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검 Sep 30. 2020

왜 대만 사람들은 일본을 좋아할까?

대만(타이완) 사람들은 참 일본을 좋아한다. 1945년 일본 항복 후 식민지 통치자들이 일본으로 돌아갈 때 대만 사람들이 항구에 나가 울었다는 말이 있다. 또한 지금 중국과 통일, 다시 일본에 병합 중 선택하라고 하면 차라리 후자를 선택할 대만인이 많다고 하면 한국 사람들은 정말 놀랄 것이다.


대만 사람들은 식민 지배를 받았으면서 왜 일본을 좋아할까?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1. 역사적 이유 : "그래도 일본 때가 괜찮았지"


대만에는 참 많은 나라 사람들이 왔다.  

 - 1624년 가오슝/타이난 지역에 네덜란드가, 1626년 타이베이 지역에 스페인이 진출하여 설탕 농장 건설

 - 1642년, 네덜란드는 타이베이에 있던 스페인 동인도 회사를 점령하여 대만 섬 전역을 지배

 - 1662년, 청나라와 싸우던 명나라 장군 정성공이 대만 섬에 와 네덜란드 세력을 몰아내고 지배

 - 1683년, 정성공과 아들이 병사한 후 청나라가 대만섬을 점령, 이후 청나라는 대만섬을 212년 간 통치

  * 중국이 대만이 중국 땅임을 주장하는 이유가 정성공의 정씨왕국과 청나라의 대만섬 지배에 있음

 - 1895년, 청일전쟁 일본 승리 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에 할양되어 일본이 50년간 식민 통치

  * 한국의 조선총독부 건물은 1995년 철거된 반면, 대만은 대만총독부 건물을 아직도 총통 사무실로 씀

 - 1945년, 일본 항복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 접수. 국민당 국공내전 패배로 1949년 타이베이로 수도 이전


대만 섬에는 네덜란드, 스페인, 명나라 장군, 청나라, 일본, 국민당 정부가 와서 지배를 했다. 한일합병 이전 독립 국가를 수천 년간 유지해 온 한국과는 차이가 있다. 네덜란드, 스페인은 유럽에 설탕을 공급하기 위해 설탕 농장을 운영하는 장사꾼들이었고, 명나라 장군과 국민당 정부는 본토 수복을 위한 기지로서 대만을 취급했다. 일본도 제국주의 확장 정책의 일환으로 대만 식민지를 운영했다. 누구 하나 순수히 대만인을 위한 정치를 해본 적이 없다.


국민당 군대가 1945년 대만에 도착하여 포용적 정책을 폈더라면 대만 주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을 테지만 그러지 못했다. 한국의 광주 민주화 운동을 떠올리게 하는 1947년 2·28 사건이 대표적이다. 2·28 사건으로 3만여 명이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1949년 시작된 계엄령이 38년 후 1987년 해제되었으니 2·28 사건의 규모와 영향을 이로서 대략 가늠할 수 있다. 사건의 발단은 '허가'받지 못한 담배 노점상에 대한 경찰의 폭력이었고, 근본적인 원인은 1945년부터 대륙에서 건너온 국민당 군대의 부패와 폭력적인 통치였다. 본토로부터 와 권력과 이권을 장악한 외성인外省人과 기존 대만에 있던 본성인本省人 간의 갈등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유화적인 태도로 시간을 끌던 국민당 대만 정부는 진압을 위한 본토 증원군이 도착한 3월 8일부터 유혈 진압을 시작했다.


대만 사람들은 '이전 지배자와 비교하며' 그래도 일본은 도로, 철도, 전기, 항만, 수리시설을 건설하고 교육 제도와 생활환경을 개선해주었지라며 고마운 마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인이라면 이런 '식민지 근대화론'에 찬성할 수 없겠지만 여러 '지배자'를 비교한 대만인의 '평가 결과'가 그렇다. 식민지배에 대한 저항 정도, 일본의 통치 방식에 차이도 있다. 대만이라고 항일 독립운동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1915년 타파니 사건(무장봉기)으로 866명이 사형 판결을 받는 등 무력 저항도 있었다. 하지만 저항은 소규모였고 식민 지배자와 식민지 주민 간의 관계는 대체적으로 좋았다. 대만인들은 나아진 인프라와 생활, 줄어든 해적 등 좋아진 치안에 만족했다. '외부인의 지배'에 대한 감수성이 한국과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  



2. 현실적 이유 : "그래도 일본이 필요하지"


대만에 온 중화민국 정부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자리를 유지했으나 1971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에게 뺏기게 되었다. 그 후로는 일본(1972년), 미국(1979년), 한국(1992년)과 같은 우방으로부터 외교적으로 단교를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모두 중국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이 자신과 수교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대만과의 단교를 요구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한국에는 대만 외교부가 없고 대만 '대표부'가 비자 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대만과의 정식 외교 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는 15개국에 불과하다. 그나마 수교국이 많았던 아프리카 국가들도 대만과 단교하고 더 많은 경제적 유인책을 제시하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정식 외교 관계로 맺은 상태이다.   


< 대만의 수교국 >


이런 상황에서 대만은 과거사를 논하며 얼마 안 남은 '민주주의 우방 국가'를 미워할 여유가 없다. 더구나 현재 중국은 대만이 독립 정책을 공식화할 시 무력 공격을 불사하겠다고 공언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100여 년 전 식민 지배를 했다고 일본을 마냥 거부하고 싫어할 이유가 없다. 대만인은 전통적으로 친미, 친일, 그리고 최근에는 친한 정서가 뚜렷하다. 자유 민주주의 국가라는 가치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은 남한과 북한을 각각 한국韩国과 조선朝鲜으로 부르지만 대만만큼은 南韓, 北韓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사용한다. 그것도 번체자로. (대만에서는 복잡할 번, 번체자가 아닌 완정할 정, 정체자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대만 국민당은 친중, 반일을 주장해왔다. 공산당에 패퇴하여 대만으로 후퇴한 국민당이 친중이라는 말이 역사의 아이러니이다. 국민당은 공산당과 내전을 했어도 그래도 중국 본토와 대만은 하나의 중국에 속한다는 인식을(92共识,1992 Consensus) 가지고 있다. 하지만 민진당은 우리는 중국과 관련 없는 독립 국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민진당이 나타나니 상대적으로 국민당이 친중당이 되어 버렸다. 중국의 강경책으로 현재 여당인 민진당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당의 '일제의 잔인함'에 대한 반감 유도 정책은 효과가 없다. 많은 대만인들이 난징대학살,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해 알고는 있지만 한국 사람 수준의 적대감, 반감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고립된 외교 지형을 고려하면 일본과의 친밀한 관계를 버릴 수 없다. 장징궈의 경제발전 시기 일본으로부터 많은 원조를 받았고, 일본을 모델로 쾌속 성장을 할 수 있었다. 경제적으로, 외교적으로, 문화적으로 일본은 대만의 베스트 프랜드가 아닐 수 없다.   



관련 글

 : 대만(타이완)과 한국, 역사 속 만남

 : 중국의 보통화와 대만의 국어

 : 1949년, 대륙 결전


참고 링크

 : 대만 사람이 일본을 좋아하는 이유 1 (유튜브)

 : 대만 사람이 일본을 좋아하는 이유 2 (유튜브)

 : 타이완의 역사

 : 정씨 왕국

 : 대만 2.28 사건

 :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




         

매거진의 이전글 [기타] 북방과 남방의 차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