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병호 Apr 08. 2023

강연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

일에 대한 생각


강연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


종종 강연 자리가 있었다. 대부분 청년 진로 관련 강연이었다. 내 꿈에 대해 말하고, 내 목표를 이뤘다고 말했었다. 창원 서체를 만들고 싶었는데 결국엔 만들게 됐다고 말했었다. 그때마다 그간 고생했다며 박수를 받고 무대를 내려왔다. 하지만 일상은 여지없이 돌아왔다. 밤이 지나면 아침이 오듯 어김없이 일상은 계속됐고 ‘나는 내 꿈과 목표를 이뤘다’라는 서사가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이라는 무대에 조명은 꺼지지 않았고, 무대의 막은 내려오지 않았다.


만약 우리가 연극을 보러 갔는데 연극 마지막이 되어 주인공이 인사를 하고 고개 숙여 인사까지 다 했는데도 무대 조명은 꺼지지 않고 무대 막이 내려오지 않는다면 연극배우와 객석에 앉아 박수를 치던 관객들은 어떤 마음일까? 배우와 관객 사이는 서로 민망해지지 않을까? 배우는 특히나 등에서 식은땀이 흐를 것 같다. 어색해지고, 빈 숨만 왔다 갔다 관객석은 웅성웅성. 어떻게 해야 할지 모두 안절부절못하게 될 것 같다.


차라리 연극은 관계자가 무대 장치 고장이라고 하며 마치면 되겠지만, 내 인생은 그다음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난감해졌다. 모두가 꿈으로 먹고사는 것도 아니고, 목표가 있어야만 하는 건 아니지만, 나는 흔들 깃발을 잃은 것처럼, 바다 위에서 나침반을 잃은 것처럼 일상 속에서 뭘 하며 지내야 할지 모르는 상태로 표류하게 됐다. 새로운 꿈이 생기면 좋으련만. 안타깝게도 뚜렷한 목표도 목적도 없는 상태가 됐다. 난 새로운 목표가 필요해졌다.

이전 05화 한글을 닮은 내 딸 하민이에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