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관리협동조합 사례 소개(탐방가볼만한 곳)
질문> 주빈들과 도시재생 잘 하는 곳에 탐방을 가보려고 합니다. 특히 주민들의 활동이 활발한 곳으로 가보고 싶습니다. 소개부탁드려요
답변> 하는 일이 전국의 도시재생 사업지 돌아다니는 일이다보니 이런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성공적인 도시재생 사업지는
1. 도시재생 사업이 종료되었지만 주민조직이 사후관리를 활발히 하고 있는 곳
2. 지역사회에 의미있는 비즈니스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곳
3. 마을조합의 조직이 안정적인 곳(이사장, 이사회, 사무국장의 역할이 잘 나누어져 있는곳)
이 세 가지(자립성, 사업성, 민주적 운영)를 만족하는 곳이다
이러한 기준에 맞추어 볼 때 제가 제일 강추하는 곳은 5곳이다
(철저히 개인적인 기준에 개인적인 평가임을 미리 밝혀둔다!)
1. 대전 안녕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대전시 유성구 어은동)
아래에 소개 할 부산 붕산마을, 충주 사잇길마을조합과 더불어 초창기에 만들어진 1세대 마을조합이다
안녕마을조합은 전국에서 거의 드물게 카페, 식당등과 같은 사업 없이 공간운영 사업만으로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마을조합이다.
주 사업은 공영주차장(52면), 청년사회주택, 아동친화돌봄공간, 마을주민 프로그램사업
7000만원이상의 연매출, 두명의 상근자, 지역 대학(충남대, 카이스트)와의 연계사업(리빙랩사업), 마을조합을 중심으로 하는 마을단체 네트워크 구축(줍깅, 돌봄, 축제등)
사업의 대부분이 서비스 사업이라 인건비이외의 비용이 크게 들지 않으며 지자체에서 공과금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재정적으로 안정적. 특히 이사장님과 사무국장님 역량이 빵빵한.....
사업 규모는 작지만 수익면에서도 조직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인,
또한 지역사회 활동에도 매우 주도적인 모범 사례라 할 수 있다.
2. 대구 소목골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대구 동구 효목동)
이곳의 주사업은 공영주차장, 카페, 펍, 청소방역사업
공영주차장은 두 개의 주차장(하나는 14면, 하나는 130여면)을 하나의 관제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어 최근에 공영주차장 사업을 준비하는 다른 지역의 표준화 모델로 소개되고 있다.
청소방역사업은 단순한 건물 청소가 아닌 모래소독, 우레탄 소독 및 소공원 청소에 특화하여 작년부터 지자체로부터 관내 어린이 소공원의 청소 방역을 위탁받아 진행하고 있다.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확대하였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례로 볼 수있다.
최근에는 대구 지역의 치킨회사(땅땅치킨)으로부터 지역상생사업울 지원받아 펍을 땅땅치킨 체인점으로 재 탄생하였다. 지역 기업과 마을조합의 상생협업 사업의 중요한 성과이며 체인점 전환 후 매출이 급등하여 마을조합의 재정적 문제가 해소되고 있다
소목골마을조합 역시 수익면에서도 조직적으로도 안정화 단계에 들어섰으며 적극적인 ESG사업 활용으로 다양한 외부 재원의 수급을 통해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지역 환경개선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소목골 마을조합의 가장 큰 특징은 거버넌스에 있다
기초센터를 중심으로 행정과 관내 마을조합간의 거버넌스 체계를 3년전부터 꾸려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을조합의 평가, 컨설팅 지원등과 같은 사후지원 체계가 전국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꾸려진 대상지중 하나로 주민탐방이외에 행정이나 지원센터의 탐방에 많은 곳이다
3. 순천 저전골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순천시 저전동)
주 사업은 비타민센터, 청년사회주택, 게스트하우스, 마을공유공간 운영, 천연수세미
순천 남초등학교의 사용하지 않는 건물을 받아 비타민센터로 운영중이며 지역사회 특히 지역의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지자체에서 비타민센터에 인건비를 포함한 운영비 교부) 전국에서 재생사업지의 공간을 평생학습센터로 하여 인건비와 운영비를 지급하는 것은 두 군데 정도라 비타민센터가 중요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사회주택은 청년 사회주택으로 안녕마을이 주로 창업관련 청년을 대상으로 한다면 저전골은 순천에 살거나 살아보고픈 청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주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안녕마을이나 저전골이나 단순히 공간을 임대하는 것만 아니라 입주한 청년들과의 연계 사업도 매우 훌륭히 수행하고 있다.
저전골은 마을조합의 사업도 잘 수행하지만 마을정원 가꾸기, 천연수세미 제직등을 통한 조합원들의 다양한 참여를 유도한다던지, 이사장님이 묵묵히 조합의 빈틈을 매꾸어주고 계시는 점, 다양한 지역 연계 사업을 3명의 사무국 직원이 역할을 나누어 수행하는 점등 조직적인 측면에서 큰 점수를 주고 있는 현장이다.
4. 부산 봉산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부산 영도구 봉래동)
저전골과 봉산마을은 기본적으로 재생사업 이전부터 어느정도 지역사회내 공동체 활동이 존재했었고 이를 도시재생사업으로 잘 이어받아 왔다는 특징이 있다.
봉산마을의 주사업은 게스트하우스, 카페, 마을공유주방(식당), 블루베리 재배
특히 주목받았던 것은 게스트하우스사업이다
바닷가이지만 전망이 그리 좋지 못하고 섬 반대편에 흰여울마을과 같은 관광지가 있어 어려울수도 있었지만 라보드라는 청년 기업이 조합원으로 참여하여 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함으로써 안정적인 게스트하우스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라보드는 이후에 지역의 빈집을 더 매입하여 게스트하우스를 더 확보하였고, 마을조합이 2021년 SK로부터 2억원의 지원을 받아 봉산 스테이라는 체험형 마을숙박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역의 소공예 공방들과의 연계를 통해 더 많은 콘텐츠를 확보하고 있다,
이제는 라보드 대표가 마을조합의 사무국장이 되어 열심히 마을일을 하고 있다.
청년이 단순히 사업에만 참여하는 사람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지역주민이 되고 동네 사람이 되고 정주민이 되는 과정이 우리가 꿈꾸었던 도시재생의 모습이라 더 흐믓한 현장이다.
현재 마무리중인 온실카페의 위수탁 계약이 마무리 되면 사업적으로도 더욱 안정화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5. 충주 사잇길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충주시 지현동)
주사업은 카페, 전시관, 교육서비스
다른곳에 비해 카페 운영이 안정적이다. 카페 공간디자인도 운영방식도...
물론 유명한 로컬카페에 비할바는 아니지만 워낙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카페들 초반 셋팅이 엉망이다보니 사잇길마을조합이 운영하는 마을카페는 상대적으로 안정김 있는 운영을 더 돋보이는 것 같다.
가장 핫한 비즈니스 모델은 전시관이다. 대부분의 도시재생 사업지에서 전시관은 유명무실하게 운영되는대 비해 여기는 연말까지의 공간 대관이 모두 완료되었을 정도로 전시관 운영이 안정적이다. 물론 저렴한 대관료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문화 예술 지원 정책도 큰 역할을 하였지만 마을조합 사무국장의 적극적인 지역사회 활동이 만든 성과라 할 수 있다.
충주는 전국의 기초지자체중 가장 많은 마을조합을 보유(!)중이다
7개의 마을조합(뉴달 5개, 인정사업 2개)
그민큼 기초센터를 중심으로 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중요한 현장이다. 기초센터 사무국장이 7년이상 자리를 지킴으로써 가능했던 일이다. 기초센터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지 왜 우리일에 사람이 중요한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기도 하다.
위에 언급한 마을조합도 세밀히 내부를 파고들어 가면 어려운 점이 다들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측면이, 더 발전적인 측면이 분명이 존재하고 있다.
5곳의 공통적인 특징은 이사장과 사무국장의 명확한 존재감이다.
5곳 모두 안정적인 사무국을 보여함으로써 내부적 안정감 뿐 아니라 외부와의 연계 및 자원확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탐방을 가면 대부분이 바깥으로 보이는 건물과 사업형태만 보고 간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것은 그들이 지금까지 만들어온 과정, 그리고 그들이 만들어 낸 조직이다.
결국 사업도 사람이 하는 일.
사업도 조직도 마을조합에게는 버릴 수 없는 좌우의 날개일것이다.
상담일지 1 : 사회주택의 임대료 산정기준
https://brunch.co.kr/@se7376/111
상담일지 2 : 암원과 마을조합과의 거래
https://brunch.co.kr/@se7376/113
상담일지 3: 마을조합의 사업구역
https://brunch.co.kr/@se7376/117
상담일지 4 : 마을조합의 초기사업비 집행
https://brunch.co.kr/@se7376/115
상담일지 5 : 서면총회 & 서면이사회
https://brunch.co.kr/@se7376/116
상담일지 6 : 지속가능한 마을조합을 위한 지자체 조례안
https://brunch.co.kr/@se7376/119
상담일지 7 : 재적조합원의 기준
https://brunch.co.kr/@se7376/120
상담일지 8 : 마을조합의 도시민박업 인가
https://brunch.co.kr/@se7376/121
상담일지 9 : 마을조합의 규약 & 규정
https://brunch.co.kr/@se7376/122
상딤일지 10 : 임원의 보수
https://brunch.co.kr/@se7376/114
상담일지 11 : 관리위탁 & 사용수익위탁
https://brunch.co.kr/@se7376/123
상담일지 12 : 관리위탁의 범위
https://brunch.co.kr/@se7376/126
상담일지 13 : 관리위탁 조례가 없으면 관리위탁은 불가?
https://brunch.co.kr/@se7376/125/
상담일지 14 : 관리위탁시 수의계약의 대상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https://brunch.co.kr/@se7376/124
상담일지 15 : 관리위탁 전대의 범위
https://brunch.co.kr/@se7376/127
상담일지 16 : 총회 7일 공고기간의 의미
https://brunch.co.kr/@se7376/128
상담일지 17 : 적절한 이사의 숫자
https://brunch.co.kr/@se7376/129
상담일지 18 : 계약직근로자의 연속고용
https://brunch.co.kr/@se7376/118
상담일지 19 : 마을관리협동조합의 현물출자
https://brunch.co.kr/@se7376/130
상담일지 20 : 사업에 매몰된 마을조합은 단명한다. 마을조합의 지속가능
https://brunch.co.kr/@se7376/131
상담일지 21 : 마을조합의 평가
https://brunch.co.kr/@se7376/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