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라이킷 30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행복한 뒤통수

연재소설

by 은하육수 Sep 03. 2024

21. 행복한 뒤통수


엄마가 병원에서 퇴원한 이후 나의 일상은 많이 바뀌었다. 우선 엄마는 당분간 회사에 나가지 않아도 된단다. 엄마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서 좋긴 한데 한편으론 걱정이 됐다. 시간이 많아진 만큼 또 나를 다른 센터에 보내지 않을까 싶어 가슴이 조마조마했다. 하지만 오히려 엄마는 내가 다니던 몇 개의 치료 센터를 그만뒀다. 엄마로서는 아주 대단하고 과감한 결단이었다. 자폐치료에 효과 있다는 말만 있으면 물, 불 안 가리고 뛰어드는 엄마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아빠도 많이 당황해했다. 


“사람이 갑자기 변하면 땡땡한다는데. 무슨 바람이 불어서 그래?”

아빠는 실없는 농담을 건네면서도 내심 우려의 눈빛으로 엄마에게 물었다. 

“준후가 여기저기 센터 다니면서 많이 힘들어했잖아. 그리고 치료 다니면서 정작 가족끼리 보낸 시간이 없었어. 이젠 준후랑 같이 있는 시간을 많이 가져봐야지.”


이제 우리 가족에겐 같이 저녁밥을 먹을 시간이 생겼다. 예전엔 센터 시간에 쫓겨 밖에서 사 먹거나 빵으로 때우는 일이 많았고 엄마는 회사 다니고 요리할 시간이 없어 냉장고엔 반찬가게의 플라스틱 통이 잔뜩 쟁여 있었다. 저녁 이 시간에 집에 있는 게 낯설고 어색하다. 나는 뭔가라도 해야 할 것만 같아 부산스럽게 부엌 주변을 빙빙 맴돌았다. 


아까부터 주방에서 엄마가 요란한 소리를 내며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보니 벌써 내 코에 고소한 내음이 퍼지는 것 같다. 식탁에 차려지는 엄마의 밥상을 슬쩍 보니 떠들썩하게 만든 요리치고는 반찬은 몇 개 없었다. 소시지 중 몇 개는 너무 바싹 구워져 새까맣게 타기도 하고 소고기 뭇국은 멀건했다. 내가 좋아하는 반찬인 미역줄기 볶음은 뻣뻣하고 질겨 껌처럼 질겅질겅 씹어야 할 정도였다. 솔직히 반찬가게에서 사 먹는 것보다 맛은 없지만 음식에 왠지 따스함이 느껴졌다. 어떤 것도 대체할 수 없는 엄마만의 온기가 음식 하나하나에 스며있는 것 같다. 


“우와, 식탁에 다 같이 앉아 먹는 게 얼마만이야.”

아빠도 퇴근 후 항상 혼자 밥을 먹다가 셋이서 먹으니 기분이 좋은가 보다.

“준후야, 맛있어?”

기대에 찬 눈빛으로 나 먹는 걸 쳐다보던 엄마는 잘 먹어줘서 고맙다며 기뻐했다. 아냐, 엄마. 내가 더 고맙지. 난 눈빛으로 엄마에게 말했다. 


어린이집도 바꿨다. 여긴 집이랑 훨씬 먼 곳인데 그래도 나는 예전 어린이집보다 여기가 마음에 든다. 우선 아이들이 그렇게 많지 않다. 예전 어린이집만큼 아이들의 웃고 떠드는 소리, 선생님들의 잔소리가 덜하다. 이곳엔 여러 친구들이 있는데 쫑알쫑알 말 잘하고 몸이 날렵한 아이들도 있지만 대부분 자기만의 개성이 있는 아이들이다. 휠체어를 탄 은형이, 말을 더듬는 찬주, 머리에 반짝이는 기계를 달고 다니는 민서, 늘 구석에 숨는 하은이, 망아지처럼 겅중겅중 뛰어다니는 석훈이. 나보다 몸집이 큰 우빈이 형은 기저귀를 차고 있어 내 기저귀가 다 떨어졌을 때는 그 형 것을 빌려 쓰기도 한다. 


우리는 서로 어울리며 같이 논다. 난 아직 어떻게 같이 노는 건지 모르지만 나보다 조그맣고 똑똑한 미나가 내 짝꿍이 되어 손잡아 같이 산책도 하고 내가 혼자 놀고 있으면 같이 트램펄린 뛰자고 조른다. 귀찮을 때가 많지만 그래도 막상 같이 놀면 재밌다. 


여기가 좋은 가장 큰 이유는 날 더 이상 기분 나쁘게 쳐다보는 눈들이 없어진 것이다. 예전에는 내 말, 내 동작 하나하나 지적당했지만 지금은 선생님들이 전혀 문제 삼지 않는다. 오히려 칭찬해 줄 때가 많다. 나는 심심하거나 심장이 마구 뛰면 손을 펄럭거리는데 예전 어린이집 선생님들은 팔 흔들지 말고 가만히 있으라고만 했다. 그런데 여기 선생님은 나에게 말씀하셨다


“우와, 준후 나비처럼 날아다니네! 멋지다!”

같은 몸짓이라도 어떤 사람에게는 괴상하게 보이고 또 누군가에게는 나비의 날갯짓처럼 우아하고 아름답게 보이는 게 신기할 따름이다. 언제나 나에게 문제가 있다며 고쳐야 된다고 손가락질하는 어른들만 있는 줄 알았는데 나를 따뜻한 눈길로 바라보는 어른들도 있다. 그들은 내가 울고 소리칠 때 이유 없이 그런다고 무시하지 않았다. 내 작은 몸짓, 표현을 이해하려 노력했다. 그리고 날 보듬어주었다. 누군가에게 받아들여진다는 것은 굉장히 좋은 느낌이다. 


엄마는 요즘 웃는 날이 많아졌다. 엄마는 어린이집 엄마들과 친해져 어린이집 행사에 같이 참여하거나 카페에서 수다를 떨기도 했다. 가끔 주말에 엄마들과 친구들끼리 모여 펜션에서 논 적도 있다. 이렇게 지내는 엄마를 보니 마음이 놓인다. 나에게 친구가 없다고 걱정하던 엄마도 내가 봤을 땐 마음 터놓을 친구 하나 없어 보였기 때문이다. 엄마들 틈에서 이야기를 하며 활짝 피어나는 엄마의 미소를 보니 왠지 흐뭇하고 가슴 한구석이 따뜻해진다. 엄마의 폭 패인 보조개가 참 예쁘다. 엄마가 계속 이렇게 웃어줬으면 좋겠다. 


어느 날, 어린이집 하원 후 엄마가 집이 아닌 다른 곳으로 차를 돌렸다. 

“준후야, 우리 사진관에 가보자.”

사진관이란 곳에 들어가니 한쪽 구석 바닥과 천장에 하얀색 천으로 가득 덮여 있고 그 가운데 의자가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엄마는 얼마 전에 산 초록색 티셔츠로 내 옷을 갈아입혔다. 그러고는 거울을 보며 빗을 것도 없는 내 머리를 계속 매만져줬다. 내가 봤을 땐 별로 달라진 게 없는데 엄마는 나에게 계속 멋지다고 감탄하며 의자에 앉아보라 했다. 


“자, 친구야! 여기 카메라 보세요!”

내 앞에는 카메라를 든 아저씨가 자기 쪽을 보라고 소리쳤다. 엄마도 아저씨 옆에서 손뼉 치고 내 이름을 연신 부르며 내 시선을 앞을 향하도록 했다. 카메라 플래시가 경쾌한 소리와 함께 눈부시게 번쩍거렸다. 카메라 화면이 옆 모니터에 떠서 슬쩍 보니 대부분 눈을 감고 있거나 고개가 삐딱해 제대로 된 사진을 건질 수 있을지 의문이었지만 나는 더 이상 찍기 싫어 쌩하고 도망쳤다. 엄마는 이런 사진을 찍어서 대체 어디에 쓸 건지 잠깐 궁금했지만 금세 까먹었다. 


며칠 뒤 우체국 아저씨가 엄마에게 편지를 전달했다. 옆에서 바라보니 엄마는 떨리는 손으로 봉투를 조심스럽게 뜯고 있었다. 봉투 안에는 카드가 들어있었는데 연한 하늘색 카드에는 얼마 전 찍은 내 사진이 조그맣게 박혀 있었다. 사진 속 입가에 살짝 미소 짓는 내가 나를 빤히 쳐다보고 있었다. 


“이게... 이게 장애인 복지카드구나.”

엄마는 중얼거리며 소중한 것이라도 되는 양 연신 손으로 카드를 어루만졌다. 언뜻 봐선 엄마, 아빠가 가지고 다니는 신분증이랑 비슷하게 생겼다. 

“준후야, 이것 봐. 넌 다른 친구들보다 먼저 신분증이 나온 거야. 신기하지?”

엄마는 이제 내가 세상의 도움을 받고 세상이 나를 보호해 준다고 말했다. 이제 내 치료비용으로 돈도 많이 들지 않고 누릴 수 있는 것도 많아진단다. 이런 좋은 게 있었으면 진작 하지 엄마는 왜 미루고 미루다 이제 한 걸까? 엄마는 나를 보며 밝은 목소리로 말했지만 눈에서는 이상하게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어쩌면 엄마는 내가 나중에 겪게 될 차별, 미움, 아픔에 대해 걱정하는지도 모른다. 엄마는 내가 ‘장애’라는 타이틀을 가짐으로써 얻는 것도 있지만 잃는 것도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내가 그 타이틀을 가지지 않기 위해 엄마는 부단히 노력해 왔다. 하지만 이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해서 나를 잃는 건 아니다. ‘나=장애’가 아니다. 장애라는 굴레는 내 정의가 될 수는 없다. 나는 이준후다. 


띠링-

그때 핸드폰에서 알람음이 울렸다. 보아하니 사진관에서 사진 원본 파일을 보낸 모양이었다. 

“어머, 이런 사진도 찍었네?”

수많은 내 얼굴 사진들 중에 유독 다른 사진이 하나 섞여 있었다. 그건 내 뒷모습이 찍힌 사진이었다. 그때 내가 정면을 주시하지 않고 새하얀 천들의 주름이 신기해 계속 뒤를 돌아봤는데 그때 찍힌 모양이었다. 내 뒤통수는 숱이 많은 빽빽한 머리에 가운데 흰 정수리가 동그랗게 콕 박혀 있었다. 눈, 코, 입이 보이지 않지만 나는 왠지 그때의 내 표정을 알 것 같다. 눈을 갈고리처럼 휘어져있고 콧구멍은 벌렁거리고 앞니 빠진 구멍에 공기가 숭숭 들어올 만큼 헤벌쭉 입 벌리고 있는 내 모습. 나는 웃고 있었다. 즐거워하고 있었다. 행복해하고 있었다. 


“우리 준후, 뒤통수만 봐도 즐거운 게 느껴지네. 우리 준후는 행복한 뒤통수를 가졌네?”

엄마도 나와 같은 생각인지 내 뒤통수를 쓰다듬으며 말했다. 

다른 아이들과 다르다 해서 불행한 건 아니다. 출발선도 다르고 남들과 다른 코스로 달리지만 그래도 어쨌든 도착하는 곳은 똑같다. 행복을 향해 달려가고 있고 달리는 지금 이 순간도 행복하다. 그래서 예전에도 그런 것처럼 불편한 시선, 편견, 걱정들은 신경 쓰지 않고 살기로 했다. 행복한 뒤통수를 가지고 계속 달려 나아야지, 엄마와 함께. 


-끝-

keyword
이전 20화 청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