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경쟁력에서 미래 경쟁력으로의 선순환
'과학자들은 어떻게 워킹푸어가 되었나' 특집 보고서
1. 과학자는 어떻게 워킹푸어가 되었나 - 우리는 행복하게 연구할 수 있을까?
2. 과학자에게 돈이 없는 이유: 지원금이 적어서? - 문제는 돈이 아니라, 제도와 정책
3. 박사는 왜 이렇게 많을까 - 학위 받으면, 연봉은 잘 쳐 주고?
4. 연구가 하고싶어? 정착하거나, 떠돌이가 되거나 - 연구하는 삶을 꿈꿔도 될까요
5. 대학원: 일자리는 만들고, 학생은 줄이고 - 지속가능한 대학원으로의 체질 개선
6. 대학원과 기업: 장학금과 맞춤 연구자의 교환으로- 산업 경쟁력에서 미래 경쟁력으로의 선순환
7. '과학자들은 어떻게 워킹푸어가 되었나'를 마치며 - 젊은 세대가 한국 이공계, 한국 사회의 미래이기 때문에
그러나 대학원을 둘러싼 정책을 개선한다 하더라도, 일자리가 제한된 학계로의 인력 쏠림 현상이 변화하지 않는다면 교수-학생 간, 교수-박사 간 계층갈등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젊은 과학도를 위한 진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 지난 2014년 미국 국립과학원에서 발간된 보고서에서는 박사과정 교육의 목표를 독립된 학계 연구자 양성에만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음을 강조하며, 박사학위를 취득한 인력들이 과학행정, 과학저술, 기술 특허, 과학교육, 창업/창직(職) 등 학계 이외의 분야로 진출하는 것을 장려하고, 이를 돕는 새로운 방식의 체계적인 진로교육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47]
다양한 분야로의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지도가 이뤄질수록, 우수 인재의 학계 쏠림 현상이 줄어들고, 이공계 인력 과잉공급/미스매치로 인한 계층갈등이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생명공학 벤처 기업과 대학원의 석사과정을 연계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최근 국내 생명공학 벤처 기업들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며 학계 연구자들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생명공학 벤처 기업은 연구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전문 인재가 부족한 반면에, 지방의 이공계 대학원생들은 이러한 소식을 접하기 어려워 생명공학 벤처 산업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거나, 잠재력에 대해 전해 들을 수 있는 경로가 매우 한정되어 있었다.[50] 이는 바이오 분야의 산-학 협력 연구 비율이 매우 낮은 현실, 연구/학계 중심의 낡은 대학원 교육과 맞물려 학생들이 학계로의 진출에만 매달리게 되고, 추천 권한이 있는 교수가 불합리한 행동을 하더라도 침묵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51]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학원과 생명공학 벤처 기업이 석사과정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52] 통상적으로 졸업 논문 주제를 정하는 석사과정 2년 차 학생들에게 1년간 벤처 기업과 고용계약을 맺고, 벤처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분야의 과제를 연구 주제로 선택해 졸업논문을 작성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학생은 산업계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주제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고, 기업들과 대학 사이에 긴밀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인재 교류-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기업 입장에서도 우수한 인력과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53] 최근 국내에서도 대학원-벤처기업 간 연계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연구 인력의 커리어 모색을 돕는 시도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54]
대학-기업의 학위 연계 제도가 성공적으로 안착한 사례로, 독일의 이공계대학원을 살펴볼 수 있다. 독일의 경우, 석사과정은 지도교수와 연구실이 배정되지 않은 채 초기에는 수업 중심으로, 중반부 이후부터는 연구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며 논문 작성 등의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55] 이를 통해 학생들이 석사 학위과정부터 실무경력을 갖춘 학생연구원으로 성장하여 산업계에 기여할 수 있고, 박사 인력의 과잉 배출을 완화하여 대학원 내 갈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47].Alberts, B., Kirschner, M. W., Tilghman, S., & Varmus, H. (2014). Rescuing US biomedical research from its systemic flaw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16), 5773-5777.
[50].바이오스펙테이터, 2018-03-06, ‘전문가 기근’에 대처하는 딥바이오의 新인재 채용법
[51].바이오스펙테이터, 2017-08-02, 韓 바이오산업 생태계 큰 단절들 & 변화의 시그널
[52].National Research Council. Addressing the nation's changing needs for biomedical and behavioral scientists.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
[53].Wendler, Cathy, et al. "Pathways through graduate school and into careers." Educational testing service (2012).
[54].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2018-05-29, 원천 R&D를 창업과 일자리로 연결해 바이오 벤처 붐 이어간다
[55].정부기관의 연구 프로젝트를 비롯해 공기업, 민간기업의 연구 프로젝트까지 매우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