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나는 실패만 하는 사람이야"

좌절하는 아이에게 해주는 말

by ADHDLAB Dec 29. 2024

온갖 만들기 활동을 좋아하는 우리 아이는

하루 종일 다양한 만들기를 시도합니다.


아이는 머릿속에서 구상한 것이 입체적으로 만들어지는 걸 좋아해요.

자신이 만든 작품이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아주 좋아하죠.


요즘엔 고카트를 만들고 싶다며

나무를 잘라 바퀴와 체인을 연결하고 있어요.


한창 종이 접기에 빠졌을 땐

종이 한 장으로 복잡한 용을 접는 고난도 종이 접기에 관심을 가져서

손 끝에 색종이 물이 들 때까지 접고 또 접었죠.

아이의 목표는 에이션트 드래곤(acient dragon)과 류진3.0(드래곤의 한 종류)이었어요.


전 아이의 만들기를 응원해요.

자신이 좋아하는 걸 하는 것만큼 큰 재미가 있을까요?

다만, 아이가 만들기가 되지 않을 때

짜증과 화를 내는 게 힘들어요.


아이가 한창 감정폭발을 일으키던 초3~4학년 시기에는

만들기를 하다 예상처럼 되지 않을 때

화가 나 소리 지르고 울며 발버둥을 치기도 했어요

만들던 걸 찢어버리거나 쓰레기통에 구겨 넣기도 하고

의자를 던진 적도 있죠.


다행히 감정폭발은 초5학년쯤부터 잦아들었고

극단적 행동도 많이 줄어들었어요.

그런데 아직 극단적 말은 남아있어요.


아이는 실수나 실패로 좌절감을 느낄 때 종종 말합니다

"나는 실패만 하는 사람이야"



저는 늘 아이의 단정적이고 극단적인 말이

가슴에 와서 콕 박혀요.

이런 말을 할까.

속마음은 무엇일까.

고민 끝에 제가 파악한 건


아이는 자신의 실수와 실패를 신경 쓰고 있는 것 같아요.

거친 파도가 바다 깊은 곳까지 헤집어놓듯

실수나 실패라는 거친 파도가 한 번 일면

그동안 꾹 참고 있던

그동안 기억해놨던 실패와 실수 그리고 속상한 감정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것 같았어요.

이런 트리거(trigger)라고 하죠.

개인의 감정이나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자극이나 사건.


그래도 저는 아이가 자신을 '실패자'로 지칭하는 건 막고 싶어요.





제가 아이의 실패를 막아줄 수는 없어요.

살면서 실수나 실패를 안 할 수도 없죠.

그리고 실패감은 스스로 견뎌내야 해요.

다만, 전 아이가 자주 실패하는 이유를 인식하고, 실패감을 견디는 방법을 연습하고 있어요.


그래서 제가 아이에게 해준 말은

"네가 많이 실패하는 것 같구나. 그런데 네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른 사람들보다 많이 시도하고 도전했기 때문 아닐까?"


"많이 시도하고 도전하면 그만큼 많이 배울 게 있다는 말이지? 실수나 실패를 하면 당장은 너무 속상하겠지만, 그 경험을 통해 어떤 걸 배울 수 있는지도 한 번 생각해 보자."


"만약 다른 친구가 실수나 실패를 한다면 너는 어떤 말을 해줄 것 같아?"

"친구야 괜찮아. 다음에 한번 더 해보면 되지라고 말해주지"

"이제는 너 자신에게도 그 말을 해줘 봐."


부정적 감정이 들 때

스스로를 폄훼하고 몰아칠 게 아니라

나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방법을 익히길 바라고 있어요.


실수하고 실패할 때 나 자신이 바보 같거나 못나고 싫다는 생각이 들어도

그런 나를 가장 사랑하고 응원해줘야 사람은 바로 나라는 것.

나를 따뜻하게 보듬어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점을 아이와 함께 배워나가고 있습니다.














이전 01화 "나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