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닥터 부메랑 Aug 01. 2018

조현병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조현병 (Schizophrenia) 환우는 과연 무섭고 난폭한 사람일까?

 종종 TV를 보다 보면 어떤 사람이 공공장소나 주택가에서 아무 이유 없이 난폭한 행동을 하면서 다른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주는 사건을 다룬 뉴스를 보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사건의 전반적 맥락이 그 인과 관계나 범행 동기가 불충분하거나 불투명한 경우 피의자에게 "조현병 (Schizophrenia)"을 앓고 있다고 진단 내리는 후속 뉴스도 이어서 보게 됩니다. 그런 사건을 종종 접하다 보니 대중들의 뇌리에는 "조현병"환우가 말 그대로 "미친" 사람이며, 언제 어디서 괴이하고 폭력적인 행동을 할지 모르는 위험인물로 각인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조현병"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조현병, 그리고 조현병 환우에 대해 조금 더 올바른 정보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조현병(Schizophrenia)은 그리스 어원 "Schizein" (to plit; 분열되다)와 "Phren" (mind; 정신)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조현병은 제가 지금까지 다뤄왔던 다른 질환들과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는 질환입니다. 우울증, 공황장애, 그리고 불안 장애 등은 신경계가 항진되거나 균형이 깨진데서 발생하는 일종의 신경증(Neurosis)이라면, 조현병은 신경계의 문제보다는 뇌가 가진 물리/화학적 문제를 비롯한 다른 추가 요인들에 의해 환우가 정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게 되거나 해석체계를 올바르게 작동시킬 수 없게 되어 발생하는 정신병 (Psychosis)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조현병 환우가 보이는 대표적인 증상은 현실과 비현실을 올바르게 구별하지 못하거나 현실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Wilkenson, 2014). 영화 "Beautiful Mind"를 보신 분들은 조현병 환우가 사는 세상이 그들에게 어떻게 비치는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영화 "Beatiful Mind"에서 (출처: 네이버 영화)


<조현병 환우가 경험하는 증상들>

Torrey (2013)는 그의 저서 "Surviving Schizophrenia"를 통해 조현병 환우들의 입장에서 그들이 어떤 경험을 하며, 그들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다음과 같이 묘사했습니다.


(1) 자극을 다르게 받아들임 (Alteration of the senses)

 말 그대로 주변의 시각적, 후각적, 그 외 다른 자극을 현실적으로 인지 하지 못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앞에 있는 꽃과 나무가 무서운 괴물처럼 인지될 수 있고, 초록색 물건이 지나치게 밝은 빛을 내는 물건처럼 보이기도 하고, 이런 자극의 왜곡이 다른 종류의 자극 왜곡 (음성, 후각 등)과 섞이게 되어 환우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2) 주변의 자극과 정보를 올바르게 분류, 처리, 해석, 그리고 반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음

 우리들의 뇌는 지금까지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우리가 어떤 특정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자연스럽고 적절한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누군가 호의를 베풀면 반자동적으로 "고맙습니다"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것이죠. 그러나 조현병 환우들의 경우 학습, 기억, 인지, 처리, 반응의 과정이 매끄럽게 이어져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 상황에서 적절하지 않은 언행을 하게 됩니다. 비유로 말하자면 구식 전화기를 쓰던 시절 "교환"이라는 역할을 맡으면서 통제실에서 발신자의 요구에 맞춰서 수신자를 연결하며 제어 역할을 해주는 오퍼레이터가 있었는데, 조현병 환우의 경우 이 "교환"이 그런 역할을 제대로 못하는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점을 착안해서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였던 Eugen Bleuler는 독일어로 "사고 과정에서 다양한 부분이 분열되어 있다"는 뜻을 가진 "Schizophrenia"라는 용어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3) 망상 (Delusion)과 환영/환청 (Hallucination)

망상과 환영/환청은 조현병을 대표하는 증상들입니다. 이 증상은 바로 앞에서 설명한 뇌의 올바른 정보인지 처리 및 반응에 문제가 있는 것과 직결됩니다. 그래서 현실성이나 타당성이 없더라도 조현병 환우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느낌이 옳다고 믿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러나, 조현병 환우들 중에는 망상이나 환청을 경험하지 않고 있는 환우들도 있습니다. 망상과 환청 증세를 보인다고 해서 그 환우의 사고나 이해력 등이 모두 비정상적인 것이라고 매도하는 것도 올바르지 않습니다. 조현병 환우는 일반인에 비해 굉장히 다른 방법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생각을 처리하고 있는 사람들인데, 이는 그들의 사고방식이 언제나 위험하고 비정상이고 틀린 것이라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영화 "Beautiful Mind"에서 Mackey가 주인공 Nash박사가 조현병을 앓면서도 여전히 천재 수학자로서 어렵고 논리적인 문제를 쉽게 푸는 것을 보고 의아해서 "당신은 그렇게 똑똑한 수학자인데 왜 한편 외계인이 당신에게 메시지를 보낸다고 믿는 건가? 그리고 왜 당신이 외계인들에 의해 스카우트되어서 나중에 세계를 구하게 될 거라고 믿는 건가?"라고 물어봤고, Nash박사는 무표정한 얼굴로 "내가 수학 문제를 풀 때나 초자연적인 것을 대할 때나 나는 그것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진지하게 여기고 대할 뿐이네"라고 답하는 장면을 보면, 조현병 환자들의 사고방식을 조금 더 새롭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자아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고 느끼지 못함

 일반인들은 자신이 지금 길거리를 걷고 있고, 손을 들어 손목시계를 보고 있고, 다리가 아파서 벤치에 앉아 있는 것을 느끼고 있고, 당연히 그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현병 환우들은 자신의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가끔 "나는 내 자신과 접촉할 수 없어요. 나는 좀비 같이 느껴져요... 나는 아마 존재하지 않는 사람일 거예요"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5) 감정 변화

조현병 초기단계의 환우들은 감정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울함, 죄책감, 공포, 그리고 불안감 등이 기복을 보이며 그들의 감정/정서를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그러나 점차 경과가 지나면서 조현병 환자들은 감정적으로 무뎌지고, 나중에는 마치 감정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듯한 모습을 보입니다. 


(6) 움직임의 변화

조현병 환우들은 예전보다 움직임이 빨라지기도 하고, 반대로 무척 느려지기도 합니다. 어색하고 눈치 없는 행동을 하기도 하며, 가끔 컵을 쏟거나, 뭔가를 떨어뜨리기도 하고 뒤뚱거리며 걷기도 하는 모습이 많이 목격됩니다.


(7) 행동의 변화

조현병 환우들은 행동패턴도 달라지는데, 대표적인 증상이 긴장병 (Catatonia)과 무언증 (Mutism)입니다. 그래서 아무 말 없이 길거리의 한 구석에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고 그대로 서있기도 합니다. 


(8) 질환을 제대로 자각하지 못함

조현병 환우들은 자신에게 어떤 문제가 있고, 그 문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비교적 잘 알고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문제와 증상을 제대로 자각하고 있지 못하는 환우들도 있습니다.


이런 모든 증상과 상황을 겪고 있는 조현병 환우의 눈과 마음 속에서는 당연히 현실이 이상하게 왜곡되어 보이고, 때로는 현실이 괴상하고 무섭게 보이며, 그들이 이해한 그런 왜곡된 현실에서 그들은 무엇을 해야 되는지 몰라서 혼란과 공포 속에 사회와 주변 이웃들을 기피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조현병을 앓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반 고흐의 미술작품들을 보면 그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보였는지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 고흐의 작품 "Starry Night"


<조현병의 진단 기준>

현재 조현병을 진단하는데는 크게 두 가지 기준이 되는 도구가 있습니다. Schneider's First Rank Symptoms for Schizophrenia와 DSM-5에 나오는 Preliminary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Schizophrenia인데 그 내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Schneider's First Rank Symptoms for Schizophrenia 

1. 어떤 생각을 크게 말하는 목소리가 있다고 느끼는 환청을 경험함

2. 두 명의 목소리가 서로 다투고 있다고 느끼는 환청

3. 자신에게 어떤 명령을 하는 목소리를 듣는 환청

4. 외부 물체나 타인이 자신의 몸을 만진다고 느끼는 환각

5. 자신의 마음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사라졌다고 느낌

6. 타인이 내 마음에 어떤 생각을 주입하려고 한다고 느낌

7. 나의 생각이 라디오나 텔레비전에 의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방송된다고 느낌

8. 다른 사람들이 내 마음에 어떤 감정을 주입하려고 한다고 느낌

9. 다른 사람들이 내 마음에 어떤 강박적인 충동감을 주입하려 한다고 느낌

10. 나의 모든 행동이 다른 사람에 의해 통제된다고 느낌

11. 누군가 말을 하면 그 안에 비밀이 숨겨져 있을 것이라고 믿는 식의 인지적 망상


 

DSM-5에 나오는 Preliminary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Schizophrenia

A. 다음 중 두 개 이상의 증상이 한 달 동안 나타나야 함

(1) 망상

(2) 환청/환각

(3) 횡설수설하는 말

(4) 긴장증 또는 이와 유사한 어색한 움직임

(5) 비사회성과 관련된 증상 (고립, 감정 제한 등)


B. 업무 능력, 대인 관계, 그리고 자신을 돌보는 능력 등이 눈에 띄게 감소함


C. 치료받지 않은 상태에서 A항목에 해당되는 증상이 최소 한 달 이상 지속되고, 조현병의 전반적 증상들이 6개월 이상 진행됨


D. 조현정동장애 (Schizoaffective disorder)와 구별되며, 약물 과용 (Substance abuse)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하는 증상이 아니어야 함.


조현병 환우들은 위에서 열거된 증상들에 의해 이미 오랫동안 내적 저항/싸움을 벌이며 지쳐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친구나 가족과 원만한 관계를 맺지 못한 채 소외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매일매일의 일상이 조현병 증상에 의해 심각하게 영향을 받아서 불규칙해지기 쉬우며, 의지력이 약해져서 자신들만의 안식처로서 음주/약물(마약)/담배/카페인 등에 많이 의지하고, 심각한 경우에는 자살을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Wilkenson, 2014). 



<조현병의 발병 원인>

그렇다면, 조현병이 생기는 원인은 과연 무엇일까요? 다른 정신질환처럼 조현병은 유전적/생물학적 원인, 환경적 원인이 대표적인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유전적/생물학적 요인도 뇌와 관련해서 세분화됩니다. 지금까지 추청 된 원인들이 조현병의 직간접적 원인이 된다고 완벽하게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확률이 높은 요소로 거론되고 있는 것들이므로 참조할 필요는 있습니다.


(1) 유전적/생물학적 원인

 친족 친척 중 조현병 환우가 있는 경우 조현병 발병 확률은 6.5% 증가하며,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한 명이 조현병이 있는 경우 다른 한 명도 조현병에 걸릴 확률은 40% 증가합니다. 그리고 부모 중 한 명이 조현병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 자식은 조현병에 걸릴 확률이 13% 증가하게 됩니다 (WIlkens, 2014).


(2) 환경적 요소

 다른 정신질환과 비슷하게 그 사람의 생활환경도 조현병 발현에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그러나 다른 정신질환과 차별되는 점 중 하나는, 산모가 임신 중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위협을 받아도 태아가 영향을 받아서 조현병에 걸릴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WIlkens, 2014). 또한 어린 시절 경험한 트라우마, 어린 시절 부모와의 결별, 따돌림, 학대 등의 요소도 조현병 발병 확률을 높이는 요소가 됩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에게 건강하고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고 안전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성장 환경을 마련해 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약물 및 술의 과용에 따른 원인

 조현병 환우들은 본인들이 경험한 트라우마, 학대 등의 기억을 이겨내고자 약물이나 술에 의존하게 될 수 있는데, 이런 것들에 의존해서 그것들을 과용하게 되면 조현병 증상이 발현될 수 있습니다 (Wilkens, 2014).


(4) 뇌의 구조적 문제

 뇌의 구조가 비정상적인 경우도 조현병 발병 확률이 높아집니다. 커진 뇌실때문에 뇌의 세포조직은 줄어드는 경우나 사고, 분석, 계획, 추론 등의 중심적인 정신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기능이 느려지는 경우에 조현병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Wilkens, 2014). 


(5) 도파민 가설 (Dopamine hypothesis)

당사자의 마음이 "도파민 작동성 뉴런"의 활동을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기능장애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뇌의 신경세포(뉴런)와 조현병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보여줄 수 있는 단서입니다 (Wilkens, 2014). 


(6) 심리학적 원인

 조현병 환우들은 트라우마, 학대, 방치 등의 기억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조현병 환우들은 정서적으로나 감정적으로 그들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화나게 만드는 상황에서 조현병 증상이 심해집니다 (Wilkens, 2014). 비록 조현병 환우들 중에 트라우마, 학대 등의 기억을 가진 환우들이 있지만, 어린 시절 경험한 트라우마나 학대가 반드시 조현병의 원인이 된다고 확증할 수는 없습니다. 스트레스와 트라우마가 조현병과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하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현재로서는 어린 시절 경험한 만성적 스트레스와 트라우마가 조현병의 원인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7) 신경학적 원인

 뇌의 신경회로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경되어 있는 경우, 조현병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도파민 가설에 의하면, D2 수용체가 지나치게 활성화되거나 글루타민산염(Glutamate)의 기능이 저하되면 조현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Wilkens, 2014).


그러면 가족이나 친구 중에 조현병으로 힘들어 하는 환우가 있으면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조현병과 관련된 가장 흔한 오해는 "조현병 환자는 위험한 사람이다"라는 것과 "조현병은 치료가 안 되는 병이다"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10년간 또는 30년간 꾸준한 치료를 받은 조현병 환우들의 예후를 비교한 자료에 의하면, 25%의 환자들은 완전히 치료가 되었고, 50%는 약간의 보조적 도움만 있어도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해낼 수 있는 수준까지 회복되는 것이 나타나 있는데, 앞으로 지속적인 조현병 연구와, 약물 개발, 그리고 다양한 정신치료 요법이 개발되면 치료율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Surviving Schizophrenia (Torrey, 2013))


<조현병 치료 (Schizophrenia Treatment)>

조현병 환우들의 치료를 돕기 위해 전문가들은 어떤 방법을 주로 활용할까요? 환우마다 개인차가 있을 수 있겠으나, 꾸준하고 효율적으로 조현병 치료가 이루어지면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완벽한 치료(완치)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현재까지 나온 치료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Torrey 박사 (2013)의 제안을 참조하여 설명해 보겠습니다.

 

조현병 환우들을 위한 치료는 기본적으로 "지지정신요법 (Supportive Psychotherapy)"과 인지행동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그리고 "약물 (Medication)"치료법이 활용됩니다. 지지정신요법이란 말 그대로 환우의 정서, 감정, 사회적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지지해주고 지속적인 개선과 치료효과의 유지가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요법입니다. 전문치료사와 환우와의 대화는 주로 과거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고 "지금 여기서 (Here and Now)" 환우가 조현병을 앓고 있는 현실에서 끊임없는 노력을 함에도 불구하고 마주하게 되는 다양한 문제를 어떻게 대하고, 이겨나갈 동기를 얻도록 격려하며 힘을 주는 요법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환우가 더 활발하게 사회생활을 하고, 직업 생활에서 노하우를 얻고, 가족이나 동료들과의 마찰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조언을 해주는 것입니다 전문치료사는 조현병 환우를 한 명의 환우로서 마치 당뇨병 환우나 골절상을 입은 환우를 대하듯 자연스럽고 편견 없이 대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인지행동치료는 환우가 망상이나 환각을 경험할 때 그런 해석과 반응이 비이성적이며 옳지 않은 반응이라는 것을 깨닫도록 도와주어 환우가 서서히 그런 망상과 환각을 무시하고, 그런 상황에서 비교적 건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방법입니다 (제가 인지행동치료에 대해서 자세히 다룬 글이 있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1편- https://brunch.co.kr/@byungilkim/32 2편- https://brunch.co.kr/@byungilkim/36). 그리고 절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조현병 치료에 있어서 약물치료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조현병 치료에 쓰이는 약물은 1990년 이전에 개발된 약물(Typical)과 그 이후에 개발된 약물(Atypical)로 구분되는데, Typical계열 약물이 오래된 약물이라고 해서 Atypical계열 약물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모든 약물이 각각 미세한 차이로 특징과 장점이 있고, 더불어 동반되는 부작용도 다르기 때문에 조현병 환우는 전문가와의 상담과 적정기간 동안의 투약결과 모니터링을 통해 자신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약을 찾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부득이하게 여러 개의 약을 동시에 혼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약 복용전 반드시 전문가와 복수의 약 처방과 혼용이 가질 수 있는 부작용이나 위험성에 대해 검토하고 약을 드셔야 합니다.


(출처: Surviving Schizophrenia (Torrey, 2013))


이런 요법 이외에도 "전기충격요법 (Electroconvulsive Therapy, ECT)"과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 Repetitive Tra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전기충격요법은 뇌에 전기적 충격을 주어서 뇌가 보다 원활하고 균형 잡힌 방식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인데, 자칫 잘못하면 기억상실이나 뇌손상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어서 한 때 전문가와 대중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기도 했었습니다. 그러나 꾸준하게 적용되면 약물치료나 상담 요법만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효과를 보는 경우도 있어서 유럽지역을 중심으로 수요가 차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반복적 자기자극은 자기력을 이용해서 뇌에 자극을 주어 뇌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입니다. 반복적 자기자극은 특히 청각적 환각증세를 가진 조현병 환우가 약물치료를 통해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경우 전문치료사가 대안으로써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자연요법으로는 허브를 이용한 "허브치료법(Herbal Treatment)"이 있습니다. 허브치료법은 자연요법이고 원하는 사람들은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치료법도 인터넷이나 책을 통해 쉽게 배울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대중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요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허브치료법의 조현병 치료효과는 아직 과학적으로 완벽하게 입증되지 않았고, 사용하는 허브 종류에 따라 복용 중인 약 성분과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역효과가 생길 수 있으니, 가급적 사용 전, 또는 사용 중 담당 전문가와 상의를 하며 사용해야 합니다.


<조현병 환우의 가족과 친구들이 환우를 위해 할 수 있는 것들>

그렇다면, 만약 내 가족이나 친구 중에 조현병 환우가 있다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조현병을 앓고 있는 가족이 있는 경우 그 가족들은 그 환우를 돌보느라 시간적, 체력적, 감정적, 재정적, 그리고 심리적으로 상당한 소모를 하며 하루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동료나 친구의 경우 그 친구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가서야 할지 몰라서 전전긍긍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Torrey 박사(2013)가 그런 가족과 동료들을 위해 제안한 부분 중 인상 깊은 부분들이 눈에 띄어 전하고자 합니다. 


조현병 환우를 둔 가정은 쉽게 두 가지 부정적 감정 (비난과 수치심)의 소용돌이에 휘둘릴 우려가 있습니다. 흔히 조현병 환우의 가족들이 이런 비난과 수치심이란 양축을 기본으로 하는 부정적 감정 나선에 휘말리게 만드는 관념 중 하나는 "그 환우는 어린 시절 겪은 트라우마나 학대, 그리고 부모의 특정한 양육 방식 때문에 조현병에 걸리게 되었다"는 근거 없는 가설 탓입니다. 아직 이 가설은 과학적으로 완벽하게 입증되지 않았음에도, 환우의 가족들, 주변인들, 그리고 심지어 전문치료사들조차도 이 가설이 마치 타당하게 입증된 사실인 것처럼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 여기서부터 문제가 생깁니다. 왜냐하면, 이런 가설을 받아들이게 되면 환우 본인은 '아버지가 나를 학대하고 무섭게 키워서 내가 이렇게 되었다'라고 생각하며 아버지를 원망하고 비난하게 되기도 하고, 다른 가족들도 그 아버지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며 비난하며 의도치 않게 희생양으로 만들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런 분위기에서 가족들은 환우를 공감이나 따뜻한 배려심으로 대하기보다 '왜 그런 스트레스도 견디지 못해서 그런 병에 걸린 거냐'는 식으로 생각해서 환우가 스스로 수치심을 느끼게 만들 수도 있고, 이런 "비난"과 "수치심"이 씨실과 날실처럼 끊임없이 이어져서 가정 분위기가 병적으로 파괴적인 분위기가 되어 버릴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조현병 환우를 둔 가족들은 많은 연구자료 결과가 뒷받침하듯이 조현병 환우가 무작위로 선택된 생물학적(뇌) 질병 환우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보다 적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거의 경험들을 면밀히 검토하며 그 영향과 현재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두는 프로이트식 정신분석 요법은 조현병 환자에게 권장되지 않습니다. 만일 가족과의 마찰로 힘들어하는 조현병 환우를 친구로 두신 분이 계시다면, 잠시 동안만이라도 그 환우가 가족과 거리를 두고 지내고, 접촉 시간을 줄이고, 조현병이라는 장애에도 불구하고 삶을 한 발자국씩 걸어갈 수 있도록 격려해주셔야 합니다. 스포츠도 팀원들 간의 기분과 협동력에 의해 쉽게 팀 분위기가 상승하기도 하고, 반대로 서로 헐뜯고 비난하며 분위기가 헝클어지기도 하듯이, 조현병 환우의 가정 내 분위기도 쉽게 헝클어지기도 하지만, 서로 믿고 존중하며 협동하면, 차차 상승할 수 있습니다. 서로 존중하며 협동하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네 가지 바른 태도"가 필요합니다. 그 태도는 앞글자만 따서 소위 "SAFE attitude"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SAFE Attitude

Sense of Perspective : 환우를 보고 웃는 것이 아닌 환우와 함께 웃으며 즐거워하는 태도. 조현병을 이겨내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태도는 환우의 증상을 이해하고 함께 바라보며 웃는 태도임

Acceptance of the illness: 환우의 조현병을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태도. 수용한다는 것이 치료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현실을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자세

Family Balance: 조현병 환우를 위해 헌신하는 가족들 개개인의 상황과 요구를 배려할 것. 조현병 환우만큼 그/그녀를 보살피는 가족들도 힘이 드니, 각자 계획하고 토론을 하며 서로 쉬는 시간을 가지면서 에너지를 충전해야 함

Expectations that are realistic: 당장 지나치게 높은 목표를 잡지 말고, 지금 조금만 노력하면 조현병 환우가 할 수 있는 일(예 - 집 청소, 빨래, 애완견 돌보기 등)을 할 수 있도록 목표를 잡고 격려해 줌



조현병 환우는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현실에서 주어지는 감각적 정보를 올바르게 인지하고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따라서 조현병 환우는 하루의 일과를 매우 간단하고 쉬운 것들로 채워 넣고 매일을 규칙적으로 (예측 가능하도록) 보내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현병 환자가 운동, 식이요법, 그리고 취미활동을 하면 증상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쉽지 않을 수도 있으나, 조현병 환우는 자신의 경험을 잘 활용하면 다른 조현병 환우를 돕는 치료사(Peer Counselor)로 활동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미국이나 호주에서는 조현병 환우들의 경험을 높이 사서 그들을 치료사로 교육시켜서 병원, 학교, 복지기관 등에서 전문치료사로, 혹은 치료사를 돕는 보조치료사로 일할 수 있도록 권면하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그러니, 조현병 환우나 그 가족들은 조현병 환우의 경험이 나중에 귀한 치료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환우의 치료가 비록 힘들더라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조현병 환우는 자신이 조현병 치료를 위해 먹은 약의 종류와 복용량, 그리고 복용기간 등을 기록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나중에 새로 만나게 될 전문치료사에게 그 정보를 보여주면 전문치료사가 그 환우를 이해하고 약 처방을 할 때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조현병 환우를 가족으로 둔 분들은 대게 개인 시간이 없어지고, 사회 활동의 단절, 자신의 건강 문제, 그리고 환우를 돌보느라 일을 못해서 생기는 재정문제 등을 겪고 계실 것입니다. 가족과 동료들은 무엇보다 조현병 환우에게 "친절하고 예의 바르게" 응해야 합니다. 자칫 그들이 망상과 환각 증상 때문에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한다고 느껴서 그들의 말이나 행동을 지적하고 소리치며 화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행동은 조현병 환우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그들을 혼란스럽게 만들 뿐입니다. 가령, 환우가 "내 방은 독극물로 오염되어 있고, 방 안에 독사가 우글거려"라고 말하는 경우 "그런 말도 안 되는 소리하지 마. 독사가 어디 있는데?"라고 맞받아치기 보다는 "너는 지금 방에 독사가 있다고 믿는 거지? 그러나 나는 독사를 못 봤고, 독사가 있다고 보지는 않아"라고 "친절하지만, 동의하지 않는 문장"말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환우와 이런 유의 대화는 환우와 가족 간에만 대화하자고 약속하면 좋습니다. 이를테면, 그런 대화를 식당, 공원, 또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사람들이 이상하게 볼 수 있으니 나중에 집에 와서 이야기하자고 약속하는 것이죠. 그리고 조현병 환우의 머릿속은 쉽게 혼란스러워지고 복잡해질 수 있으니 가급적 간략하고, 명쾌하고, 단순한 내용으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조현병 환우에게 "너 공원 잘 다녀왔니? 거기서 누구랑 논거야? 참, 아까 너 친구에게 전화 왔었는데"라고 한 문장에 몇 가지의 내용을 섞어서 말하면 굉장히 어렵게 생각할 수 있으니 문장을 잘게 잘라서 보다 쉽고 단순한 내용으로 나누어서 질문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조현병 환우는 마음속 의도와 겉으로 보이는 표정이나 행동 간의 격차가 무척 크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변에 가족들과 그 가족들의 친구가 놀러 온 것을 보고 쳐다보지도 않고 거실 구석에서 웅크리고 있을 수 있는데, 본인의 마음속으로는 그런 손님들을 반기고 환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감성이나 정서가 쉽게 변해서 혼자만의 공간에서 자기만의 사고를 통해 현실을 처리(Process)하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는 그냥 혼자 방에 있게 내버려 두면 됩니다. 예를 들어, 어머니와 함께 설거지를 하던 조현병 환우인 딸은 갑자기 "이제 혼자 있고 싶어요"라고 말하며 방에 들어갈 수 있는데, 그런 딸을 보고 차분한 태도로 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많은 조현병 환우들이 혼자 있는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런 "고독"과 "규칙적인 하루 스케줄"은 조현병 환우들의 대표적 특징입니다. 다만, 조현병 환우를 친절하게 대하고, 예의 바르게 배려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지만, 예외적으로 그들이 위험한 행동 (예-침대 위에서 담배 피우기)을 할 때는 진지하게 타이르고, 그런 행동을 지적해서 그런 행동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어려워하고 어색해 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개나 고양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도록 하면 효과적입니다.



규칙적인 일과와 목표 (예- 아침 7시에 기상 후 세수, 방 청소, 오후에 개와 산책)를 세우는 습관을 기르도록 하면, 점차 그 목표가 보다 어려운 것들로 상향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런 순차적 상승을 통해 치료를 기대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치료 과정에서 가장 힘든 순간이 잘 치료되는 듯 보이다가 증세가 악화되어 조현병 증상이 재발되는 경우입니다. 보통 개인차이는 있지만 약물을 과용 (술, 담배, 마약, 카페인 등)하거나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증세가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재발하는 데 있어서 그 초기증세를 보이기도 하는데, 가족이나 동료들도 증세가 호전되었던 조현병 환우가 이런 초기증세를 보이면 빨리 파악해서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흔한 재발 초기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Warning Signal Scale

1. 편하게 잠자기 못함

2. 긴장되고 두려워함

3. 집중하는 것을 어려워함

4. 쉽게 짜증내고 다혈질적이 모습을 보임

5. 평소 잘 하던 일들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함

6. 쉽게 피곤해하고 에너지가 떨어져 보임

7. 우울해 보임

8. 혼란스럽거나 당황한 듯 보임


조현병 증상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조현병 환우가 어떤 경험이나 어떤 상황에 있을 때 쉽게 증상을 재발시키는지 기록했다가 조현병 환우가 그런 상황이나 경험을 회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조현병 환우가 혼자 있는 시간을 더 많이 갖도록 도와주고, 일하는 시간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것들(운동, 취미 등)에 집중할 수 있도록 장려해 주면 좋습니다. 그리고,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전문가와의 상의 없이 약을 끊지 않고 꾸준히 약을 먹을 수 있도록 옆에서 격려하고 관심을 가져주셔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모든 노력을 해도 조현병 환우의 증세는 항상 파도처럼 좋아졌다가 나빠지는 상황을 반복할 수 있다는 것은 주지하시고, 증상이 재발되었다고 해서 너무 낙심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조현병 환우가 범죄를 쉽게 저지르고, 제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끔찍한 폭력을 휘두르는 경우도 물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범죄나 사건에 대해서 무조건적으로 "조현병 때문이다"라고 결론짓는 것도 무리한 분석입니다. 어떤 범죄자가 조현병을 앓고 있을 수는 있지만, 조현병 자체가 그 사건이 일어나도록 만드는 충분조건은 아닙니다. 일반인들의 경우도 어떤 사람들은 다양한 맥락, 의도, 원인 등이 혼합되어 특정 범죄나 폭력사건에 휘말리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성실하고 조용하게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처럼, 조현병 환우도 조현병 증상 이외 다양한 상황, 개인 성격, 기질, 주변인과의 관계 등 무수히 많은 원인들에 반응하며 매 순간을 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현병 환우를 무조건 위험하고 범죄성이 높은 사람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보는 자세도 지양해야 합니다. 조현병 환우가 망상이나 환각증세에서 범죄나 사건을 저질렀을 경우 그 처벌과 책임은 어떻게 지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조현병 환우마다 각자 경험하는 증상의 종류와 그 정도도 다 다르고, 조현병 환우라도 해도 자신만의 노하우나 분별력으로 그런 망상이나 환각에 대처할 줄 아는 사람도 있고, 한마디로 조현병 환우도 개인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조현병 환우의 범죄사건에 대해서는 일단 사건의 유죄성을 사실에 기반해서 따져보고, 그 다음에 전문가들이 조현병 환우의 병세 정도를 객관적으로 정밀 진단하는 것이 순서가 되어야 합니다. 다만, 그들의 개인차가 심하며, 범죄를 저지른 "그 순간"에 자신의 의도성이 얼마나 발휘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그들에 대한 처벌 감면은 "일반인과 동일한 수준의 처벌"과 "조현병 환자로서의 사회적 배려" 그 사이 어딘가에는 있지만, 그 사이에서 정확히 어느 위치에 있는지는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현재 현실입니다. 


지금까지 조현병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서 조현병은 환우 입장에서 겪으며 이겨나가야 할 증상들이 훨씬 혼란스럽고 난해합니다. 무조건 위험하고 우스워보인다고 생각하며 그들을 멀리하기보다는, 따뜻하고 열린 자세로 그들을 자연스럽게 대하면, 그들이 가진 귀한 경험과 재능이 나중에는 우리들과 우리가 사는 커뮤니티를 위해 아름답게 활용될 것입니다. 아마 주변의 따뜻한 배려와 끊임없는 격려가 없었다면 조현병을 이겨내고 우뚝 선 다음과 같은 분들도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Wilkens, 2014).


Dr. John Forbes Nash Jr -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실제 이야기)

Peter Green - 유명 기타리스트. Fleetwood Mac설립자

Lionel Aldgidge - 미국 풋볼선수. NFL Green Bay Packers의 2회 우승에 기여함

Brian Wilson - Beach Boys 리더. Grammy상 수상자

Buddy Bolden - 재즈 뮤지션

Clara Bow - 할리우드 여배우

Parveen Babi - 인도 여배우

Eduard Einstein - 아인슈타인의 아들

Jim Gordon - 드러머

Tom Harrell - 재즈 뮤지션

Adele Hugo - 빅토르 휴고의 딸. "The Story of Adele"이라는 영화의 주인공의 실제 이야기

Rufus May - 임상심리학자

Katherine Routledge - 영국 고고학자

John Ogdon - 영국의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

Jeremy Oxley - 음악가 겸 호주 음악 밴드 Sunny Boys 멤버

William Chester Minor - 옥스포드 사전 편찬에 기여


지금도 조현병 증상을 안고 하루 하루 살아가는 조현병 환우들과 그 가족들, 그리고 그 친구들을 위해 응원합니다.


닥터 부메랑 유튜브 채널에 방문해 주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a2Hpyxxe7kozsCGldkUTqw?view_as=subscriber



이전 11화 사별과 상실로 힘들 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