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용원 Jan 24. 2021

성과를 내는 조직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거의 모든 사람이 조직에서 생활하고 있다. 설령 혼자 일해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조직과 완벽하게 분리되어 존재하는 사람은 사실상 없다. 둘 이상의 사람이 모여 동일한 목표를 향해 움직이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 그러한 조직의 대부분이(어쩌면 전부가) 고민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성과를 내는 조직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성과'라는 것을 얻기 위해 조직은 온갖 방법을 사용한다. 회사를 다니는 사람이라면 지극히 당연한 출퇴근, 회의, 보고 체계 등은 사실 '성과'를 내기 위한 방법들이다. 잉? 이게 무슨 성과를 내기 위한 방법인가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이러한 것이 성과를 내기 위한 방법인 까닭은 사실 간단하면서도 당연하다. 조직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이고 조직이 내는 '성과'라는 것은 조직에 있는 사람들이 일을 해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조직에 속해 있는 사람들을 관리하는 모든 행위는 성과를 얻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측면에서 대부분 아니 사실상 모든 조직은 성과를 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들었다고 자부하는 조직은 많지 않다. 새로운 경영기법이나 일반적인 조직과 다른 업무 형태 등이 사람들의 주목을 끄는 이유는 사실 그 때문이다. 많은 조직에서 일하는 방식 정확히는 조직 내의 사람들을 관리하는 방식은 큰 틀에서는 비슷하다. 비슷하게 일하고 비슷한 결과를 얻으며 비슷한 고민을 하는 셈이다.


그런데 왜 성과가 나지 않을까? 사실 정확히 말하면 성과가 나지 않는다기 보다는 놀라울만한 성과 혹은 좋은 성과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 정답일 것이다. 성과가 아예 나지 않는 조직은 없어져서 그런 고민 조차 할 수 없을 테니 말이다. 사실 대부분의 조직이 고민하고 있는 '성과'의 문제는 지금보다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하지만 그런 결과가 잘 나타나지 않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렇다면 성과의 향상이 조직에서 잘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뭘까? 조직에 따라 여러 가지 이유들이 존재할 수 있겠지만 모든 조직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유가 있다. 바로 사람이다. 조직은 기본적으로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직의 일은 사람이 하는 것이다. 즉 조직 내의 사람이 일을 어떻게 하느냐가 조직이 하는 일의 결과를 결정하는 것이다. 결국 사람이 일을 잘하게 하는 것이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드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조직에 속한 사람이 일을 잘하게 만드는 것이 생각보다 무척 어렵다. 사람은 단순하지만 복잡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조직에서 활용하는 사람을 관리하는 방법에 누군가는 상처 받고 의욕이 떨어지며 누군가는 힘을 얻어 열심히 일하고, 누군가는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는다. 앞서 언급했던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출퇴근, 회의, 보고 체계 등 역시 마찬가지다. 누군가는 이런 일반적인 조직 관리 체계를 너무나 힘들어하고 누군가는 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면 특정한 조직 관리 체계에 맞는 사람들만 채용하면(혹은 남기거나) 해당 조직은 성과를 낼 수 있을까? 이론적으로는 그렇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진짜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사람이 일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직에 맞는 사람만이 조직에 남아 일을 한다고 반드시 좋은 성과를 얻는다는 보장은 없다. 좋은 성과는 사람이 일을 잘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조직에 맞는 사람들이 반드시 일을 잘한다는 보장은 없다. 유감스럽지만 그들이 일을 잘하지 못할 가능성도 매우 크게 존재한다.


사실 가장 좋은 것은 일을 잘하는 사람들이 조직의 성과를 위해 열심히 일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직 관리 체계가 그것이 가능한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결국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을 잘하는 사람들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게 만들어야 한다.   


여기서 또 질문이 생긴다.

그러면 일을 잘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그리고 그들을 어떻게 최선을 다하게 만들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이전에 현실을 보자.


과연 많은 조직들은 성과를 내기 위해 조직 내의 사람들을 관리하는 방식을 적절하게 운영하고 있는가?


사실 성과를 내는 조직을 만드는 것은 어찌 보면 지극히 간단한 명제에서 출발한다. 그런데 현실은 성과에 대한 고민을 이상하게 하고 있지는 않는가? 조직 내의 사람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본질에 집중한 고민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혹시 사람을 그저 당근과 채찍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존재로 여기고 있지는 않는가?

조직에서 성과가 나지 않아 고민이라면 문제의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


과연 조직 내의 사람들을 일을 잘하게 만들고 있는가?


성과가 나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고민의 시작점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이전 01화 성공한 조직에서 더 이상 혁신이 잘 일어나지 않는 이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