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리탐험가 김홍채 May 15. 2022

성격장애와 대인관계 영향-성격장애 개요

대인관계 심리탐구 관련 글

이 글은 [브런치북] 대인관계를 위한 성격심리 이해하기 (brunch.co.kr)에 이어서 후속 브런치북[대인관계 심리탐구]에 담을 것들 중 하나입니다.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하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대인관계 심리탐구: 심리학적 이해 편]

제3부 성격과 대인관계
3.1 대인불안과 사회불안장애 (brunch.co.kr)
3.2 스스로 관찰하고 행동 조절하기-자기 모니터링 (brunch.co.kr)
3.3 사교성과 자기 개방성 (brunch.co.kr)
3.4 성격장애와 대인관계 영향-성격장애 개요 (brunch.co.kr)
   3.4.1 A군 성격장애: Cluster A(괴상하고 별난 특성) (brunch.co.kr)
   3.4.2 B군 성격장애: Cluster B(극적, 감정, 변덕) (brunch.co.kr)
   3.4.3 C군 성격장애: Cluster C(불안, 두려움) (brunch.co.kr)
3.5 나르시시즘(narcissism) 과잉-B군 성격장애 (brunch.co.kr)
3.6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반사회적 성격장애 관련 (brunch.co.kr)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란]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란 성격의 현저한 편향 등에 의해 생활에 지장이 받는 등 본인이 고통을 느끼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과 갈등을 일으켜 곤란하게 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한편 personality disorder를  ‘인격장애’라고 번역하기도 하지만 personality를 인격으로 해석하면 뉘앙스에서 인간성을 부정하는 느낌이 있을 수 있어서 personality disorder를  성격장애로 쓰기로 하겠습니다.


성격과 관련해서는 [브런치북] 대인관계를 위한 성격심리 이해하기 (brunch.co.kr)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SM-5에는 성격장애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성격장애는  사람이 속한 문화에서 기대되는 것으로부터 현저하게 벗어나고, 범위가 넓고, 유연성이 없고, 청년기 또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하여 오랜 시간에 걸쳐 변하지 않고 고통 또는 장애를 일으키는 내적 경험  행동의 지속적 양식이다.

 

DSM-5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약칭 DSM)의 2013년에 나온 다섯 번째 개정판으로 미국정신의학협회(APA)에서 발행한 분류 및 진단 절차이다. 미국에서 DSM은 정신병 진단을 위한 주요 권한을 제공한다. 치료 권고는 권한 있는 의료 제공자에 의한 지불에 적정성은 물론 DSM 분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새로운 버전의 출현은 상당한 실질적인 중요성을 갖는다.(위키백과)

 


[성격장애의 원인]

 

- 갖고 태어난 기질, 유전적 요인

- 생육환경, 가족과의 관계

- 사회적 요인(시대 배경, 사회의 상황과 가치관. 사회생활 경험 등)

- 발달 장애


[일반적 성격장애(General Personality Disorder)의 진단]

DSM-5에서 언급하는 성격장애의 일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진단 기준을 만족시킨 사람들 가운데서 아래의 세부적인 성격장애 유형을 추가로 만족시키는 경우에 세부적인 성격장애를 진단한다. 물론 DSM에는 별달리 분류되지 않는 성격장애(PD-NOS)라는 진단명도 있다.

A. 개인이 속한 문화의 기대에서 현저히 벗어난 내적 경험과 행동의 영속적 유형으로, 다음 중 2가지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서 나타난다.
o   인지 (즉,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건의 지각과 해석 방식)
o   정동 (즉, 정서반응의 범위, 강도, 가변성, 그리고 적절성)
o   대인관계 기능
o   충동조절

B. 지속적 유형이 경직되고 개인과 사회적 상황 전반에 걸쳐 넓게 퍼져 있다.
C. 지속적 유형이 사회, 직업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D. 패턴이 변하지 않고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발병 시기는 적어도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E. 지속적 유형은 다른 정신장애의 증상이나 결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F. 지속적 유형이 물질(예: 약물 남용, 다른 질병의 치료를 위해 투약한 약물) 또는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예: 두부외상)의 직접적인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다.(나무 위키)


[성격장애의 종류/분류]


 DSM-5에 의하면 성격장애는 다음과 같이 세 개의 군(cluster)과 10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A군: Cluster A (odd or eccentric disorders) 괴상하고 별난 특성

편집성 성격장애(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PPD)

조현성(분열성)  성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SPD, SzPD)

조현형(분열형)  성격장애(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TPD)



B군: Cluster B (dramatic, emotional or erratic disorders) 극적이거나 감정적이며 변덕스러운 특성

반사회성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 APD)  

연극성 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HPD)  

경계선 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NPD)


C군: Cluster C (anxious or fearful disorders) 불안하고 두려움이 많은 특성

강박성 성격장애(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OCPD)  

의존성 성격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DPD)  

회피성 성격장애(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AvPD)


[그 외 DSM-5의 3개 클러스터 10개 유형에 포함되지 않은 성격장애(Other specified personality disorder)]-상기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는 성격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성격 변화(personality change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달리 명시된 성격장애(other specified personality disorder)

    명시되지 않은 성격장애(unspecified personality disorder)  




[수동 공격 성격장애(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


 극단적으로 느리게 행동하거나 부탁받은 것을 잊어버리는 것이 특징이지만 이것은 ‘돌려서 거부하기’라는 의사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직접적으로 분노를 전하거나 공격하는 것은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주요 증상: 꾸물거림(빈둥거리기, 늦장 부리기), 고의로 잊어버리기, 뒤에서 조용히 험담하기, 아예 안 하거나 협조하지 않기, 말 배배 꼬기, 조롱하며 말로서 비꼬기, 말 안 하기


수동 공격성 성격장애의 진단 -DSM―III―R의 진단 기준(다음 아래의 사항 중 적어도 5개에 해당)

(1) 일을 미룬다.

(2) 원하지 않는 것을 하라고 요구받을 때, 부루퉁하고 짜증을 내며 논쟁적으로 변한다.

(3) 정말 원하지 않는 일에 대해서는 엉망으로 하거나, 일부러 천천히 한다.

(4)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사람이 부당하게 자신에게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5) “잊어버렸다”라고 말하면서 책무를 회피한다.

(6) 다른 사람보다 더 잘 일하고, 생각한다고 믿는다.

(7) 더 생산적이 될 수도 있는 다른 사람의 유용한 제안을 불쾌하게 여긴다.

(8) 분담된 일에 실패함으로 다른 사람의 노력을 방해한다.

(9) 권위적인 위치에서 사람들을 부당하게 비판하거나 모욕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