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모두 중요하고 가치있는 존재
원문은 생략했다. 한글로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노력했다. 괄호 안의 부연 설명으로 최대한 자연스럽게 다듬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뭇사람을 어찌 죽음으로 위협할 수 있겠는가. 만일 뭇사람이 항상 죽음을 두려워하게 만들기 위해 기이한 짓을 벌이는 이가 있다면, 내가 잡아다 죽일 것이니, 누가 감히(그렇게 하겠는가).
항상 망나니(사형집행자)를 두어 죽이는데, 이를 대신하여 죽인다면, 훌륭한 목수를 대신하여 나무를 다듬는 것과 같다. 그를 대신하여 나무를 다듬는 이 중에서 손을 다치지 않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참 독특한 느낌을 주는 74장이다. 자신의 의지를 확고히 다지는 느낌이다. 심지어 죽음으로 위협하는 사람이 있다면 잡아다 죽일 거란 경고까지 날린다. 노자는 사람 목숨을 쉽게 여기지 말라고 말한다. 분명 나쁜 지도자를 향한 것이다. 뭇사람을 아끼는 그의 마음이 느껴지는 74장이다.
사람을 위협하거나 협박하기 위해 그가 가장 아끼는 것을 빌미로 삼는다. 대부분의 사람에겐 목숨, 사랑하는 이들 또는 목숨줄이 달린 생계일 것이다. 위정자들은 늘 간사하고 치사한 방법으로 사람을 괴롭히고 한계까지 밀어부쳐 자신에게 복종하게 만든다. 이런 것들이 ‘기이한 짓’이겠지.
오늘날이라고 해서 그리 다르진 않다. 앞장에서 여러 차례 말했지만 권력자들의 횡포는 그리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런데 다 잃은 사람 또는 다 잃을 것을 각오한 이들에겐 그 무엇도 통하지 않는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무엇으로 그를 위협하겠는가.
74장에서 말하는 사형집행자는 아마도 왕의 주관적인 생각과 감정으로 함부로 사람을 죽여서는 안 된다는 상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과거에는 왕의 손짓 하나로 사람의 목숨이 왔다갔다 했다. 재판이랄 것도, 법조문이랄 것도 없던 시대엔 왕의 말이 곧 법이었다.
이런 의미에서 ‘죄형법정주의’가 떠오른다. 근대의 죄형법정주의를 내세운 사람은 18세기 이탈리아의 체사레 베카리아였다. 물론 그것이 확립된 것은 이후의 일이다. 누구나 헌법에 근거하여, 다시 말해, 법 조문에 근거하여 자신의 피의 사실에 대해 재판을 받고 그에 합당한 형벌을 받아야 한다는 원리이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인류의 역사는 지극히 천천히 한발짝씩 나아간다. 한 인간의 삶이 너무나도 짧기에 그 변화의 폭을 경험하기 어려울 뿐, 긴 역사의 페이지를 넘기다보면 이를 깨달을 수 있다. 현재의 인류는 이전 세대가, 그 이전의 세대가 투쟁하며 쌓아올린 문명의 기반 위에 서 있다. 그저 얻은 것이 아니다.
이런 역사의 흐름에 큰 족적을 남기는 사람을 일컬어 ‘위인’이라 부른다. 노자도 그런 의미에서 ‘위인’에 해당한다. 그런 사람들과 보통의 수많은 사람들의 힘이 모여 인류의 역사가 발전한다. 물론 보통의 인생도 어디 쉬울까. 한 개인으로 가족을 돌보고 자신의 삶을 열심히 사는 것도 지극히 어렵고 훌륭한 일이다.
인간은 모두 중요하고 가치 있는 존재이다. 고대의 성인들이 그것을 말과 글로써 선언했고, 그 다음의 세대들이 그것을 헌법으로 세웠다. 그리고 지금의 세대와 다음에 올 세대가 해야 할 일은 이를 직접적으로 실현하며 결코 이를 무너뜨리거나 이전의 시대로 돌아가지 못하게 막는 일이다.
*노자 도덕경 1-30장은 아래에서
https://brunch.co.kr/brunchbook/taoteching
*노자 도덕경 31-60장은 아래에서
https://brunch.co.kr/brunchbook/taoteching0
*관련 도서(내 책)
2023 세종도서 선정 <어른이 되어 다시 만나는 철학>(믹스커피)
살림지식총서591 <도가>(살림출판사)
*노자 도덕경, 왜 부와 풍요의 철학인가?
https://www.basolock.com/richness-taote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