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선명한 새벽빛 May 21. 2016

안물 안궁 퇴치

안 물어보고 안 궁금한 우리를 위한 마음빼기

그림 - 김주희 작가님의 <기다리다>


'안물 안궁'도 욕일까?


자기가 무슨 말을 했는데 친구가 듣지도 않고 '안물', '안궁'이라고 대꾸해서 속상함을 토로하는 아이들이 종종 있다. 두 낱말은 각각 '안 물어봤다', '안 궁금하다'의 줄임말로, 상대의 말을 듣고 싶지 않다는 의미로 쓴다. 장난스럽게 쓰는 경우가 많은데 듣는 사람은 무시 받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말이라면 분명 욕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말에 담긴 의미만 본다면 그렇게 나쁜 뜻도 아니다. '안물 안궁'은 자기 이야기만 늘어놓는 데 여념이 없는 사람들의 말을 멈추는 역할을 한다. 듣지 않겠다고 말할 권리는 있느니, 안 물어봐서 안 물어봤다고 하고 안 궁금해서 안 궁금하다고 할 뿐인 것이다. 직설적인 말로 말을 끊는 행위가 잘못되었다고 할 수는 있으나 말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


'안물 안궁' 사회


언어도 도구일 뿐이다. 사람이 언어를 만들고 언어가 또 사람을 만들기는 하지만, 말에 감정을 싣는 주체는 틀림없이 사람이다. 그래서 '안 물어봤다', '안 궁금하다'는 말이 유행한다는 건 우리가 그만큼 다른 사람에 대해 '안 궁금해 하고 안 물어본다'는 뜻이다. 저마다 '네 이야긴 됐고, 내 이야기를 들어줘' 하는 심정으로 사람을 대하고 있으며 자신에게 도움되는 일이 아니라면 굳이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기울일 여유도 없다. 그렇게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여기는 사회가 되어버린 것 같다. 제목으로 단 <안물 안궁 퇴치>는 말을 없애자는 의미가 아니라 새로운 말이 생겨난 근본적인 요인을 해결하여 서로 상처 받는 일을 없애자는 의미이다.


내 이야기를 들어줘


자기 자신을 온전히 드러내고 있는 그대로 인정 받고 존중 받고자 하는 욕구는 모두에게 있다. 그러한 인정 욕구와 표현 욕구가 제대로 충족되지 못했을 때 그것이 곪아서 병이 나거나 엉뚱한 형태로 표출된다. '문제 행동'이라 일컬어지는 아이들의 행동들도 어떤 거창한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 고작 '나를 알아줘'라는 목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바로 전에 쓴 글 <사람 보기>와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제 사람을 봐야 한다. 나를 보고 상대를 보고 우리를 봐야 한다. 행복은 나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는데, 나 역시도 표현하고 싶어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배운 적이 없었기에 힘이 들었었다. 나를 알아야 표현할 수 있고, 표현해야 나를 알 수 있기도 하다.


쌓아두지 말고 빼야 한다


그래서 빼기교육이 필요하다. 이제껏 주입식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지식조차도 늘 쌓고 쌓으며 '더하기'하는 방법만 배우고 빼는 방법을 배운 적이 없었는데, 이제는 '거꾸로' 해야 한다. '빼기'는 더하기보다 훨씬 더 큰 배움을 가져다 준다. 요즘 브런치를 통해 글쓰기의 매력에 매료되면서, 예술이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하고 있다. 글이 없다면, 그림이 없다면, 음악이 없다면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어디서 그렇게 원 없이 털어 놓을 수 있었을까! 예술의 영역 가운데 가장 진입 장벽이 낮은 연극이 주는 효과는 두 말할 것도 없다. 조만간 연극교과가 생긴다는 것은 적지 않게 환영해야 할 일이다. 밥을 먹기만 하고 화장실을 안 가면 위험하듯이, 마음을 시원하게 빼는 방법을 배워서 더이상 마음속에 쌓아두지 않고 마음을 빼야 병이 안 난다.


마음 없이 대하자


다양한 방법으로 나를 표현하고 마음을 비울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다른 사람이 내 이야기를 들어주지 않아서 속상했던 것쯤은 아무렇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비로소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들어줄 여유가 생길지도 모른다. 내 속에 마음이 가득하면 넘쳐 흘러 상대까지 집어삼켜 버리지만, 마음이 없으면 상대를 그대로 수용해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대의 이야기가 지겹게 들릴 리도 없고, 바람과 기대로 부담을 주지 않아도 되며, 상대의 짐을 대신 진 듯 힘들어지지도 않는다. 특히 마음수련 마음빼기 명상은 마음이 차오르는 그릇까지 부숴 세상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이기에, 여여하기가 그지없다. 아이들에게 더하기가 아닌 빼기교육을 해서, 우리 모두가 나와 타인을 소중히 여기고 나아가 진심으로 서로가 궁금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물어볼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입이 큰 사람보다 귀가 큰 사람이 되자



사람을 대할 때 마음 없이 대하라
마음 없이 대하면 상대가 그지없이 편안하다
마음 없이 대할 때 상대와 하나가 된다
상대와 하나가 되면
상대가 나의 마음 없는 말을 듣는다
-우명 선생님의 시 <사람을 대하는 방법> 중에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