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고래분수 Jan 15. 2022

오색 샌드위치

Day 14. 채식인의 샌드위치 재료


우리가 사는 콜로라도 메사 카운티 인구는 15만, 지난 2주 동안 하루 평균 코로나19 확진자는 190명이었다. 이 동네는 마스크 착용률이 매우 낮다. 연말에 쇼핑몰 푸드 코트에서 대충 숫자를 세어보니 (직원 포함) 약 백 명 중 대여섯 명만 마스크를 썼다. 엊그제 남편이 양봉가 모임에 갔을 땐 20~30명 중 (남편 포함) 2명만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고 한다. 원래 장보는 거 말고 거의 나가지 않지만, 그래도 더 조심하자면서 남편 혼자 시장에 다녀왔다.

남편이 돌아와서 말했다.


빵 못 샀어. 값이 올랐더라고. 식빵이 8불이나 해!


우리는 가능한 유기농 곡물빵을 사는데, 보통 할인할 때 5불 정도 주고 샀다. 남편이 간 날엔 할인 행사도 없었나 보다. 지난 두 해 동안 거의 모든 장은 내가 봤기 때문에 남편이 느낀 물가 상승 체감이 더 컸을 테다. 아무튼 남편은 어제 빵을 만들었다. 오랜만이라서 빵이 제대로 부풀진 않았지만, 직접 만든 무언가를 먹는 만족도는 역시 높다.

빵도 새로 만들었겠다, 오늘 점심은 샌드위치다. 애호박/양파/버섯을 굽고, 상추/피망/토마토를 올려 오색 샌드위치가 되었다.

케일 상추 애호박 피망 토마토 버섯 양파 샌드위치


처음 채식을 시작했을 때 이렇게 생각했다.


햄/치즈/달걀/마요네즈 없이 상추랑 토마토만 갖고 샌드위치를 어떻게 만들지?


그래서 초기에는 비건 가공식품-마요네즈, 사워크림, 슬라이스 햄, 치즈로 만들었다. 하지만 이런 가공식품이 항상 갖춰진 건 아니다. 그래서 샌드위치가 먹고 싶을 때면 식품 창고와 냉장고를 빤히 쳐다보며 머리를 굴렸다. 이젠 다음과 같은 음식을 샌드위치 속재료로 쓴다.


두부 : 납작하고 도톰하게 썰어 지진다. 또는 두부 스크램블을 올린다.

템페 :  굽거나 튀긴다.

팔라펠 : 납작하게 만들어서 샌드위치 재료로 쓴다.

콩 스프레드 : 으깬 팥/검은콩/강낭콩/녹두/허무스 등

구운 채소 : 양파/버섯/가지/당근/피망/애호박 등

생 채소 : 무/상추/케일/배추/깻잎/바질/파슬리/고수/오이/양파/피망/올리브/쫑쫑 썬 파 등

삶거나 찐 채소 : 시금치(시금치나물 그대로 넣어도 좋다)/비트/브로콜리 등

샐러드 : 타불레

열매 : 사과/토마토/아보카도 등

피클 :  무/비트/오이/할라페뇨 등

소스 : 올리브 유와 식초/허무스/콩 스프레드/케첩/겨자소스/양배추 샐러드/사워크라우트/과카몰리/토마토소스/바질 페스토 등

양념 : 후추/딜/바질/타임/파슬리/오레가노/로즈메리 가루 등


팔라펠/허무스 만드는 법 참고 글 (병아리콩 요리)

타불레 만들기 참고 글 (허무스와 타불레)

과카몰리 참고 글 (아보카도와 멕시코 요리)

템페 관련 참고 글 (단백질 듬뿍 채식 요리)


인도네시아 발효 콩 요리인 템페로 만든 샌드위치
팔라펠과 토마토소스, 콩 스프레드로 만든 샌드위치
아보카도 샌드위치. 아보카도는 토마토, 후추, 고수, 상추와 잘 어울린다.
(왼) 으깬 팥 오픈 샌드위치, 요거 꽤 맛있다.  (오) 콩 패티에 양배추 절임을 올렸다.
(좌) 한여름 텃밭에서 거둔 애호박으로 만든 샌드위치. (우) 비건 가공식품의 힘을 빌린 샌드위치



“칠십팔억 지구인 속에서 내 존재는 너무도 작지만, 나는 하루 세끼만큼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이다.”
세끼만큼의 변화를 원한다면, 에세이 <플렉시테리언 다이어리> 책 훑어보기!



 

매거진의 이전글 청국장과 비름나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