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5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일곱 번째 이사

강남 재입성

치명적인 문제는 자기 비하가 익숙하고 편하다는 점이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교육철학이 부족했다고 원망을 하고 싶지는 않지만, 늘 나보다 우월한 친구, 친적과 비교를 하면서 열등감에 젖어들었다. 사회화를 위한 적당한 눈치와 비교, 틀 안에서의 경쟁은 실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으나, 지나친 경쟁심과 열등감의 반복은 서서히 나를 좀먹어 갔다. 



전세살이로 서울 안팎을 오가면서도 꿀린 적은 없었다.
그런데, 눈 가리고 귀 막고 살면서
행복하지도 않았다.
역설적으로 외부자극으로부터 
나를 차단시켜야 행복할 수 있다는 사실이 지치게도 슬펐다.


행복을 찾아 대이동을 했건만, 

철통보안에 으리으리한 성안의 공주처럼 사는 친구 집 앞에서도 나는 괜찮다고 마음 속으로 철벽을 쳤건만,

새로운 보금자리에서도 늘 다툼이 이어졌다. 


다툼의 소재는 밑도 끝도 없었다. 


행복하지 않은 아내를 보며 남편은 좌절했다. 학위를 취득하고 맞벌이로 수입이 조금씩 늘면서 빚을 얻어 내 집마련을 하였고, 서울에 입성을 하였으나, 근본적인 문제는 쉽사리 해결되지 않았다.


문득문득 "타인의 기준"에 많이 못 미치는 느낌에 시달려야 했고, 지금 우리의 생활수준이라도 유지하고자 한다면 아이에게 유년시절을 점철했던 경쟁과 성취욕망에 불을 붙여줘야 했다. 무엇보다 한 살이라도 어릴 때 격의 없이 친분을 쌓게 될 친구들의 사회경제적인 환경이 내 자녀의 성장 환경이 될 터였다.


자기주도학습이란
아이가 학습의 필요를 느끼기 전(필요성을 느끼면 늦는다?) 
경쟁적 환경 속에서 실력을 닦으며
저절로 관성에 의해 생겨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 이사가 될 것이다.

그리고 앞선 이사와 다르게 이번은 현실을 직시하기 위해 몸부림 칠 것이다. 두 눈 똑바로 뜨고, 행복을 빚어나가겠다. 그리고 처절한 그 대 변혁의 작업을 아이에게 몸소 보여주겠다.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나가는 것이라고. 우리 함께 숨 쉬는 이 순간 온몸으로 행복을 느끼는 방법을 배워보자고.

월, 화, 수, 목, 금 연재
이전 01화 강남에서 자란 교수부부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