을 들고 물었다.

"그럼 중국의 파오차이와 김치는 완전히 다른 건가요?"

나는 고개를 저으며 설명했다.

"파오차이는 김치와 비슷한 발효 음식이지만, 만드는 과정과 재료에서 차이가 있어요. 파오차이는 보통 맑은 소금물에 채소를 절여 간단히 발효시키는 반면, 김치는 고춧가루와 양념과 젓갈을 사용하고, 숙성 기간도 더 길죠. 물론 라바이차이라고 고춧가루와 양념을 사용하는 게 있지만 거의 우리의 겉절이와 비슷하게 거의가 막 만든 상태라서 좀 달라요."


나는 덧붙였다.

"중국에서 파오차이를 김치라고 주장하는 것은 마치 한국의 '배추김치'를 경기도 김치만으로 정의하는 것과 같아요. 각각의 고유한 특징과 차이를 존중해야 합니다."


명칭의 차이와 문화적 이해

나는 조금 더 넓은 관점으로 이야기를 확장했다.

"사실 이런 문화적인 차이는 음식뿐만 아니라 명절에서도 나타나요. 예를 들어, 중국에서는 지에라고 부르는 것을 우리는 '설날' 또는 '음력설'이라고 부르죠. 이름은 다르지만 본질적으로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새해를 축하하는 문화는 비슷해요."


"김치는 한국인들에게 단순한 음식이 아닙니다. 명절이나 특별한 날에는 온 가족이 모여 김장을 하며 서로 돕고 이야기하는 문화가 있죠. 이런 김장 문화는 유네스코에도 등재된 한국만의 독특한 전통이에요."


나는 학생들을 향해 말했다.

"그래서 김치는 단순히 맛있고 건강한 음식 그 이상입니다. 한국인의 삶과 전통, 그리고 사랑이 담겨 있는 특별한 음식이죠."


학생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메모했다. 나는 마지막으로 강조했다.


"중요한 건 어떤 나라가 먼저 시작했느냐가 아니라,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예요. 김치는 한국의 고유한 문화이고, 파오차이는 중국의 고유한 문화입니다. 둘 다 훌륭한 전통을 가진 음식이죠."


수업 마무리


수업을 마치며 나는 말했다.

"오늘 김치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은 사람은 집에서 인터넷으로 찾아보세요. 특히 각 지방의 김치 종류와 맛의 차이를 공부하면 재미있을 거예요!"


이번 수업에서 학생들은 단순히 김치의 정의를 넘어, 그것이 가진 문화적 의미와 깊이를 이해하며 교실을 나섰다. 이 수업은 단순히 음식을 배우는 것을 넘어, 문화와 철학, 그리고 서로 다른 관점을 존중하는 법을 배우는 시간이 되었다.

이전 14화 게임 수업 : 끝말잇기와 369게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