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W Dec 13. 2023

각자의 이야기를 위해

삶을 대하는 자세

회자정리(會者定離)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만난 사람은 반드시 헤어진다는 의미인데, 헤어짐으로 모든 것이 마무리되는 것은 아니다. 회자정리라는 말이 있다면 그 뒤는 항상 거자필반(去者必返)이라는 말이 따르고 있다. 헤어진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의미이다.

<살인자의 기억법>을 아마 군대에서 읽었을 것이다. 그리 길지도 않고 흥미로운 내용이어서 술술 읽혔던 것 같다. 내용이 정확하게 기억나지는 않지만 말이다. 그 책으로 ‘김영하' 작가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까 찾다가 <작별인사>라는 비교적 최근에 나온 책을 읽었다.

당신의 의식이 영원히 지속될 수 있다면 그것을 선택할 것인가? 소설 속 달마는 모든 개별적인 의식은 모두 하나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의식은 이 세상 어디서나 존재한다. 언제까지나.

그러나 선이의 이야기가 더 마음에 와닿았다. 살아있는 동안 자기의 이야기를 완성하는 것. 그것이 태어난 이유고, 그 이야기가 고통스러울지는 몰라도 그 이야기 또한 내가 선택한 것이며, 그 고통에 대해서 어떠한 행동을 할지도 모두 나의 선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

'내가 하나의 이야기라면 그 이야기에는 끝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 문장이 소설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모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어리석고, 안타까우며, 후회로 가득한 선택을 하고 또 그러한 과정을 여러 번 겪더라도 그것은 모두 하나의 이야기가 된다. 그리고 회자정리(會者定離), 즉 그 이야기는 끝이 난다. 영원히 남아있을 수는 없는 법이다.

반드시 그 이야기는 끝이 나고, 끝이 나야만 한다. 그래야 그 이야기에 의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또 남은 누군가는 그 이야기에 영향을 받고 새로운 이야기를 쓸 것이다.

각자의 이야기가 어떻게 쓰일지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아무리 똑똑한 사람일지라도 말이다. 그렇기에 모든 이야기가 쓰이고 있는 바로 지금 이 순간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작가가 결국 이 말을 하려고 했던 것은 아닐지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눈에 익은 작가의 책이라 호기심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그 자리에서 꼼짝 않고 책의 뒤표지까지 넘겼다. 여운이 사라지기 전에 조금이라도 글을 써본다. 이것도 하나의 이야기가 되길 소망한다.

이전 10화 사랑할 시간도 없는데 어떻게 미움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