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에 여행가서 견학하면 좋은 병원 4. 준텐도대학 의학부 부속 준텐도 의원 (天堂大学医学部附属順天堂医院) With MD 위너스
2024년 12월초에 4박5일간 일본 동경으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경영경제창업 동아리 MD 위너스 친구들이랑 도쿄에 병원 견학을 다녀왔습니다. 원래 동경강동구 순천당 노인병원까지 견학을 하려고 했으나 그 병원까지 보기에 너무 힘들어서 4군데+1군데병원만 견학하고 돌아왔습니다. 의대생들이 보는 신선한 관점의 View point와 디테일에 대한 관찰이 매우 훌륭했고 아주 행복한 4박5일의 여행이였습니다.
아래 제공되는 모든 사진의 권리는 MD 위너스 친구들에게 있습니다.
4. 준텐도대학 의학부 부속 준텐도 의원 (天堂大学医学部附属順天堂医院
구글맵; https://maps.app.goo.gl/2VePgybLtLAizzvL8
홈페이지; https://hosp.juntendo.ac.jp/
목차
1. 병원의 개요와 역사 (Overview & History)
1-1. 병원에 대한 소개
1-2. 병원의 역사적 배경과 설립 취지
2. 접근성과 환자 편의 (Accessibility & Patient Comfort)
2-1. 길찾기 및 접근성
2-2. 노인을 위한 복지 및 편의
3. 건축과 환경 디자인 (Architecture & Environmental Design)
3-1. 건축물 및 환경 디자인
3-2. LEED 인증
3-3. 일본 병원들의 디테일
3-4. 의료 문화 및 분위기
4. 의료 서비스와 기술 (Medical Services & Technology)
4-1. 의료 서비스 및 운영 방식
4-2. 기술과 설비
5. 병원의 철학과 경험 (Philosophy & Experience)
5-1. 병원의 의료 철학
5-2. 환자 경험과 분위기 조성
6. 사견 (Personal Thoughts) : 작성자의 의견이나 제안 <<추가 필요
성루카 국제병원, 동경의과대학부속병원과 달리 준텐도 병원은 표지판에 영어 없이 일본어만 적혀 있어서 번역기를 들고 돌아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1. 병원의 개요와 역사 (Overview & History)
1-1. 병원에 대한 소개
준텐도 대학병원은 일본 도쿄 분쿄구에 위치한 세계적인 수준의 의료기관으로, 1838년 의학전문 학원이 설립되어 일본 최초로 서양의학을 도입한 병원이다. 현재는 일본 최대 규모의 병원 중 하나로 성장하였으며, 일본 병원 순위에서도 항상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 환자의 입원 수는 일본 내에서도 최다를 기록하고 있으며, 다빈치 로봇과 같은 최첨단 의료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해외 환자들을 위한 예약 클리닉이나 2차 소견 서비스 등을 통해 글로벌 의료를 확장하고 있다. 이 병원은 의과대학, 대학원과 연계하여 많은 의료 전문가들을 양성하고 있으며 첨단 의학을 연구하여 의료의 발전에도 힘을 기울인다.
1-2. 병원의 역사적 배경과 설립 취지
준텐도 대학병원의 기원은 서양의학의 교육이 제대로 없었던 19세기의 에도 시대까지거슬러 올라간다. 전통 한의학이 지배적이었던 당시 사회에 서양 의학을 도입하기 위해, 준텐도의 설립자들은 새로운 의학 학교를 설립하여 일본의 의학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네덜란드 의학 학교의 교육과 의학 서적을 이해하고, 고급 치료법을 적용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이후 1873년 준텐도 병원이 설립되었으며, 1946년에는 준텐도 의과대학이 설립되는 등 계속해서 규모를 키우고 의학 교육의 선구자로 자리잡았다.
1885년에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준텐도의원 (준텐도 병원) 3대 병원장인 사토우 스스무(佐藤進)를 위생고문으로 초빙하였다. 이 사람은 1908년엔 대한의원(대한제국 최초의 의료기관이자 현 서울대학교 의대의 의학건물) 설립에 관여했다
2. 접근성과 환자 편의 (Accessibility & Patient Comfort)
2-1. 길찾기 및 접근성
준텐도 병원은 B동, 1호관, D동의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건물 별로 각 분과에 전문화된 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B동에는 중환자실(ICU), 재활 센터, 영상의학과 등이 있고 1호관에는 다양한 외래 진료실이나 병동이 있으며, D동에는 추가 진료나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시설이 있다.
병원 곳곳에는 각 층이 상세히 표기된 Floor Map과 안내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었다.
각 건물은 스카이 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었으며, 카페트와 조명이 공간의 편안한 느낌을 더해주었다.
이 병원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는 갈 수 있는 층이 다른 엘리베이터가 여러 대 존재한다는 것이다. 각각 Bamboo, Chestnut, Maple 등의 간단한 이름과 문양, 색깔로 구분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혼잡도를 낮추고 병원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한 방식으로 보이는데, 환자들에게는 처음에 조금 복잡하고 어렵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보여진다. 그럼에도 여러 문양으로 구분하고자 하는 시도는 굉장히 독특하며, 환자들을 위한 재밌는 시도라고 느껴진다.
2-2. 노인을 위한 복지 및 편의
엘리베이터의 내부에는 손잡이와 의자가 있어서 환자와 노인들이 이동하면서 기대거나 앉아 쉴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병원의 입구에는 여러 휠체어가 있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나 노인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었다.
화장실에는 SOS 버튼이 있어 위급한 상황에서 환자들이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볼일을 보면서 지팡이나 우산을 걸어둘 수 있는 소소한 디테일도 확인하였다.
3. 건축과 환경 디자인 (Architecture & Environmental Design)
3-1. 건축물 및 환경 디자인
준텐도 대학병원은 중정 구조를 활용하여 개방감이 들고 층간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이어준다. 그리고 중앙이 개방된 설계로 빛과 공기가 잘 통하기 때문에 식물을 기르는 데에도 유리하며, 이러한 식물들은 환자와 방문객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더해준다. 병원은 따뜻하고 세련된 색감을 사용하여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호텔식으로 은은한 간접조명을 사용하여 병원의 따뜻한 느낌을 주면서 환자 중심의 치유 환경을 제공한다고 보여진다.
3-2. LEED 인증
준텐도 병원의 B동은 일본에서 첫번째로 LEED 인증을 받은 의료기관이며, Gold 등급 인증을 받은 첫번째 병원이다.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 Design)는 미국 녹색건축위원회(U.S. Green Building Council)에서 건물의 친환경적 건축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이용 등의 측면을 평가하기 시작한 제도이다. 1998년 LEED Version 1.0부터 현재는 LEED v5가 진행중이다. 의료기관의 건물을 평가하는 LEED for Healthcare에 따르면, 건물은 7가지 평가 항목(Sustainable Sites, Water Efficiency, Energy and Atmosphere, Materials and Resources,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Innovation in Design, Regional Priority)을 통해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단계로 등급을 부여받는다.
B동 건물은 에너지 보존이나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뛰어난 평가를 받았다. 독특한 공기 순환 시스템도 갖추고 있으며 건물에서 사용되는 물도 절약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지진과 같은 사건에서도 운영할 수 있으며, 옥상에는 정원도 꾸며져 있다. 준텐도 대학은 이러한 LEED Project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이는데, 2021년에는 준텐도 대학의 New Research Building이 Platinum 등급 인증을 받았다.
3-3. 일본 병원들의 디테일
엘리베이터 버튼을 확인해보면, 닫힘 버튼보다 열림버튼의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문 옆에는 거울이 있어 이동시 전방에 사람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병원 내부에는 전화 부스가 따로 마련되어 있었다. 과거 일본에서는 휴대폰 전자파가pacemaker 등 의료 기기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믿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3-4. 의료 문화 및 분위기
일본은 지역마다 의약분업의 시행 여부가 다르다. 준텐도 대학병원이 위치한 구역에서는 의약분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병원 1층에서 약을 직접 처방하는 약국이 운영되고 있다. 위에서 중정 구조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 약국이 병원의 중앙부, 즉 어느 층에서든 내려다볼 수 있는 위치에 있어 환자와 방문객들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은 최종적으로 약국을 찾게 되기 때문에, 환자 동선을 고려하여 효율적이고 접근성이 좋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4. 의료 서비스와 기술 (Medical Services & Technology)
4-1. 의료 서비스 및 운영 방식
각 진료과마다 의사의 일정을 명확하게 정리하여 스케쥴 보드에 보고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담당 의사의 진료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협진이 필요한 경우에도 일부 도움이 되기도 한다.
4-2. 기술과 설비
준텐도 대학병원 내부 공간은 대부분 입구에 문이 있어, 외부인이 마음껏 드나들기에는 심리적인 부담감이 있었다. 아래 사진은 밖에서 구경하며 찍었던 물리치료, 재활치료 공간이다.
5. 병원의 철학과 경험 (Philosophy & Experience)
5-1. 병원의 의료 철학
준텐도 대학병원의 의료 철학은 "진(仁) - 내가 존재하는 것은 당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라는 모토에 담겨 있다. 이는 인간 중심의 치료와 상호 존중에 대한 헌신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부단전진(不斷前進)”이라는 원칙을 통해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며, 의료의 교육과 연구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철학을 바탕으로 준텐도 대학병원은 오랜 역사 동안 도쿄에서 사회를 개선하는 의료를 보이고 있다.
5-2. 환자 경험과 분위기 조성
꼭대기 층에는Sato Tatsujiro Memorial Ward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의료와 준텐도 대학병원 발전에 큰 기여를 한 Sato Tatsujiro를 기리기 위한 병동이다. 내부에는 접근할 수 없었다. 바닥이 모두 카페트로 깔리고 고급스러운 조명과 원목을 활용한 것으로 보았을 때, VIP 환자들을 위한 고급 병실로 추정된다.
응급실 입구에 직원 2명이 언제 밀어 닥칠 응급환자를 위해 서 있는 모습이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일본의 여러 의대에서 3수 이상 수험생들과 여성 지원자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부정 입시를 범했다는 사실이 2018년 8월에 드러났다.
사실 이는 의료계열의 전반적인 문제로, 나라가 전문의를 양성하는데에 10년이 넘는 세월이 걸리는데 여성 의사의 경우 출산 혹은 전업주부가 되던지 하는 등으로 휴직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비교적 남성을 많이 받으려는 경향이 있다.
이 논란 때문에 2020년 2월 5일에 공익재단법인・대학기준협회는 입학자 선발 방법에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심사를 다시 하여 부적합 판정을 내리며 일시적으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국가 보조금을 신청할 수 없게 되었다가, 이후 2020년에 추가심사를 실시하여 공익재단법인・대학기준협회는 준텐도대학에 다시 적합 판정을 내리며 문부과학성에서 행하는 교육 프로그램 관련으로 다시 국가 보조금 등을 신청할 수 있게 되었다고한다...
6. 사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