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2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맛집의 비밀

플래닛 조르바의 위스키들

by 숲속의조르바 Feb 15. 2025
아래로


예전에 Pub 플래닛 조르바를 운영할 때, 수십 수백 가지 위스키의 맛이 왜 다 다르냐는 질문을 종종 받곤 했다. 그때 나는 이런 비유를 해서 질문자의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 적이 있다.


열 명의 사람에게 배추 몇 포기, 소금, 고춧가루, 마늘, 대파, 쪽파, 액젓, 새우젓, 생강 등과 없는 맛도 살린다는 조미료까지 공평히 나누어 주고 똑같이 김치를 담그게 해 본다. 더할 것, 덜할 것 없이 똑같은 재료인데, 누구의 김치는 맛깔스럽고 대개의 김치는 그럭저럭 김치 맛이 나고, 혹자의 것들은 고춧가루에 버무려진, 그저 짜거나 싱거운 풀무침에 가까울 수 있다. 


손맛이라는 미지수의 요소가 있더라도 이해할 수 없는 영역이다. 배추를 얼마나 적당한 양의 소금과 시간에 절여 내고, 양념을 적절히 배합하는 숨은 비결이 결과를 가늠 짓는 것일 것이다. 김치가 맛있기로 유명한 전라도의 어느 마을에 가서 집집마다 똑같은 조건과 재료를 주더라도 다 제각각 미묘하게 맛이 다르면서 맛있는 김치를 만들 것이다. 기막히게 맛있더라도 맛이 똑같은 집은 한 집도 없을 것이다. 위스키도 같은 맥락이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에게 주어진 자음과 모음은 같다. 같은 숫자의 모음과 자음, 그것들로 어우러진 단어와 문장을 짓는데 누구는 사람의 혼을 쏙 빼놓는 글을 쓰고 나는 엉성하고 싱겁고 쓴 맛과 짠맛이 들쭉날쭉한 겉절이만을 담그고 만다. 아무 맛도 못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겉절이는 김장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깊은 맛을 내지 못하고 그냥 쉬어 꼬부라지고 만다. 결국 망한 김치에 설탕만 더 뿌려대다가 먹지 못할 정도로까지 더 망치고 만다. 


우리의 일상, 인생도 마친가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모두에게 똑같이 주어진 하루 스물네 시간, 일 년 삼백육십오일의 재료를 나는 어떻게 쓰면서 살아왔는지 생각해 본다. 맛집은커녕, 끼니를 때우기도 버거웠던 듯하다. 대부분의 시간은 그저 하루를 버티며 때운 것 같다. 심지어 요즘은 그마저도 버겁다.


안타깝게도 일단 쓰인 재료는 다시 쓸 수가 없다. 다행히도 아침이면 24시간의 공평한 재료가 모두에게 다시 주어진다. 물론 그 기회는 무한정 주어지지 않는다. 아침에 눈을 떠 봐야 한다.


쓸 재료보다는 부질없이 써버린 재료가 많은 지금이다. 


이제껏 허투루 낭비하고 살았지만 이제라도 아껴 써야겠다는 생각이 번뜩 든다. 맛집까진 아니더라도 최소한 재료가 아깝다는 말은 듣지 않도록 잘 써야겠다. 

이전 15화 순진함의 이면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