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Me: 24개의 더 나은 자아로 1년 살기 프로젝트
가면의 시작
자신의 내면을 감춘 채, 어떤 모습으로 보이고 싶어서 자신을 가장하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을 가식적인 사람 혹은 위선적인 사람이라고 부른다. 그런 단어로 묘사된 사람을 가까이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가 타인의 진실하지 못한 모습을 파악하면 그것을 근거로 그 사람과의 관계 전체를 부정적으로 해석하게 된다. 아마 그 사람은 그 거짓된 모습을 통해서 타인을 이용할 것이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러니 우리가 그런 사람 옆에서 상처를 받지 않으려면 애초에 피하는 것이 상책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렇게 자신을 꾸미려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을 이용하려 하기보단, 자신을 방어하려고 애를 쓸 뿐이다. 자신 내면에 있는 약함을 가리기 위해서 가면을 쓰는 것이다.
이 가면을 거짓 버전의 나 혹은 거짓자아_Pseudo Self라고 부른다. 이 거짓자아는 개인의 성장 과정에서 형성된다. 특히 이것엔 자아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어린 시절에 우리가 어떤 양육환경에서 자랐는지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위 우리가 역기능적인 가족이라고 부르는 환경을 생각해 보자. 한 아이가 정서적, 신체적, 성적인 학대, 엄격한 규율, 부모의 약물 중독, 부모의 외도나 이혼, 가족의 심리적 또는 신체적 질병, 가족의 자살, 정서적 또는 신체적 방치된 경험을 했다고 가정해 보자. 그 안에서 그 아이는 일관성 없는 규칙, 긴장과 스트레스, 친밀함의 부재, 과도한 책임감, 불분명한 의사소통, 제한된 감정표현, 가족 문제를 숨김, 대리 부모의 역할 등을 겪어야 했을 것이다.
이는 그 아이의 정서적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슬픔. 무력감, 수치심, 자괴감, 두려움, 분노, 부적절감, 소외감, 혼란함 등이 깊게 자리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그런 경험은 인지적 영역에도 왜곡된 사고를 심어 놓는다. 아무도 나를 사랑하지 않을 거야, 나는 잘하는 일이 하나도 없어, 아무도 나를 믿어주지 않을 거야, 나는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못할 거야, 모두가 나를 비난할 거야, 나는 결국 혼자 남게 될 거야, 나는 다 망치게 될 거야, 결국 모두에게 배신당하게 될 거야. 이런 생각들이 자신과 타인과 세상을 왜곡되게 해석하는 틀이 된다. 이런 왜곡된 사고 구조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다.
이렇게 형성된 내면의 약함은 존재적인 불안전감_Existential Insecurity을 만들어낸다. 내면의 취약함이다. 이 취약함은 생존 곧 죽고 사는 것을 결정하는 요소로 여겨진다. 때문에 그 누구도 이 내적 불안전감을 노출하고 살 수는 없다. 어떤 방식으로든 다뤄야 한다. 가장 본능적인 방법은 이 취약함을 가리는 것이다. 낮은 자존감으로 허덕이는 사람은 열등감을 어떤 방식으로든 감춰야 한다. 이를 위해 그 사람은 '정말 다 괜찮은 척'하기 시작한다. 외로움과 공허함으로 힘든 사람은 친구가 많은 것처럼 혹은 하나도 필요 없는 것처럼 연기한다.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은 아예 부탁할 필요가 없는 것처럼 보이려고 한다. 수치심이 핵심 감정이 되어버린 사람은 자신을 건드리는 이슈가 사소한 문제인 것처럼 보이려 애쓴다. 이렇게 ~ 인 척 살아가는 삶이 가면을 쓴 삶이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가식적이다 혹은 위선적이다고 표현하고 싶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모두는 내면의 불안전감을 감추기 위해 자신의 가면을 쓰고 살아가고 있다.
가면을 쓴 삶의 모습
이렇게 가면을 쓰고 살아가다 보면 내면의 자아와 외면의 자아 사이의 불일치가 일으키는 심리적 증상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내가 누구인지에 대한 근원적인 혼란이 대표적 증상이다. 너무 오랜 시간 가면을 쓰면서 진정한 자신과 만들어낸 자신 중 무엇이 정말 자신인지를 구분해내지 못한다. 그로 인해 자신이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생각하는지 혹은 느끼는지 알 수가 없다. 그저 수많은 껍데기가 겹겹이 쌓여 있는 자신의 내면을 어쩌지 못해 화가 날 뿐이다. 그래서 늘 내뱉는 말은 "난 원래 그래, 그래서 뭘 어쩌라고!"라는 항변이다.
그러면서 그렇게 밖에 하지 못하는 자신을 늘 매섭게 비판하고 몰아세운다. 다른 사람에게 괜찮다는 말을
..... 이하는 출판될 책에서 만나요.