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배은경 Nov 19. 2023

나 자신과 소통법 분석하기

자신을 육성하려면 자신과 소통하자

마음에도 패턴이 있고  나 자신과 소통법 분석이 필요하다. 

자신의  행동패턴을 이해하면 자신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한다.


우리는 모두 각자 자신의 내적지도로  자신과 소통하고 있다.

자신의 내적지도가 마음이다.


주도적 행동 패턴은

 성과중심으로 즉각적인 대답으로 결과를 빨리 얻고자 한다. 자신의 목적 달성이 안되면 감정이 폭발하고 화를 직접 표현한다.


사교적 행동 패턴은 사과의 관계중심으로 친근하고 따뜻한 관계를 원한다.  압력을 받으면 말을 많이 하게 되고 감정적으로 표출한다.

    

안정적 행동 패턴인간적인 진정성 있는 관심을 원한다. 스트레스를 속으로 삭이는 경향이 있고 현 상황이 유지되기를 원한다.


신중형 패턴 사람은 자신도 상대방도 철저히 대비하기를 원한다. 을 결정하기 전에 심사숙고하는 경향이 있다. 


앞으로 세상은 자신을 스스로 육성하고 자신과 소통법을 공부하고 생활에서 활용하여 기술이 되어야 한다.


자신을 의식한다는 것은 자신의 행동패턴도 예측할 수가 있고 마음이 자신의 패턴대로 작동되기에  멈춤을 하고  생각하고 행동을 하게 된다면 자신의  마음 돌봄이 가능해진다.


마음도 의식하지 않으면 자동화된 패턴으로 작동되고 있고  각자가 고유의  색깔이 있다.


자신이  빨간색이라면

빨간색에 파란색 섞으면 보라색

빨간색에 노란색을 섞으면 주황색

빨간색에 초록색을 섞으면

노란색을 만들 수 있다.


빨간색에  섞는 물감  비율에 따라서 결과물이 보라색,  주황색, 노란색 되고  명도와 채 달라진고 한다.


자신의 색에  다른 색의 배합이 필요한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자기 이해가 선행되어야 적절한 배합 가능해진다.


자신의 색깔은 유지하지만 역할이나 상황에 따라서 적절히 혼합된 색깔 살아가기도 필요하다.


자기다움을 버리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자기다움의 색깔만 고집하고 있는 자신을 알아차리게 되면 적절한 혼합도 가능해진다.


DISC 모델을 참고했고  각 성격 특성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읽어보면 연결이 된다.


https://brunch.co.kr/@baeeunky/24

https://brunch.co.kr/@baeeunky/26

https://brunch.co.kr/@baeeunky/25


이전 02화 자신의 행동 패턴 특징을 아시나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