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미스 반 데 로에의 IIT 대학 크라운 홀

미스 반 데 로에의 제자 건축가 김종성의 남산 힐튼호텔

by 안나킴 Feb 20. 2022

남산 서울 힐튼 호텔이 닫는단다.

대우 그룹이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며 그 기세를 펼칠 때, 그 크라운 같은 결정체가 남산 힐튼호텔이다.


나 대학생 때 관광과 친구 따라 남산 서울 힐튼호텔 연회장에서 알바 꽤나 했더랬다.

요리조리 직원용 지하통로를 지나 거센 증기가 가득한 세탁실에서 갓 다려진 알바용 무릎 기장 검은 치마를 받아 입고서. 연회장에서 둥근 테이블도 굴려보고, 테이블 세팅하고, 음료 트레이 들고 대연회장에서도 꼿꼿이 서 있었다.


그날 일한 돈을 당일 현금으로 바로 지급하는 힐튼 호텔 알바는 90년대 당시 인기가 높았다. 새벽에 선착순으로 줄 서야 했다. 버스정류장에서 내려 숨 가쁘게 뛰어 올라가던 여름 새벽. 어스름 속 남산 힐튼호텔의 거대함이란. 

그때에도 이건 왜 이렇게 생겼을까 했다. 머릿속 특급호텔의 이미지는 하얀 대리석에 서양 꼬불꼬불한 장식이 기둥이나 문 앞에 한가득인데, 남산 힐튼의 검고 차가운 유리 글라스와 수직선은 사실 사무용 건물처럼 보였거든.


브런치 글 이미지 1

남산 힐튼이 미스 반 데 로에의 제자인 건축가 김종성 님의 작품인 건 나중에야 알았다.

학교서 미스 반 데 로에의 수업 하나 들었던 제자가 아니다. 그분의 직원수 32~3명이던 도제식 회사에서 11년을 일하며, 고령이던 그분의 걸음을 부축하던 분이다. 미스 반 데 로에의 IIT 대학 건축과 학장이던 자리에도 나중엔 오르셨다.


김종성 님은 어린 시절 가세가 기울어 고모였던 의친왕비가 거주하던 사동궁내 한옥에서 오 년간 산 경험이 있다. 한국전 후 서울대 건축과에 입학하고 우연히 본 미국 서적에서 미스 반 데 로에의 작품을 접했다. 한옥의 기둥을 세우고 보를 얹고 벽을 채우는 방식이, 미스 반 데 로에의 철골로 기둥을 얹고 보를 얹는 방식과 유사하게 여겨 그가 있는 IIT로 유학을 가야겠다고 결심했단다.  


그리고 미국 시카고에 막 도착해서 이후 우리나라 사람 그 누가 찍어도 이에 필적할 수 없는 크라운 홀 사진을 1956년에  한 장 남기셨는데, 이게 바로 이거다.

당시 갓 완공되어 학생을 맞을 채비로 형광등 환하게 밝혀진 크라운 홀을 보고 전율이 일었다고.  


이 깎은 밤톨 같은 소년 인상의 청년은 지금 87세로 한국 건축계의 중후한 거장이 되셨다.이 깎은 밤톨 같은 소년 인상의 청년은 지금 87세로 한국 건축계의 중후한 거장이 되셨다.



네. 윗 사진 이후 63년 지나 찍었습니다. 별 차이 없는 건물의 상태. 좋은 재료와 바른 시공의 힘.네. 윗 사진 이후 63년 지나 찍었습니다. 별 차이 없는 건물의 상태. 좋은 재료와 바른 시공의 힘.



건물 위 툭 튀어나온 구조물 4개가 이 전체를 들고 있는 종루 같은 구조. 한국전쟁 후의 소년이 이걸 봤으니 전율할 수 밖에건물 위 툭 튀어나온 구조물 4개가 이 전체를 들고 있는 종루 같은 구조. 한국전쟁 후의 소년이 이걸 봤으니 전율할 수 밖에


근접하면 금속에서 녹물이 약간은 배어 나왔지만, 아주 관리가 잘 된 상태. 우리네 땅에서 금속 건물이 이 정도로 외부에 비를 맞았으면 이미 삭아 없어졌을 듯.근접하면 금속에서 녹물이 약간은 배어 나왔지만, 아주 관리가 잘 된 상태. 우리네 땅에서 금속 건물이 이 정도로 외부에 비를 맞았으면 이미 삭아 없어졌을 듯.



당시에 정말 획기적이었던 공중부양 계단당시에 정말 획기적이었던 공중부양 계단
미스 반 데 로에가 즐겨 쓰는 재료인 구멍 많은 하얀 대리석, 트래버틴이 조금 풍화되었지만 이 정도야..미스 반 데 로에가 즐겨 쓰는 재료인 구멍 많은 하얀 대리석, 트래버틴이 조금 풍화되었지만 이 정도야..
안에 들어가서 밖을 본 전경. 건축과 학생들의 작품이 보인다.안에 들어가서 밖을 본 전경. 건축과 학생들의 작품이 보인다.
크라운 홀 일층으로 들어가면 펼쳐지는 학생들의 작업 전경. 외부 건축 투어객이 많아서 학생들은 전혀 신경 안 씀.크라운 홀 일층으로 들어가면 펼쳐지는 학생들의 작업 전경. 외부 건축 투어객이 많아서 학생들은 전혀 신경 안 씀.


건물 안에 기둥이 없다.건물 안에 기둥이 없다.


반층 내려가면 있는 건축 도서관 책장 위에는 유명한 디자인 의자들을 전시해 두었다. 사진 오른편 하단의 학생들이 책 읽는 의자는 미스 반 데 로에의 1929년 디자인 브르노 체어반층 내려가면 있는 건축 도서관 책장 위에는 유명한 디자인 의자들을 전시해 두었다. 사진 오른편 하단의 학생들이 책 읽는 의자는 미스 반 데 로에의 1929년 디자인 브르노 체어



미스 반 데 로에가 1929년 디자인한 바르셀로나 체어는 학교 곳곳에서 꽤나 보인다.미스 반 데 로에가 1929년 디자인한 바르셀로나 체어는 학교 곳곳에서 꽤나 보인다.


IIT 학교 배너. IIT는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의 준말.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들이 만든 캠퍼스라 내세운다.IIT 학교 배너. IIT는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의 준말.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들이 만든 캠퍼스라 내세운다.



크라운 홀 입구에 있는 미스 반 데 로에의 반추상 흉상. 세월에 건물은 안 녹았으나 본인이 대신 녹아 내리셨네.크라운 홀 입구에 있는 미스 반 데 로에의 반추상 흉상. 세월에 건물은 안 녹았으나 본인이 대신 녹아 내리셨네.



미스 반 데 로에의 1955년작 크라운 홀은 아직도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데

제자 김종성 님의 그로부터 30여 년 후에 지은 힐튼호텔은 지금 우리 손으로 헌다고 한다.

1980~90년대의 남산 힐튼은 우리나라 최고급이었으나, 이후 다른 초고급 호텔들이 많이 생겼다.

거기에 코로나로 국내 호텔업이 다들 많이 힘들어진 상태.


그래서 이 건물은 국내 자산운용 회사 1위인 이지스 자산운용에 넘어갔다.

이 회사는 인사동 쌈지길이나 신사동 가로 골목처럼 재미난 곳도 운영하지만

김수근 건축가의 유작인 르네상스 호텔도 단숨에 허물어, 대형 오피스텔 두동을 지었다.

돈 벌자고 하는 것이 회사의 설립 목적인지라 당연하다.

누군가의 펀드도 누군가의 기금도 누군가의 미래도 몽땅 들어가 있는 자산운용회사 아닌가.  


힐튼 호텔은 1984년 건설 당시 허용용적률 600% 중 350%를 썼고, 완화 용적률 800%를 쓰면 더 큰 건물을 지어 매우 큰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

요즘 유행하는 수직 수평 증개축을 생각해 봐도.

수직 증개축은 이 건물이 남산 자락에 있는지라 힘들다. 높이면 남산의 뷰를 더 크게 가리게 되는지라.

수평 증개축을 얼추 한다 치면 건물의 입면이 심히 뚱뚱하게 불어나면서 이 미스 반 데 로에 직계의 검정 유리와 철골들은 다 덮이게 될 확률이 높다.

 

미스 반 데 로에의 구 IBM 빌딩이 더 랭햄 호텔로 바뀐 것을 노 건축가 김종성 님은 인지하고 계셔서.

황망한 마음으로 국내에 들어오셔서 한 인터뷰를 보니 내부 리노베이션을 해 객실 사이즈를 크게 만들어 우리나라에 아직 들어오지 않은 초고급 호텔 브랜드 더 랭햄 같은걸 붙이면 어떨까 하시더라.

객실가가 대략 미국제 힐튼은 30~40만 원대, 런던제 더 랭햄은 80~100만 원대라고 보면 된다....


으으음... 큰 땅덩이에 큰 단차로 설계의 묘미가 있으니, 노 건축가 살아계실 때 같이 협업하면 어떨까.

이 힐튼 땅은 아무리 서울역 뒤라고는 해도 급 언덕배기라서 접근성이...

허물고 짓는다는 대형 주상복합에 어차피 호텔 넣을 거라면 말이다.


시카고와 미스 반 데 로에를 쓰다가 김종성 님과 힐튼까지 넘어가다 보니 마음이 안타까워져서.

어쨌든 올해 안에, 내 이십 대 즐거웠던 알바 장소 남산 힐튼 꼭 묵어 봐야지.

힐튼 지하의 나은 크라프트 가서 자개 수다도 왕창 떨어야지.


내 안타까운 마음은 여기까지.




참고, 옛 사진 두개 출처

https://blog.naver.com/designpress2016/222590161498   


이전 10화 건축가 미스 반 데 로에와 IBM 빌딩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